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낙인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28초

사법처리과정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Juvenile Delinquents in the Juvenile Justice Process)

  • 남미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265-290
    • /
    • 2006
  • 본 연구는 소년사법처리과정에 있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의 질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이들의 삶의 질에 어떤 요인이 영양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부산, 대전의 소년원 및 보호관찰소에서 사법처리과정에 있는 청소년 570명을 조사하였으며 삶의 질 측정은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단축형(WHOQOL-BREF)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t-test, Oneway-ANOVA, 일반선형모형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법처리과정 청소년들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자신의 삶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환경적, 심리적, 사회적 부분에서는 삶의 질을 낮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소년사법처리과정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양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낙인, 경제수준, 인권침해이었으나 삶의 질 하위영역별로 영양을 미치는 요인은 다소 달랐다. 즉 신체적 건강영역에서는 부모낙인, 첫 체포나이, 사법처리절차, 인권침해, 주변낙인, 성별이 영양을 미쳤고 심리적 건강영역에서는 부모낙인, 비행횟수, 주변낙인, 성별, 첫 체포나이가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관계영역에서는 부모낙인, 경제수준, 첫 체포나이, 비행횟수가, 환경영역에서는 경제수준, 부모낙인, 비행횟수, 사법처리절차, 성별이 영양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적 요인과 더불어 비행관련요인, 사회적 낙인감, 사법처리과정 중 인권침해 등 사회환경적 요인 등이 총체적으로,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 PDF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낙과 배 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n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of Fallen Pear)

  • 신보연;정보람;정종기;조승식;방미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20-32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낙과 배 물 추출물에 존재하는 미백기능 유효성분으로써 arbutin을 선정하여 HPLC를 통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낙과 배 물 추출물로 미백 효과를 알아보았다. 낙과 배 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내 tyrosinase 저해 효과, melanin 생성 저해 효과, tyrosinase와 관련된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낙과 배 물 추출물은 tyrosinase 활성과 B16F10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MiTF와 tyrosinase의 발현의 억제를 통해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mushroom tyrosinase 결과를 통해 melanin 생성 과정에 있어 tyrosinase를 직접 저해하는 것이 아닌 세포 내에서 tyrosinase의 발현 조절을 통해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낙과 배 물 추출물은 천연 arbutin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로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낙과 배를 이용한 새로운 뷰티케어 소재를 개발하고 이들의 피부 기능성을 밝혀냄으로써 낙과 배의 다양한 활용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하여 국내 과실 농가 및 관련 사업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아청소년 간질 캠프에 참가한 부모들의 간질에 대한 인식과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Assessment of parental understanding of epilepsy and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s in an epilepsy camp)

  • 조성민;권순학;김두권;김준식;문한구;서혜은;이계향;이은주;이준화;김노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5호
    • /
    • pp.549-556
    • /
    • 2009
  • 목 적 : 본 연구는 소아 간질 환자의 부모들의 간질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사회적 낙인을 파악하고 간질 캠프를 통해서 부모들의 지식이나 인식이 변화되는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단기적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 2008년 8월 23-24일 경북 경산시에서 개최된 제2회 대구 경북 소아청소년 간질 캠프에 참여한 간질 아동의 부모 20명을 대상으로 캠프 이전과 캠프 종료 시에 전후에 부모들의 간질에 대한 인식과 지식, 간질에 대한 사회적 낙인 등을 구조화된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부모들은 간질에 대하여 상당한 정보와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간질 캠프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더욱 정확한 지식을 가지게 되었다. 캠프 이전에 부모들의 간질에 대한 지각된 낙인 및 실제적인 낙인은 30.0% 정도였으며 이 중 지각된 낙인은 캠프 종료 시에 15.0% 정도로 감소됨을 관찰하였다. 결 론 : 간질 캠프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은 소아 간질 환자 부모들의 간질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제고하며, 간질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감소에 기여함으로써 간질 환자의 질병 관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진로장애와 우울을 매개로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Career Barriers and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Youth)

  • 김지민;이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1호
    • /
    • pp.85-10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진로장애와 우울을 매개로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장애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교 밖 청소년패널 5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318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진로장애, 우울, 스마트폰중독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진로장애와 우울을 거쳐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가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장애와 우울 각각 매개를 확인하였으나 사회적 낙인감은 스마트폰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중독을 예방하고 청소년 코칭에서의 개입 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혼혈인에 대한 낙인연구: 혼혈인에 대한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낙인효과 (A Study on the Stigma of Mixed-Race : Factors Affecting Stigma on Mixed-Race and Stigma Effect)

  • 오미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2호
    • /
    • pp.215-24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점차 다문화 되어가는 한국사회에서 혼혈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이 혼혈인에 대한 차별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낙인개념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혼혈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백인 혼혈인, 아시아계 혼혈인, 흑인 혼혈인 세 유형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부정적이지는 않았지만 그리 긍정적이지도 않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혼혈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혼혈인 유형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체로 백인 혼혈인 보다 아시아계 혼혈인과 흑인 혼혈인에 대해 그리고 흑인 혼혈인보다 아시아계 혼혈인에 대해 덜 긍정적인 인식과 덜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혈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하여, 인종주의는 세 유형의 혼혈인 대한 인식과 태도 모두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자민족중심주의/세계주의 성향은 백인 및 흑인 혼혈인에 대한 인식과 백인 및 아시아계 혼혈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나 인종주의와 자민족중심주의/세계주의가 혼혈인에 대한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 유형의 혼혈인 모두에서 혼혈인에 대한 태도는 차별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혼혈인에 대한 인식은 흑인의 경우에 있어서만 차별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혼혈인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이에 대한 논의의 근거를 제공해 준다.

  • PDF

탈북여성들에 대한 남한 사회의 '종족화된 낙인(ethnicized stigma)'과 탈북여성들의 공동체 형성 및 활동 (The Ethnicized Stigma against Women Escaped from North Korea and Their Community Building and Coping Strategies toward it in Contemporary South Korea)

  • 성정현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3호
    • /
    • pp.79-115
    • /
    • 2016
  • 본 연구는 남한 사회에서 탈북여성들이 경험하는 차별과 낙인을 역사적 배경과 연관된 '종족화된 낙인(ethnicized stigma)'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탈북여성 8명, 전문가 4명(2명은 탈북여성)을 심층 면접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언어와 의사표현 등 소통의 어려움과 내국인으로의 불인정을 경험하였으며, 이로 인해 종족 정체성(ethnic identity)의 혼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으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선(先)경험과 잘못된 정보의 일반화, 오랜 분단의 역사와 공간적 거리감에서 초래된 종족성(ethnicity)의 부인 등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북여성들은 부정적 인식과 차별로 인한 부정적 정서와 외로움을 해소하고 적응하기 위해 그들만의 공동체를 구축하였으며, 이것은 정서적 도구적 지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동체 내 구성원간의 갈등, 후원금과 자원배분의 문제, 공동체 경험의 부재, 북한체제에서 겪은 불신과 호상비판의 일상, 신변노출의 문제, 자유와 인권에 대한 몰이해 등으로 갈등과 해체의 위기를 경험하였다. 결론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남북한 교류를 위한 모임과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지체장애인에 대한 낙인(stigma)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Level of Perceived Stigma Towards Physically Disabled Between Physically Disabled and Non-disabled)

  • 정미연;소희영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24
    • /
    • 2008
  • Purpose: The purposes were to explore and compare the level of perceived stigma toward physically disabled, and to find factors related with the perceived stigma.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uly to September 2007.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92 physically disabled and 294 non-disabled living in Daejeon, Korea. Thes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2.0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Result: The perceived stigma towards physically disabled of the physically disabled was higher than non-disabled's. The physically disabled stigmatized themselves in all the subcategories of the perceived stigma. The physically disabled perceived the stigma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pouses, economic status, educational level, comorbidity and impairment sites. The non-disabled's perceived stigma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existence of spouses, job and economic status. Non-disabled's stigma towards physically disabled was not different by experiences related with physically disabled. Conclusion: For reducing the perceived stigma,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especially for physically disabled, and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fine related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a standard to evaluate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decreasing the stigma.

  • PDF

인유두종 바이러스와 관련된 낙인, 수치심과 검사의도의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Human Papillomavirus related Stigma, Shame, and Intent of HPV Test)

  • 김혜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17-225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HPV (Human Papillomavirus) related stigma, shame and intent to have HPV test among adult wome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2009 to January 31, 2010, and participants were 324 women who visited an obstetric gynecologic clinic. They anticipated testing positive for HPV. Then HPV related stigma, shame, intent to have HPV testing and HPV knowledge were measured. Descriptive statistics, Mann-Whitney U test, Kruskal Wallis test and multivariate adjusted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levels of stigma and shame were higher than average. Intent to have HPV test was high and HPV knowledge was low. Women who answered that HPV is not sexually transmitted had lower HPV stigma than did women who answered they didn't know (OR=0.20, 95%CI 0.06-0.68). Women with lower stigma showed lower intent to have HPV test than women with higher stigma (OR=0.46, 95%CI 0.26-0.82). Conclusion: Basic HPV information should be fully understood for women especially prior to HPV test. Normalizing HPV stigma is necessary for women who perceive HPV as sexually transmitted and women intending to have HPV test.

정신 장애인의 낙인(stigma) 경험 (The Lived Experience of Stigma among Mentally Ill Persons)

  • 현명선;김영희;강희선;남경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26-23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stigma among mentally ill persons. Method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as used for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welve people with mental illness enrolled at the S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n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via in-depth interviews from August 30 to October 1, 2010 and analyzed using Colaizzi's framework. Results: Four themes and sixteen formulated meanings were identified for the stigma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ith mental illness. The four themes were 'Incapable of struggling against unfair treatment', 'Living as an outsider', 'Being constrained by oneself', 'Being in suspense over disclosure of oneself'.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underscore the need for an educational and awareness programs to reduce public stigma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and self-stigma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addition, efforts are also needed to prioritize mental illness stigma as a major public health issue at the government and community level.

조현병 환자의 내재화된 낙인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ognitive-behavioral Therapy Based Program in Reducing Internalized Stigma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김미영;전성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49-363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internalized stigma reducing program based o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appropriate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mixed method research. Qualitative study, 13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o had experience in overcoming stigma were purposively chosen for interview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 method. Quantitative study, 64 patients with schizophrenia (experimental group =32, control group =32) were recruited. The cognitive-behavioral therapy-based program for reducing internalized stigma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as provided for 8 weeks (12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0, 2013 to Feb. 14, 2014.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Qualitative results, from the experience of coping with stigma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eventeen themes and five themes-clusters were drawn up. Quantitative results showed that internalized stigma, self-esteem, mental health recovery and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this program for reducing internalized stigma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s effective and can be recommended as a rehabilitation program intervention to help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o cope with internalized stig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