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나노생산

Search Result 39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복합나노소자의 대량생산 기술 개발에 독보적 영역 구축 - 서울대학교 융합나노소자연구실

  • Park, Ji-Yeon
    • The Optical Journal
    • /
    • s.122
    • /
    • pp.25-27
    • /
    • 2009
  • 최근 나노기술이 발전을 거듭하면서 새로운 소자들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서울대학교 융합나노소자연구실은 탄소 나노튜브와 실리콘 나노선 등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의 첨단산업분야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소자들을 결합시켜 새로운 소자를 만들어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나노소자의 대량생산 기술에 관심을 갖고 세계적인 연구개발 업적을 꾸준히 내놓으면서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 PDF

Fabrication of Perforated Strings for Transparent Silicon Shingled Photovoltaic Modules (투광형 실리콘 슁글드 태양광 모듈을 위한 타공형 스트링 제작)

  • Kim, Han Jun;Park, Min-Joon;Song, Jinho;Jeong, Taewung;Moon, Daehan;Jeong, Chaehwan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v.8 no.4
    • /
    • pp.120-123
    • /
    • 2020
  • Transparent photovoltaics (PV) ar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s (BIPV). However, crystalline silicon (c-Si) is not used for developing transparent PV due to its opaque nature. Here. we fabficate the three holes in 6-inch c-Si solar cells using laser scribing process with an opening area ratio of about 6.8% for transparent c-Si solar modules. Moreover, we make the shingled strings using the perforated cells. Our 7 interconnected shingled string PV cells with 21 holes show a solar to power conversion of 5.721 W. In next work, we will fabricate a transparent c-Si PV module with perforated strings.

Printing Technology of Nano fiber under 900nm (900nm 이하급 나노섬유의 현장적용 날염기술)

  • Yong, Kwang-Joong;Lee, Beom-Soo;Lee, Hee-Jun;Hwang, Tea-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83-83
    • /
    • 2011
  • 나노섬유는 마이크로 섬유에 비해 $10^3$배 정도의 넓은 표면적을 가지며, 다른 섬유와 비교하여 유연성, 투습성과 같은 특성이 우수하다.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상용화의 가능성, 적용 고분자의 다양성, 제조공정의 단순성, 다양한 제품기술에의 응용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나노섬유의 제조기술은 방법에 따라 전기방사, 복합방사, 멜트블로운 공정, 에어레이드 공정, 습식 공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전기방사 등 나노섬유를 대량생산하여 상용화하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나 나노섬유의 염색가공에 관련되어 기술적 한계로 제품전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나노섬유 단독으로 제품화하기에는 강도 등의 문제로 PET에 워터펀칭한 복합소재로 개발하여 900nm 이하의 나노섬유에 대한 최적의 날염조건과 현장적용 생산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나노섬유 복합소재에 대하여 Brown, Red, Blue, Black 색상의 안료와 Urethane, Rubber, Acrylic, Eco Binder를 사용하여 날염 실험하였으며, 최적의 조건으로 현장생산에 적용하여 생산하였다. 안료의 고착성을 높여 날염성과 염색견뢰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원적외선 열처리기를 개발하여 현장생산에 접목시켰다. 원적외선 열처리기는 벙커C유 또는 가스 등을 사용하는 텐터나 증열기와는 다르게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원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건열시스템의 형태로 저공해 및 그린 형태의 열처리기 시스템으로, 섬유에 대한 원적외선의 조사거리, 원적외선 램프의 간격, 적용 온도, 원단이송 속도 등에 따른 최적의 원적외선 열처리기 날염조건을 설정하였다. 바인더에 따른 날염성은 우레탄계 바인더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가장 선명하고 깊은 색상을 보였으며, 아크릴계 바인더의 경우가 가장 낮은 색상을 보였으며 염색견뢰도는 대체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최근 환경적인 추세에 맞추어 에코 바인더를 사용하여 날염한 결과 염색성과 내구성 등은 우레탄계와 아크릴계 바인더의 중간 정도의 결과를 보였다.

  • PDF

Fabrication of Lightweight Flexible c-Si Shingled Photovoltaic Modules for Building-Applied Photovoltaics (건물 부착형 고경량 유연성 슁글드 태양광 모듈)

  • Minseob, Kim;Min-Joon, Park;Jinho, Shin;Eunbi, Lee;Chaehwan, Jeong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v.10 no.4
    • /
    • pp.107-110
    • /
    • 2022
  • Lightweight and flexible photovoltaic (PV) modules are attractive for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BIPV) applications because of their easy construction and applicability. In this study, we fabricated lightweight and flexible c-Si PV modules using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ETFE) front cover and shingled design string cells. The ETFE front cover instead of glass made the PV modules lighter in weight, and the shingled design string cells increased the flexibility. Finally, we fabricated a PV module with a conversion power of 240.08 W at an area of 1.25 m2 and weighed only 2 kg/m2. Moreover, to check the PV module's flexibility, we conducted a bending test. The difference of conversion power between the modules before and after bending shown was only 1.7 W, which showed a power reduction rate of about 0.7%.

Fabrication of Shingled Design Solar Module with Controllable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 (가로세로 폭의 제어가 가능한 슁글드 디자인 태양광 모듈 제조)

  • Min-Joon Park;Minseob Kim;Eunbi Lee;Yu-Jin Kim;Chaehwan Jeong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v.11 no.3
    • /
    • pp.75-78
    • /
    • 2023
  • Recently, the installation of photovoltaic modules in urban areas has been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demand for solar modules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is increasing. However, since the crystalline silicon solar module's size is proportional to the solar cell's size,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module that can be installed in a limited area. In this study, we fabricated a solar module with a shingled design that can control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 using a bi-directional laser scribing method. We fabricated a string cell with a width of 1/5 compared to the existing shingled design string cells using a bi-directional laser scribing method, and we fabricated a solar module by connecting three strings in parallel. Finally, we achieved a conversion power of 5.521 W at a 103 mm × 320 mm area.

Fabrication of Shingled Design Bifacial c-Si Photovoltaic Modules (슁글드 디자인 고출력 양면수광형 단결정 실리콘 태양광 모듈 제작)

  • Park, Min-Joon;Kim, Minseob;Shin, Jinho;Byeon, Su-Bin;Jeong, Chaehwan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v.10 no.1
    • /
    • pp.1-5
    • /
    • 2022
  • Bifacial photovoltaic (PV) technology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recent years due to the potential to achieve a higher annual energy yield compared to its monofacial PV systems. In this study, we fabricated the bifacial c-Si PV module with a shingled design using the conventional patterned bifacial solar cells. The shingled design PV module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a high-power modul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odule, it can have a much more active area due to the busbar-free structure. We employed the transparent backsheet for a light reception at the rear side of the PV module. Finally, we achieved a conversion power of 453.9 W for a 1300 mm × 2000 mm area. Moreover, we perform reliability tests to verify the durability of our Shingled Design Bifacial c-Si Photovoltaic module.

Fabrication of High-power Shingled PV Modules Integrated with Bent Steel Plates for the Roof (절곡 강판 일체형 고출력 슁글드 태양광 모듈 제조)

  • Eunbi Lee;Min-Joon Park;Minseob Kim;Jinho Shin;Sungmin Youn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v.11 no.2
    • /
    • pp.54-57
    • /
    • 2023
  • Recently, requirements fo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ng 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 Voltaic) modules had increased. To solve this problem, we fabricated shingled PV modules integrated with bent steel plates for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These PV modules could be constructed directly on the roof without the installation structure. We found optimal lamination conditions with supporting structures to fabricate a module on a bent steel plate. Moreover, we applied a shingled design to PV modules integrated with bent steel plates to achieve a high electrical output power. The shingled module with bent steel plates shows 142.80 W of solar-to-power conversion in 0.785 m2 area.

State-of-the-Art of Nanotechnology-based Food Products : Toxicity and Risk Assessment(II) (총설 - 나노기술을 적용한 식품의 독성 및 위해성평가 현황(II))

  • Chun, Hyang-Sook;Chang, Hyun-Joo;Ko, Sang-Hoon;Oh, Il-U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4 no.3
    • /
    • pp.308-324
    • /
    • 2011
  • 나노기술을 식품에 응용하게 되면 영양소의 전달, 식품의 색, 향미, 물성 등이 향상되고 식품 포장재나 분석에 응용하는 경우 저장성 증진이나 시료 전처리 효율 및 기기 감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유기 및 무기 나노입자, 나노섬유, 나노에멀전, 나노크레이 등의 나노물질을 식품첨가물, 건강기능소재, 식품 접촉물질 등으로 응용하는 시도가 식품산업계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나노물질의 사용범위가 다양해질수록 나노물질의 환경 및 인체 노출가능성은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아직 나노물질의 독성 및 위해성에 대해서는 초기 단계 수준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정도이다. 또한 나노기술의 위험 평가에 대한 신뢰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나노물질에 대한 유해성 자료의 생산뿐만 아니라 나노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노출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적절한 측정수단이 확립되어야 한다. 나아가 식품에 나노기술의 적용으로 인한 이익은 최대화하고 부작용은 최소화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식품나노물질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 폐기 등에 관한 전 생애(lifecycle) 평가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적절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