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나무

검색결과 7,101건 처리시간 0.037초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소사 지역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Ridge Area of Naesosa in the Byunsan Peninsula National Park)

  • 김봉규;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5-142
    • /
    • 2009
  • 변산반도국립공원에 위치한 내소사 주변 능선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세봉관음봉 구간에 방형구($400m^2$) 23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한 결과 소나무군집과 소나무-굴참나무-졸참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변산반도 내소사지역의 세봉관음봉지역은 대부분이 소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서어나무, 신갈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서 굴참나무,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점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굴참나무, 졸참나무, 서어나무, 신갈나무의 우점치가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굴참나무와 쇠물푸레, 단풍나무와 대팻집나무, 사람주나무와 산딸나무, 산딸나무와 굴피나무, 팥배나무와 서어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고, 소나무와 서어나무, 쇠물푸레와 서어나무, 신갈나무와 팥배나무, 대팻집나무와 팥배나무간에는 약한 부의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락별 종다양성지수는 $0.665{\sim}1.169$범위로 나타났다.

속리산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II)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식생분석 -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II) -Analysis on the Plant Community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 이경재;박인협;조재창;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3-43
    • /
    • 1990
  •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지역의 삼림군집을 대상으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DCA의 ordin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고 천이계열을 추정하기 위하여 70개 조사구(1조사구당 500$m^2$)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에서 6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어 소나무 군집, 신갈나무-소나무 군집, 졸참나무-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 군집, 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졸참나무 군집으로 나뉘었고, 분리환경인자는 해발 고와 토양습도였다. 본 연구에서는 DCA기법이 TWINSPAN보다 효율성이 더 좋았다.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 팥배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와 소나무, 쇠물푸래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이었고,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참싸리, 개옻나무. 산초나무$\longrightarrow$철쭉, 참개암나무, 생강나무, 함박꽃나무$\longrightarrow$참회나무로 추정되었다. 산화발생에 의해서 식물군집의 종다양성은 매우 감소하였고, 참나무류의 상대우점치는 증가하였다.

  • PDF

설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Quercus mongolica in Soraksan National Park)

  • 송호경;장규관;오동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62-468
    • /
    • 1998
  •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설악산 한계령 지역과 백담사 부근에서 25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TWINSPAN과 CCA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갈나무림은 신갈나무-피나무 군집, 신갈나무-젓나무 군집, 신갈나무-쪽동백나무 군집과 신갈나무-졸참나무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요 군집들과 환경요인들과의 관계로 보면 신갈나무-ㅠㅣ나무 군집은 해발고가 다른 군집보다 높고 전질소와 C.E.C.의 양료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으며, 신갈나무-젓나무 군집은 해발고가 다른 군집보다 높고, 전질소와 C.E.C.의 양료가 가장 많은 곳에 분포하고 있으며, 신갈나무-쪽동백나무 군집은 해발고가 중간이며, 전질소와 C.E.C.의 양료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다. 군집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들은 해발고, C.E.C., 전질소 등이다.

  • PDF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 비로봉, 호령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Sangwonsa, Pirobong, Horyo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 김갑태;추갑철;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1-159
    • /
    • 1996
  • 오대산 국립공원의 상원사-비로봉-호령봉-상원사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23개의 방형구(20*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젓나무, 복장나무-분비나무, 젓나무-난티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피나무와 백당나무, 분비나무와 정향나무, 정향나무와 호랑버들, 소나무와 젓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 신갈나무와 가래나무, 조릿대와 나래회나무, 고로쇠나무와 고광나무, 젓나무와 나래회나무, 사스래나무, 정향나무 및 호랑버들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2973~1.4633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지리산 연기암과 임걸령 지역의 산림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Yŏnkiam and Imgŏlryŏng Area in Mt. Chiri)

  • 송호경;이도한;이미정;이선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1-7
    • /
    • 1999
  • 지리산 연기암과 임걸령 지역의 산림 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TWINSPAN 방법을 사용하여 군락을 분류하고 산림군락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기암 지역의 산림 식생은 서어나무-졸참나무군락, 소나무-때죽나무군락, 갈참나무-서어나무군락, 갈참나무-졸참나무군락으로 분류되고, 임걸령 지역의 산림식생은 신갈나무-서어나무군락, 신갈나무-당단풍군락, 신갈나무-구상나무군락, 신갈나무-철쭉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연기암 지역에서 중요치 높은 종은 소나무, 서어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굴참나무 등의 순이며, 임걸령 지역에서 중요치가 높은 종은 신갈나무, 구상나무, 당단풍, 철쭉, 피나무 등의 순이다.

  • PDF

나무이의 계통분류 및 진화적 패턴 (나무이상과: 동시목) - 1. 호주나무이아과를 중심으로 (Evolutionary Pattern and Taxonomy of Psyllid (Homoptera: Psylloidea) 1. On the Subfamily Spondyliaspidinae)

  • Hee Cheon Park;Keith L. Tayler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9권1호
    • /
    • pp.139-147
    • /
    • 2003
  • Burckhardt (1987)는 분명하게 과들을 구분해 주는 형질이 없기 때문에 날개 및 생식기의 기본구조가 비슷한 Aphalaridae (모나무이과)와 Spondyliaspididae (호주나무이과)를 Psyllidae (나무이과)의 아과로 통합하였다. 나무이를 대상으로 형질의 기울기와 진화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호주를 포함한 전세계의 나무이를 분석하면서 호주나무이아과에 관하여 Burckhardt와는 다른 결과를 얻었다. 특히 호주나무이아과에 대한 분류학적 위치를 검토하기 위해 호주전역에서 채집된 28속 52종의 호주산나무이의 정소를 해부한 결과, 나무이의 정소 소포수 형질은 변이가 1-4개까지 나타났으며, 특히 Spondyliaspidinae (호주나무이아과)는 정소소포수가 공통적으로 1개였다. 호주나무이아과가 최근 신생대에 진화한 Eucalyptus 식물군을 기주로 하고, Gondwana 지역에서 폭발적인 종분화를 하였으며, 이 아과의 속 과 종 모두가 1개의 정소 소포수를 공통적으로 가진다는 점에서 호주나무이아과는 나무이과에서 독립된 호주나무이과로 분리하여야 한다.

체리나무(Prunus avium) '라핀'의 생육 및 과실 품질 (Growth and Fruit Quality of 'Lapins' Sweet Cherry (Prunus avium) in Forest)

  • 오성일;나민호;김철우;김만조;이욱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2-62
    • /
    • 2020
  • 체리나무는 앵두나무아과(Drupaceae) 벚나무속(Prunus) 앵두나무아속에 속하며 유럽 중남부와 소아시아가 원산지이다. 특히 온대지역에 잘 적응하는 체리나무는 재배기간 중 비가 적은 건조한 기후에 적합하다. 최근 국내에서 체리 소비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체리 수입량[6,454톤('11)→15,855톤('19)]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국내에서 체리나무 재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농경지 및 산지에 식재되어 생산량[289톤('09)→656톤('14)] 및 재배면적[60ha('08)→144ha('14)]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체리나무의 산지재배관련 연구는 전무한 실정으로 고품질 체리의 안정적 생산이 가능한 재배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지재배 체리나무의 생육, 결실 및 과실품질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품종은 '라핀(Lapins)'으로 대목은 '기셀라 6(Gisela 6)'을 사용한 3년과 4년생 체리나무를 조사하였다. 체리나무의 생육특성 조사 결과, 수고 및 근원경은 3년생 체리나무 234.0±23.0 cm, 5.1±0.7 cm로 나타났고 4년생 체리나무는 346.0±27.0 cm, 7.3±0.9 cm으로 조사되었다. 본당 착과수는 3년생 체리나무의 경우 과실이 착과되지 않았고 4년생 체리나무는 563.6±42.9개로 조사되었다. 4년생 체리나무의 과실특성을 조사한 결과, 입중 8.1±0.9 g, 당도 16.3 °Brix, 경도 9.8 N, 산도 1.3%로 조사되었으며, 본당 수확량은 4.6±0.3 kg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지리산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s of Stewartia koreana Forest in Mt. Jirisan)

  • 권혜진;권재환;정혜란;이지혜;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25-735
    • /
    • 2011
  • 본 연구는 지리산지역의 노각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식생과 토양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구배분석을 실시하였다. 노각나무림은 노각나무-졸참나무군락, 노각나무-신갈나무군락, 노각나무전형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노각나무-졸참나무군락은 서어나무아군락과 전형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노각나무는 해발고 409m에서 최고 1,604m까지 자생하였다. 노각나무군락의 중요치 분석결과 노각나무가 75.47%로 가장 높았으며, 졸참나무 21.83%, 신갈나무 18.65%, 당단풍나무 18.19%, 철쭉 10.56%, 때죽나무 10.36% 순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의 토양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유기물함량 3.15~39.1%, 전질소함량 0.37~11.7%, 유효인산함량 0.9~45.4mg/kg, 치환성 양이온 $K^+$ $0.09{\sim}1.48cmol^+/kg$, 토양 수분 19.28~55.47%, 토양 pH는 4.08~5.6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DCCA ordination을 이용한 노각나무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해발고에 의해 노각나무-신갈나무군락, 노각나무전형군락, 노각나무-졸참나무전형아군락, 서어나무아군락 순으로 분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