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노 위성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Growth of artificial Pb$ZrO_3$/Pb$TiO_3$ superlattices by pulsed laser deposition and their electrical properties (펄스레이져 증착법을 이용한 Pb$ZrO_3$/Pb$TiO_3$ 산화물 인공격자의 성장 및 전기적 특성)

  • 최택집;이광열;이재찬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54-54
    • /
    • 2003
  • 최근 새로운 개념에 물성 구현을 위한 강유전체 산화물 인공격자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펄스레이져 증착법을 이용하여 산소분압 100 mTorr와 증착온도 50$0^{\circ}C$에서 LSCO/MgO 기판 위에 PbTiO$_3$(PTO) 와 PbZrO$_3$(PZO)을 주기적으로 적층하여 강유전체 산화물 인공격자를 형성하였다. 인공격자의 주기는 1~100 unitcell 까지 변화시켰다. 적층주기와 두께 변화에 따른 PZO/PTO 인공격자의 성장과 전기적 특성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X선 회절분석을 통하여 PZO/PTO 인공격자는 주기가 25 unit cell 이하의 적층구조에서 초격자의 형성으로 인한 위성피크가 관찰되었으며, 그 이하의 낮은 주기(1~10 unitcell)에서는 위성피크와 강한 (100)과 (200) 성장거동을 보였다. 높은 주기에서는 c축 성장된 PTO와 a축 성장된 PZO 각각의 성장거동을 보였다. 적층 주기가 감소함에 따라 a축 성장된 PTO와 c축 성장된 PZO가 초격자를 형성하였다. 적층주기가 감소함에 따라 유전상수와 잔류분극값이 향상되었다. 유전상수는 1 unitcell 주기에서 800정도의 값을 보였고, 잔류분극값은 2 unitcell 주기에서 2Pr=38.7 $\mu$C/$\textrm{cm}^2$ 정도의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 적층주기가 2 unitcell에서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유전상수가 감소하였고, 20 nm 까지 분극반전에 의한 capacitance-voltage 특성곡선의 이력 현상(강유전성)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산화물 인공초격자에서의 유전상수와 잔류분극값의 향상에 대하여 논의 할 것이며, 임계크기효과 관점에서 나노사이즈(50 nm~5 nm)에서 인공초격자의 전기적 분극의 안정성에 대하여 또한 논의 할 것이다.소수성 가스의 경우70% 이상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광분해를 이용한 스크러버가 기존설비의 장.단점을 충분히 보완 가능한 환경 설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duty로 구동하였으며, duty비 증가에 따라 pulse의 on-time을 고정하고 frequency를 변화시켰다. dc까지 duty비가 증가됨에 따라 방출전류의 양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전압을 일정하게 고정시키고 각 duty비에서 시간에 따라 방출전류를 측정한 결과 duty비가 높을수록 방출전류가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각 duty비에서 방출전류의 양이 1/2로 감소하는 시점을 에미터의 수명으로 볼 때 duty비 대 에미터 수명관계를 구해 높은 duty비에서 전계방출을 시킴으로써 실제의 구동조건인 낮은 duty비에서의 수명을 단시간에 예측할 수 있었다. 단속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리 폐 관류는 정맥주입 방법에 비해 고농도의 cisplatin 투여로 인한 다른 장기에서의 농도 증가 없이 폐 조직에 약 50배 정도의 고농도 cisplatin을 투여할 수 있었으며, 또한 분리 폐 관류 시 cisplatin에 의한 직접적 폐 독성은 발견되지 않았다이 낮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10.0%(4/40) : 8.2%(20/244), p>0.05]. 결론: 비디오흉강경술에서 재발을 낮추기 위해 수술시 폐야 전체를 관찰하여 존재하는 폐기포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폐기포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와 이차성 자연기흉에 대해서는 흉막유착술에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디오흉강경수술은 통증이 적고, 입원기간이 짧고, 사회로의 복귀가 빠르며, 고위험군에 적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미용상의 이점이 크다는 면에서 자연기흉에 대해 유용한 치료방법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개흉술에 비해 재발율이 높고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더 세심한 주의와 장기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된

  • PDF

Measurement of the Axial Displacement Error of a Segmented Mirror Using a Fizeau Interferometer (피조 간섭계를 이용한 단일 조각거울 광축방향 변위 오차 측정)

  • Ha-Lim, Jang;Jae-Hyuck, Choi;Jae-Bong, Song;Hagyong, Kihm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34 no.1
    • /
    • pp.22-30
    • /
    • 2023
  • The use of segmented mirrors is one of the ways to make the primary mirror of a spaceborne satellite larger, where several small mirrors are combined into a large monolithic mirror. To align multiple segmented mirrors as one large mirror, there must be no discontinuity in the x, y-axis (tilt) and axial alignment error (piston) between adjacent mirrors. When the tilt and piston are removed, we can collect the light in one direction and get an expected clear image. Therefore, we need a precise wavefront sensor that can measure the alignment error of the segmented mirrors in nm scale. The tilt error can be easily detected by the point spread image of the segmented mirrors, while the piston error is hard to detect because of the absence of apparent features, but makes a downgraded image. In this paper we used an optical testing interferometer such as a Fizeau interferometer, which has various advantages when aligning the segmented mirror on the ground, and focused on measuring the axial displacement error of a segmented mirror as the basic research of measuring the piston errors between adjacent mirrors. First, we calc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xial displacement error of the segmented mirror and the surface defocus error of the interferometer and verified the calculated formula through experiments. Us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e analyzed the measurement uncertainty and obtained the limitation of the Fizeau interferometer in detecting axial displacement errors.

Development of High-Accuracy Image Centroiding Algorithm for CMOS-based Digital Sun Sensor (CMOS 기반의 디지털 태양센서를 위한 고정밀 이미지 중심 알고리즘의 개발)

  • Lee, Byung-Hoon;Chang, You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5 no.11
    • /
    • pp.1043-1051
    • /
    • 2007
  • The digital sun sensor calculates the incident sunlight angle using the sunlight image registered on a CMOS image sensor.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n exact center of the sunlight image has to be determined. Therefore, an accurate estimate of the centroid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igital sun sensor development. The most general 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roid is the thresholding method, and this method is also the simplest and easy to implement. Another centering algorithm often used is the image filtering method that utilizes image processing. The sun sensor accuracy using these methods, however, is quite susceptible to noise in the detected sunlight intensity.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 thresholding method where the accuracy changes according to the threshold level. In this paper, a template method that uses the sunlight image model to determine the centroid of the sunlight image is suggested, and the performance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The template method suggested, unlike the thresholding and image filtering method, has comparatively higher accuracy.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having consistent level of accuracy regardless of the noise level, which results in a higher reliability.

Fabrica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ponents of Planar Type MEMS Solid Propellant Thruster (평판형 MEMS 고체 추진제 추력기 요소 제작 및 성능 평가)

  • Park, Jong-Ik;Kwon, Se-J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6 no.6
    • /
    • pp.581-586
    • /
    • 2008
  • The MEMS solid propellant thrusters have very low thrust level for applying to the propulsion system of micro/nano satellites or the side jet thruster of smart bombs. In this research, the fabrication possibility of planar type MEMS solid propellant thrusters that have enlarged burning surface area was examined and the safety of the structure of thruster during the firing test was confirmed. The performance of a micro igniter which is the key component of the MEMS solid propellant thruster was estimated by the ANSYS Icepak and evaluated by the experiment. Finally, the thrust was measured by the micro force sensor. The levels of thrust were 300, 600 mN in the case of K=1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