• Title/Summary/Keyword: 난계대전염병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특정병원체 부재종란(Specific Pathogen Free Egg) 생산 및 관리요령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13 no.7 s.141
    • /
    • pp.29-31
    • /
    • 1981
  • 난계대 질병을 막아야 한다는 생각은 오래 전부터 갖고 있었으나 그간 여건이 허락치 않아서 양축가들은 막대한 피해를 입으면서도 어쩔 수 없이 당하고만 있었다. 생독 백신을 접종하고 나면 닭에서 C.R.D.증세가 나타나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서 백신접종을 기피하고나 또는 종계에서는 생독을 피하고 사독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이제 양계 규모가 대형화함에 따라 일일히 사독을 주사할 수도 없고 어쩔 수 없이 음수용 생독을 사용치 않을 수 없는 형편에 이르고 있다. 다행히 정부는 그간 양축가의 건의를 받아들여 이번에 S.P.F.(특정 병원체 부재종란) 생산 및 관리요령을 고시함으로써 국내에서도 정식으로 S.P.F.종란의 생산 및 관리를 정부의 지도 감독하에 행하게 되어 믿고 쓸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 백신 제조회사는 생독 백신을 모두 이 S.P.F.종란으로 만들겠지만 그간 S.P.F.종란을 수입해서 만든 백신이 가격 때문에 양축가로부터 외면당했던 점을 생각해서 앞으로는 양축가들이 즐겨 사용하도록 가능한 한 싼 값으로 제조$\cdot$판매되어야 할 것이고, 양축가는 우선 백신값은 약간 비싸지더라도 백신을 통한 난계대 질병으로부터의 해방으로 더 큰 이익을 가져 올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야 될 것이다. 이 땅에서 난계대 전염병을 완전 축출할 때까지는 생산자와 백신회사, 정부는 물론 모든 관련업계의 공동 방역 노력이 필요하겠다.

  • PDF

등록종계장 추백리진단액 사용실적

  • Korea Poultry Associatio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0 no.5 s.463
    • /
    • pp.200-202
    • /
    • 2008
  • 추백리는 난계대 법정 전염병으로 본회에서는 이를 퇴치키 위해 지난 ’85년 5월부터 추백리 진단액 공급의 창구를 일원화하여 일괄 공급하고 있는데 전국 등록된 종계장 및 육성사에서 최근 3년간에 걸쳐 본회를 통해 구입한 추백리 진단액 사용 실적을 게재하니 양축가 여러분들에게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 PDF

종계사육농장 추백리진단액 사용실적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0 no.12
    • /
    • pp.187-188
    • /
    • 2008
  • 추백리는 난계대 법정 전염병으로 본회에서는 이를 퇴치키 위해 지난 ’85년 5월부터 추백리 진단액 공급의 창구를 일원화하여 일괄 공급하고 있는데 전국 등록된 종계장 및 육성사에서최근 3년간에 걸쳐 본회를 통해 구입한 추백리 진단액 사용 실적을 게재하니 양축가 여러분들의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 PDF

종계사육농장 추백리진단액 사용실적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1 no.5
    • /
    • pp.172-173
    • /
    • 2009
  • 추백리는 난계대 법정 전염병으로 본회에서는 이를 퇴치키 위해 지난 '85년 5월부터 추백리 진단액 공급의 창구를 일원화하여 일괄 공급하고 있는대 전국 등록된 종계장 및 육성사에서 최근 3년간에 걸쳐 본회를 통해 구입한 추백리 진단액 사용 실적을 게재하니 양축가 여러분들의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 PDF

특집(2)ㆍ조류인플루엔자 알고 대처하자-HPAI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방역

  • Im, Dong-Gu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9 no.1 s.447
    • /
    • pp.102-106
    • /
    • 2007
  • 저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LPAI)가 국내에 유입된 지 10년여 만인 지난 2006년 11월 전북 익산지역에서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되었다.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가 2003년 충북 음성에서 발병된 지 3년만이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가 어디서 어떻게 감염 되었는지는 오리무중 이란다. 철새, 외국인 노동자, 해외 여행객, 아니면….질병이 발생하는 데는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있으며, 농장에서는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소를 한가지씩 제거해 나가야 한다. 질병의 전파의 요소로 여겨지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을 수있다. 분변, 방문객 및 방문차량(사료 운송차, 약품배달차, 왕겨차, 계분운송차, 사계(死鷄)수거차량), 축산기구, 농장의 위치, 야생조류, 설치류, 외부기생충, 난계대 전염병, 외부에서의 닭 유입 등이 있다. 조류인플루엔자(AI)라고 해서 다른 질병과 달리 특별한 방역 방법이 있는 것은 아니다. 어느 질병이든 농장에서 방역에 대한 기본개념을 알고 기본적인 원칙을 지키면 되는 것이다. 그 기본이라는것은 외부로부터 농장의 통행을 막고 끊어서 통하지 못하게 하는 차단(遮斷) 방역이다.

  • PDF

Prevalence Report of Transovarian Transmitted Diseases in the Breeder Chickens, Korea (국내 종계에서 난계대 전염병 감염 실태 보고)

  • Kwon, Yong-Kuk;Kang, Min-Soo;Oh, Jae-Young;Jung, Byeong-Yeal;Kim, Hye-Ryoung;Kim, Ha-Young;Shin, So-Yeon;Kwon, Jun-Hun;Chung, Gab-Soo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37 no.3
    • /
    • pp.237-245
    • /
    • 2010
  • A survey of transovarially transmitted diseases, including salmonellosis [(pullorum disease; PD)/(fowl typhoid; FT)], mycoplasmosis, avian infectious anemia (CIA), and fowl adenovirus infection was conducted in the breeder chickens from August to December in 2009. The numbers of flocks sampled out were: Grand Parents Stock (GPS), 45; Parents Stock (PS) 1,018, Baeksemi breeder (BSB) 54. The seroprevalence of salmonellosis (PD/FT) were 0% (GPS), 3.2% (PS), and 3% (BSB), respectively. A total of 983 chicken farms were affected with FT outbreaks between 2000 and 2008. The incidence of FT in commercial broilers, Baeksemi, commercial layers, native chickens, and broiler breeders was 44.3%, 26.2%, 15.7%, 12.6% and 1.08%, respectively. Of the affected broilers, over 90% birds were under 2 weeks of age, indicating it was possible that they were infected with S. gallinarum via vertical transmission. The sero-positive flocks against Mycoplasma gallisepticum (MG) were 71.1% (GPS), 88.7% (PS), 88.7% (BSB), while the rates of positive flocks against Mycoplasma synoviae (MS) were 86.0% (GPS), 77.0% (PS), and 98.0% (BSB). In GP and parent farms, the detection rates on specific genes of CIA virus were 19/45 (42.2%), and 169/1039 (18.0%), respectively, whereas the seroprevalence of CIA were 86.0% in GPS and 93.7% in PS flocks. In addition, positive flocks of fowl adenoviruses were 4.4% (GPS), 2.7% (PS) and 9.35% (BSB), respectively. As the results, avian mycoplasmosis and CIA have been more prevailing in chicken breeder than avian salmonellosis and fowl adenovirus infectio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