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주호와 영산강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Analysis of Tidal Phenomena in chunnam the Naju Lake and Youngsan River (전남 나주호와 영산강 지류에 나타나는 조석현상의 분석)

  • Cho, Ju-Whan;Im, Kwang-Heuy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1 no.2
    • /
    • pp.168-173
    • /
    • 2000
  •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ides in the Naju Lake and Youngsan River, we measured the water level at the Naju Lake for one month (from 30 Dec. 1997 to 27 Jan. 1998) and at several points along the Youngsan River. We found that there are predominant waves with periods of semidiurnal and diurnal tides. The amplitudes of M$_2$, S$_2$, O$_1$ and K$_1$ calculated by harmonic analysis are 0.56, 0.39, 0.48,0.43mm, respectively. The tidal ranges along the Youngsan River, which are almost coincident with the tidal variation of Mokpo, are from 4mm to 18mm depending upon the locations and the direction and that of six-hours period in the north-south direction.

  • PDF

Water Balance Analysis in the Yeo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s Considering the Real Water Use System (실제 물이용체계를 반영한 영산강·섬진강 유역 물수지 분석 연구)

  • Gwon, Yong Hyeon;Kim, Kwang Hoon;Byun, Dong Hyun;Lee, Byo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81-381
    • /
    • 2021
  • 영산강 유역은 타수계에 비해 농경지 비율이 높으며, 영산강 하류에는 나주평야 등 논농사를 하고 있어 농업용수 위주의 물이용율이 높다. 또한 4대호(광주호, 장성호, 담양호, 나주호) 이외의 대규모 다목적댐이 없어 수자원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섬진강 유역은 유역변경으로 대부분 타수계로 물 공급이 이루어져 하천유량 부족, 섬진강 하류 생태계 피해로 물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관리 일원화에 따른 물이용, 수량, 수질 등을 모두 고려한 효율적인 통합 물관리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통합 물관리를 위해 유역 내 수자원 이용현황과 물 문제해결 등을 고려한 용도별 최적 물이용 계획 및 효율적인 물관리 운영방안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여건 및 특수사항을 고려한 장래 물공급량 변화 및 과부족량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인 영산강·섬진강 유역 특성 및 물공급체계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물수지 분석체계를 구축하여 유역 내 수자원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물이용체계를 반영하고 용수계통에 따라 자기유역 내 또는 타수계에 대해 용도별 수요량에 따른 공급량, 부족량을 산정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위해 1) 하천수는 유수와 저수로 구분하고 유수는 하천 취수시설의 실사용량을 유역단위 수요량으로 추정, 저수는 다목적댐은 계약량, 농업용저수지는 필요공급량을 개별시설의 수요량으로 설정하여 각각의 수원(저수/유수)에 대한 수요량 대비 공급량과 부족량을 분석하였다. 2) 댐과 저수지는 용수공급조정기준에 따라 공급량을 탄력적으로 적용하고 농업용저수지는 가뭄등급에 따라 하천유지용수를 고려하였다. 3) 주암본댐과 섬진강댐은 송정 수위관측지점의 유량 상황에 따라 환경대응용수를 고려하였다. 4) 주안본댐과 주암조절지댐의 연계 운영을 고려하였다. 물수지 분석 결과 검증을 위해 주요 지점의 관측유량과 물수지 분석을 통해 계산된 유량을 비교하여 적용성 분석을 진행한 결과 상관관계가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산강·섬진강 유역 내 효율적인 물관리 방안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opography of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its Locals' Life (영산강유역의 지형과 주민생활)

  • Beom, Seon-Gy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4
    • /
    • pp.451-467
    • /
    • 2002
  • The Yeongsan River is one of major rivers in South Korea, and its basin is one of core areas that produce foods for the nation. The Yeongsan River Basin has flood plain and hill areas well developed, and areas surrounding the Yeongsan Lake has a tidal mud-plat widely dispersed. The flood plains are called 'Deul'. In particular, at the upstream of 'Mulmok' with a narrow valley are widely spread flood plain. The flood plains were developed into rice paddies until the end of Joseon Dynasty. Local core cities were created against these agricultural lands. Hills are called 'Deung', 'Kkageum' and 'Yasan' and in particular, are widely distributed in Naju City and Yeongam County. Forest land on hill began to be seriously developed into agricultural land from the 1960s, and this development is being pursued even today. Much fanning are conducted in the form of leased fanning by outside people. Tidal mud-plats were widely distributed along the downstream of the Yeongsan River, Namhae Bay. Tidal mud-plat is called 'BBeolbat' and tidal channel is called 'Gaeong.' After the estuary dyke of the Yeongsan River was built in 1981, the tidal mud-plat was developed into agricultural land in large-scale reclamation projects, and changed into 'Yeongsan Plains,' With the appearance of new plains, locals' life fundamentally changed, turning all villages into pure farm villages.

  • PDF

현장탐방 고객감동 현장 - 에스엠비티(주) 전남지점

  • Kim, Hyeon-Ok
    • Life and Agrochemicals
    • /
    • v.29 no.10
    • /
    • pp.33-35
    • /
    • 2008
  • 전통문화와 첨단산업이 공존하는 자족형 혁신도시를 추구하는 나주시. 영산강 문화의 뿌리를 둔 생명의 당이다. 배 주산단지인 이곳 나주에 '천우지베레린'을 확인시킨 에스엠비티(주) 전남지점(지점장 김현옥 44)이 자리하고 있다. 2006년 최초 1호 지점으로 설립, 에스엠비티(주)와 인연을 시작한 김지점장은 "고객과의 만남을 위해 현장으로 떠나는 매일 아침이 적지 않게 설레인다"면서 "하루 이동거리가 보통 250여km를 상회, 때론 지치기도 하지만 항상 생명이 살아 숨쉬는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함께 꿈을 이룰 수 있어 행복하다'며 그의 환한 웃음 속에 열정을 내비친다. 이 같은 열정은 지난해 전국 우수지점에 선정된 영예와 무관치 않다. "영업력은 성실, 정보력, 대인관계, 적시적소의 운영 등 개인의 능력에 좌우된다"며 선두지점의 자부심을 드러내는 김 지점장은 "농가들은 작물보호제품의 인지도를 쉽게 바꾸려 하지 않아 우선 고객의 마음에 신뢰와 믿음을 심어주어야 한다. 끊임없는 제품연구와 정확한 정보 전달, 수요와 판매예측의 시장분석을 통해 적시적소에 적합한 제품을 공급해야 한다"면서 타사와의 차별화 전략에 대해 역설하며 그의 일상이 빼곡히 적혀있는 다이어리를 넘기며 또 다른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 PDF

Application of Flood Control Reservoir and Effectivenes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Yeongsan River by EFDC Model (EFDC모델에 의한 홍수조절지 활용과 영산강 수질개선효과)

  • Kim, Jeong Soo;Park, Sung Chun;Park, Su Ho;Lee, Woo 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41-441
    • /
    • 2021
  • 우리나라의 홍수조절용댐은 총 5개소로 영산강유역에 두 개소와 한강유역에 세 개소가 있다. 한강유역에 있는 세 개소의 홍수조절지용댐은 한강상류의 북한지역에서 발생하는 집중호우에 대비하기 위한 댐으로, 임진강 하류지역의 수해방지를 위한 한탄강댐과 군남홍수조절지(군남댐)가 있으며 북한강 하류와 수도권의 홍수예방을 위한 평화의 댐이 있다. 영산강유역에 있는 두 개소의 홍수조절지는 2006년에 수립한 영산강치수종합대책에서 계획이 수립된 시설로 2011년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설치하여 K-water에서 운영 중에 있다. 4대강 사업 이전의 영산강유역은 홍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홍수조절용량이 전무했던 실정으로 하도에서 홍수량의 전량을 수용해야했던 홍수에 매우 취약한 하천이었다. 그러나 4대강 사업을 통하여 영산강유역의 4대호를 비롯한 농업용댐의 숭상을 통한 홍수조절용량의 확보와 더불어 나주천변저류지와 담양홍수조절지, 화순홍수조절지를 설치하여 홍수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한 하천으로 변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영산강유역의 다른 하나의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우리나라의 하천 중에서 가장 수질이 악화되어 있는 하천이라는 불명예이다. 홍수조절지는 1년 중 3개월에 해당하는 홍수기에 사용할 수 있는 시설로 1년 중 9개월에 해당하는 비홍수기에는 홍수조절지의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하여 주민지원사업 등 다각도로 고민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하천 외적인 문제를 수용하는 범주에 머무르고 있다. 하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다소라도 해소할 수 있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면 하천 외적인 문제를 수용하는 것 보다 하천 내적인 문제를 해소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하여 영산강의 내적인 가장 큰 문제점은 수질악화로 인한 수질개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홍수기로 한정되어 사용하는 홍수조절지를 해당하천의 내적인 문제를 다소라도 해소할 수 있는 공간으로 비홍수기에 기여할 수만 있다면 비홍수기의 활용목적을 확대하여 다목적조절지로의 변모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유역에 있는 담양홍수조절지와 화순홍수조절지의 두 개소 홍수조절지를 활용하여 영산강 수질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정도를 파악하였다. 비홍수기에 유출량의 일부를 조절지에 담수해 두었다가 수질개선 목적의 희석수로 방류하는 시나리오를 마련하여 시나리오별로 영산강의 수질개선효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수질개선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EFDC모델을 구축하고 모델 수행을 위한 시나리오는 조절지의 담수율과 방류량 그리고 조절지의 관리수질조건 등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수질예측 결과에 따라 TOC, CHl-a, T-P 수질항목을 대상으로 수질개선효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 PDF

Dispersal of potential habitat of non-native species tilapia(Oreochromis spp.) inhabiting rivers in Korea (국내 하천에 서식하는 외래종 틸라피아(tilapia)의 잠재적 서식처 확산)

  • Ju Hyoun Wang;Jung Soo Han;Jun Kil Choi;Hwang Goo L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41 no.2
    • /
    • pp.101-108
    • /
    • 2023
  • Recently,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edict the potential habitat area and distribution range of tilapia and the suitability of habitat for each species. Most tilapia are tropical fish that cannot survive at water temperatures below 10 to 12℃, although some tilapia can survive at 6 to 8℃. This study predicted habitable areas and the possibility of spreading of habitat ranges of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and Oreochromis aureus) known to inhabit domestic streams. Due to climate change, it was found that habitats in the Geum River, Mangyeong River, Dongjin River, Seomjin River, Taehwa River, Hyeongsan River, and the flowing in East Sea were possible by 2050.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ilapia could inhabit the preferred lentic ecosystem such as Tamjin Lake, Naju Lake, Juam Lake, Sangsa Lake, Jinyang Lake, Junam Reservoir, and Hoedong Reservoi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ilapia, which lives in tributaries of the Geumho River, Dalseo Stream, and the Nakdong River, its range of habitat is expected to expand to the middle and lower of the Nakdong River system.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physical and institutional management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local population where tilapia currently inhabits and to prevent introduction to new habitat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EHA, Carbaryl, and Amitrole in the Fishes and Amphibians from the Major River Systems of Korea (우리나라 주요 수계에 서식하는 어류 및 양서류 체내에 함유된 DEHA, Carbaryl, Amitrole의 분포특성)

  • Joo, Yeo Jeong;Kim, Hye Sook;Kim, Young Bok;Moon, Ji Yong;Jeong, Gi Ho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5 no.2
    • /
    • pp.149-156
    • /
    • 2002
  • In this study, the levels of DEHA, carbaryl, and amitrole contained in the fresh water fishes and amphibians were determined. The 31 sampling sites were selected including 29 sites along the several rivers and 2 sites from the well-known wet lands. The rivers consists of the Han, Nakdong, Kum, Youngsan, and other small scaled rivers. DEHA was detected from 10 sites, but carbaryl and amitrole were not detected at any sites. The highest average concentration of DEHA was determined from the Kum River by $52.7{\mu}g/kg$. In the detected 10 site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DEHA from fishes was $40.0{\mu}g/kg$, and that from amphibians was $8.90{\mu}g/kg$ which indicates that 5 times more DEHA was observed from fishes than amphibians. The detection frequency from fishes was 10/62 while that from amphibians was 2/62,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from fishes was $95.5{\mu}g/kg$ (crucians from Kongjoo) and that from amphibians was $12.1{\mu}g/kg$ (bullfrog from Najoo). Among the 10 detected sites, 6 sites were agricultural area and the other 4 sites were semi-urban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