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김기덕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5초

김기덕 영화에 나타나는 무속적 상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hamanistic Symbols in Kim Ki-Duk's Film)

  • 김병선;한혜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0권
    • /
    • pp.94-120
    • /
    • 2010
  • 본 연구는 김기덕의 영화를 무속적 세계관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망해 보기 위한 논문이다. 연구를 통해 영화 매체가 지닌 원초적인 특성으로서, 그리고 김기덕 영화가 지니고 있는 내적 전형성 및 근원적 속성으로서의 제의성(祭儀性)을 드러내고자 했다. 분석을 위해서 연구자는 김기덕 영화 14편 전체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무속적 상징 구조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했다. 구체적으로 김기덕 영화에 등장하고 있는 인물들의 무속적 성격, 무속적 행위, 세계관의 특징, 관객과의 무속적 관계 등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김기덕은 영화를 통해 지속적인 굿판을 벌여왔으며, 영화가 지니고 있는 환상성, 제의성 등의 원초적 속성을 직접적으로 재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극히 한국적인 문화의 원형적 상징들을 영화의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남성과 여성의 화합이라는 김기덕 영화의 핵심적 서사는 고난 희생 죽음 등과 같은 무속적 제의 과정을 통해서 달성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 PDF

학술논문 - 문화융성을 견인하는 출판정책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제12권7호
    • /
    • pp.110-113
    • /
    • 2013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원장 이재호)은 최근 프레스센터 내셔널 프레스클럽에서 '창조경제시대, 문화융성을 견인하는 출판정책'이라는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김기태 세명대학교 교수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이민화 카이스트 초빙교수가 '창조경제와 출판'에 대해, 김기덕 건국대 교수가 '문화융성과 출판'에 대해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본지에서는 김기덕 교수가 주제 발표한 내용을 요약 게재한다.

  • PDF

고립된 장소의 서사적 기능에 대한 연구 -영화 <피에타>의 청계천 공구 상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arrative Effect of Insulated Locale like a Island focusing on the Cheonggye Industrial Tools Center of <Pieta>)

  • 유수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74-84
    • /
    • 2014
  • 영화의 장소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캐릭터를 묘사하거나 혹은 그 자체로 캐릭터가 되어 버리는 이미지텔링 영화를 만드는 대표적인 한국 감독으로 김기덕 감독을 들 수 있다. 김기덕 감독의 영화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고립된 섬과 같은 장소에 사는 외로운 사람들의 이야기라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서울 속 고립된 공간인 청계천 공구 상가에 사는 외로운 남녀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 피에타는 그 김기덕 감독 영화 인생의 정점에 선 영화이다. 이번 연구논문에서는 영화 피에타에서 보여지는 청계천 공구상가의 모습이 영화의 내러티브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있는지 장소가 가지는 영향력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김기덕 감독의 알레고리적 영화작가정신 고찰 (Introducing the Another Viewpoint of Dir. Kim, giduk's Auterism in the Allegory)

  • 김수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94-102
    • /
    • 2014
  • 김기덕 감독의 데뷔작은 <악어>(1996)이다. 이 영화는 새로운 캐릭터와 에피소드로 주류영화의 흐름을 무시하고 있다. 그의 영화 속에 나타나는 김기덕의 정서는 일상생활과 상식을 벗어나 그의 정서는 엽기적인 감성과 맞닿아 있다. 그를 한국영화문화의 테러리스트라고 명명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본 연구는 김기덕 작품세계에 나타난 영상이미지의 알레고리를 김수남의 '한국작가주의론'의 방식으로 재평가하고자 한다. 영화작가의 성장배경과 인생관 그리고 등장인물의 이념이 만들어낸 작품세계가 전달하는 알레고리적 주제의식을 다시 읽는다. 김기덕은 그의 영화를 통해 공간, 색채, 물, 동의반복의 영상 수사미학으로 관객과 소통하고 있으나 그의 알레고리는 사실 사회성이나 영화미학을 강조하기 보다 개인사적 욕구와 내면의 의미를 표출하고 있음이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