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낙동강 하류

Search Result 43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Variations of Physical Oceanographic Environment Caus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Floodgate in Nakdong Estuary (수문개폐에 따른 낙동강 하구둑 하류부의 해양물리환경변화)

  • Kim Ki-Cheol;Yang Han-Soeb;Kim Cha-Kyum;Moon Chang-Ho;Jang Sung-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2 no.2
    • /
    • pp.49-59
    • /
    • 1999
  • Nakdong Estuary is complex water system, where sea water and fresh water meet each other. After construction of Nakdong River Barrier, the flow pattern and mixing processes have been changed. Variations of physical oceanographic environment in Nakdong Estuary due to opening and closing the floodgate of Nakdong River Barrier are analysed focusing the movement of outflows from the barrier. Surveys and analysis were made for the three cases. 1. Ordinary times (opening and closing the gate by the tidal period) 2. A period of flood time (opening the gate) 3. A period of water shortage (closing the gate).

  • PDF

Long-Term Variations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Water Quality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낙동강 하류지역에서 식물 플랑크톤 생체량 및 수질의 장기변동 특성)

  • Son, Hee-J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4
    • /
    • pp.263-267
    • /
    • 2013
  • Long-term (from 1995 to 2012) data of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a, Chl-a) and water quality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rends of eutrophication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Mulgum). Long-term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biomass at Mulgum showed an decreasing trends for 18 years. Phytoplankton biomass was high from annually December to March. Trophic state was evaluated as the eutrophic state annually from 1995 to 2012 by TSI (trophic state index) by Aizaki. From the results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hl-a concentration and BOD concentration was high ($r^2$ = 0.82).

A Study o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Mixing Behavior of Turbid Water from Imha Reservoir (임하호 탁수의 물리적 특성 및 혼합거동 연구)

  • Kim, Young-Do;Lee, Nam-Joo;Heo, Seong-Nam;Shin, Chan-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441-446
    • /
    • 2006
  • 유역에서 발생한 고탁수가 저수지내에서 장기화하는 현상에 관한 대책은 장기간이 소요되는 유역관리 대책과 탁수저감일수를 최소화하는 선택취수 개념의 우선 방류기법 등이 있다. 하류하천으로의 탁수 우선배제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댐 방류탁수가 하류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하천탁도 예측 및 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최근 고탁수현상을 경험한 낙동강 수계에서는 본류의 탁도 관리를 위해 임하댐 및 안동댐의 연직 탁도 분포 변화에 따라 댐 방류탁수에 의한 영향을 최소 또는 기준치 이하로 할 수 있는 댐 연계운영에 관한 조건 도출이 필요하다. 선택취수에 관한 수치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저수지내 온도 및 탁도 분포 변화와 취수탑의 수문운영에 따른 방류수의 온도 및 탁도를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결과를 이용하여 안동댐과 임하댐의 방류조건에 대한 하류하천 합류부에서의 2차원 이송 확산 수치모의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현장조사를 통한 지점별 탁도-SS 상관관계 도출, 비정상 흐름 및 수질모의 검 보정, 탁도예측 결과 검증이 필요하다. 평면 2차원 흐름 및 수질 모의 결과에 의하면, 임하댐 방류 탁도로 인한 반변천의 고탁수는 안동댐 방류 수에 지배를 받는 낙동강 본류와 합류되는 지점에서부터 약 5 km 떨어진 지점에서 횡방향 완전혼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모의결과는 완전혼합을 가정하는 1차원 수질모델링의 초기 입력자료에 사용됨으로써 1차원 탁도 모의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낙동강 수계 댐 연계운영에 따른 낙동강 탁도 예측모의를 수행하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낙동강 탁도 예경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또한 선택취수 등을 통해 저수지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저수지 내부의 탁도 거동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추후 동수역학 및 열역학에 기초한 3차원 수치모형 연구와 성층흐름에 정밀한 밀도류 실험연구 및 이에 대한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stage-discharge relationships considering an operation of the estuary barrage (하굿둑 운영을 고려한 수위-유량 관계식에 대한 연구)

  • Kim, Minji;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56-256
    • /
    • 2019
  • 하굿둑이 증설된 낙동강 하류의 수위-유량 관계식은 하굿둑의 운영을 고려하지 않은 식으로 수공구조물에 의한 배수효과 등이 반영되지 않았다. 하굿둑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낙동강 본류 330 km 구간에 대해 8개의 보 및 하굿둑의 운영방안을 내부경계조건으로 포함하는 부정류 계산모형을 개발하였다. 가장 하류에 위치하는 구포수위표 지점에 대해 하굿둑의 개도를 변수로 포함하는 수위-유량 관계식을 도출하여 하굿둑의 개도를 변수로 포함하지 않은 수위-유량 관계식과 비교하였다. 개발에 사용한 홍수사상들은 2001년부터 2018년까지 발생한 홍수사상 중에서 다양한 규모로 5개를 선별하였다. 개발된 수위-유량 관계식을 검증하는데 사용한 홍수사상들은 개발에 사용한 5개의 홍수사상 외에 규모별로 5개를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비교 결과 개도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개도를 고려한 경우가 보다 정확한 유량을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하굿둑을 비롯한 수공구조물이 건설된 하천의 경우 이를 고려하여 수위-유량 관계식을 산정해야 함을 보여준다.

  • PDF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Small Watershed of the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하류 소유역의 지하수와 하천수의 수리지질학적 특성)

  • Sieun Kim;SeongYeon Jung;MoonSu Kim;Youn-Tae Kim;Yong-Hoon Cha;Chung-Mo Le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5 no.1
    • /
    • pp.72-84
    • /
    • 2024
  • Recently, the vulnerability of water resources has been increasing owing to climate change,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groundwater. In particular, the Nakdong River Basin,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experiences frequent water scarcity phenomena, such as droughts. This study analyzed the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rea by examining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in the Gwangrye Stream,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Basin, in August and October 2023. Therefore, we collected samples from 54 groundwater wells and five streams for water qual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field tests indicated an increasing trend in electrical conductivity from upstream to downstream in the study area. Laboratory analyses confirmed that the concentration of Na increased from upstream to downstream more than that of Ca. In conclusion, both stream water and groundwater were influenced by anthropogenic contamination. These changes were closely related to land use in the study area. The upstream areas are primarily composed of forests, whereas the downstream areas are composed of industrial complexes,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and agricultural areas, which are likely to affect both stream water and groundwater.

금호강 저니토에 함유된 PCBs 분포 특성

  • 이상원;김영복;정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07-10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부산, 경남 주민의 중요한 식수원인 낙동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금호강을 대상으로 하여 난분해성 물질이며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PCBs의 분포 상태를 조사하였다. 금호강 저니토에서의 PCBs 분석은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였고 실리카 겔과 플로리실 칼럼을 통과시켜 정제한 다음 GC-ECD로 분석하였다. 모든 조사 지점에서 26개 congener가 고루 검출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금호강으로 유입되었던 PCBs의 종류는 다양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금호강 유역의 저니토에 축적되어 있는 PCBs가 낙동강 하류로 유입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Water Quality Impact Assessment Due to Dredging in the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낙동강 하류부에서의 오니준설에 따른 수질영향 분석)

  • Cho, Hong-Je;Han, Kun-Yeun;Kim, Sang-Ho
    • Water for future
    • /
    • v.29 no.3
    • /
    • pp.177-186
    • /
    • 1996
  • QUAL2E model was applied to assess the water quality variations due to dredging of the bottom deposit in the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A variedflow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reach of Namji to Nakdong Estuary to estimate the hydraulic parameters. BFGS (Broyden-Fletcher-Goldfarb-Shanno) method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optimum reaction parameters and model verrification was performed based on these. Water quality modeling of dredging effects for BOD and DO in the reach was performed under low and average flow conditions and alternatives. It revealed that dredging had significant effedcts on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the reach.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lgae Occurrence in Lower Watershed of Nam River Dam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남강댐 하류지역의 조류발생 특성 연구)

  • Jung, Woo Suk;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6-126
    • /
    • 2016
  • 남강은 낙동강 주요 지류인 동시에 낙동강 하류지역의 유지용수, 생활, 공업, 농업용수 공급 등에 중요 역할을 하고 있어 오염원 및 수질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최근 남강댐 하류 및 남강합류 후 낙동강 본류인 창녕함안보 지점에서의 녹조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녹조현상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호소의 녹조관리는 '조류경보제'에 의해서 관리되고 있지만 4대강 16개의 보 건설 이후 '수질예보제'와 같이 녹조관리를 위한 제도 및 정책이 시행되면서 조류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많은 문헌들을 참고하여 조류의 영향인자를 파악하였으며, 남강유역의 물관리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구축된 데이터 기반의 각 항목별 주요항목 영향인자 분석을 위한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여 영향인자별 상관관계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입력변수로 이용하였다. 그에 따른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조류 발생특성을 고려하여 예측 모형인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구현하였다. 회귀분석 과정에서 다중공선성이 발생하는 변수에 대해서는 모형에서 제거하였으며, 잔차분석을 통해 이상치와 영향치를 검토하여 고려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estuary outflow characteristics of floating debris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using satellite location tracking buoys (위성 위치 추적 부이를 활용한 낙동강 하류 부유쓰레기의 하구 유출 특성 분석)

  • Jang, Seon-Woong;Yoon, Hong-Joo;Seo, Won-Ch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0 no.2
    • /
    • pp.157-164
    • /
    • 2015
  •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discharge characteristic from the mouth of floating debris in the Nakdong River through real time tracking of moving route and by analyzing hydrometeorologic environmental. To identify the path and route of outflow through the mouth of the river of floating debris, small-sized buoy equipped with satellite location transmitters was used. Moreover, to identify hydrometeorologic environmental, flux of the river, change of discharge of the River-Mouth Weir and wind direction of the mouth of the river area were analyzed. From now on,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identify damage and flowing into nearby ocean of the floating debris of Nakdong River in time of severe rain storm.

Change of Oceanographic Environment in the Nakdong Estuary (낙동강 하구에서의 해양 환경 변화)

  • JANG SUNG-TAE;KIM KI-CHEOL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1 no.1
    • /
    • pp.11-20
    • /
    • 2006
  • The Nakdong Estuary is complex water system, where sea water and fresh water meet each other. It has undergone the significant change of its environmental conditions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Nakdong River Barrier in 1987. Prior to its construction, mixing and circulation processes in the Nakdong Estuary was dominated by tidal current. However, after the dam construction, those processes were greatly altered by the artificial control of the fresh river water discharge. In this paper, the influence of opening and closing the floodgate of Nakdong River on the outflow behavior of estuarine water from the Nakdong Estuary is analyzed in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