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긴 겸자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6초

위 절개술 접근과 긴 겸자를 이용한 식도 내 이물 제거 5례 (Gastrotomy Approach Retrieval of Esophageal Foreign Body using Long Forceps Technique in Five Dogs)

  • 윤헌영;강명곤;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28-631
    • /
    • 2009
  • 이물 섭취 병력을 보이는 다섯 마리 개가 건국대학교 부속 동물병원과 한강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에서 무기력, 식욕 감퇴, 구토 증상을 보였으며 일반 방사선 사진에서 심장 앞쪽 또는 뒤쪽 흉부 식도에 이물이 걸려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도의 조영 촬영에서 큰 이물에 의한 식도 팽창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흉강 내로의 조영제 누수는 관찰 되지 않았다. 위 절개술을 통한 식도 내 이물 제거를 긴 겸자를 이용하여 실시 하였다. 다섯 마리 모두에서 식도 내 이물을 성공적으로 제거하였다. 수술 후 10일 또는 2년에 정기 검진이 마무리 되었으며 수술과 관련한 구토, 연하 곤란, 식욕 저하, 과다 유연과 같은 합병 증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식도이물의 굴곡형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 (ESOPHAGEAL FOREIGN BODY REMOVAL WITH FIBEROPTIC ESOPHAGOSCOPY)

  • 박수헌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82-193
    • /
    • 1996
  • 식도내 이물은 종종 어린이나 식도질환을 가진 환자, 죄수들, 정신박약자 및 정신질환자등의 위험성이 높은 성인에서 흔히 발생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물은 저절로 위장관을 통과하나 날카롭고 뾰족하며 긴 이물은 위장관의 천공이나 혈관과 누공형성 및 다른 합병증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물의 섭취는 대개 환자나 다른 목격자에 의하여 복용한 병력으로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어린이나 정신박약자는 병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우선 의심하는 것이 중요한 진단방법이 될 수밖에 없다. 연하곤란과 연하통은 식도이물의 통상적인 증상이다. 주변기도의 압박으로 인한 호흡기 증상은 어린이에 흔하며 종종 성인에서도 관찰된다. 식도내 이물을 제거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굴곡형내시경을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이방법은 성인이나 어린이에서 전신마취없이 기존의 진정제 투여방법으로 시술할 수 있다. 이물제거에 사용되는 파지겸자와 올가미는 내시경이물제거술을 가능하게 하였고 굴곡형내시경에 사용되는 overtube는 기존의 강직 형내시경의 장점을 얻을 수 있어 뽀족하거나 날카로운 이물을 제거하는데 사용하게 되었다. 이런 내시경적이물제거 원칙을 잘 지키고 적절한 준비가 된다면 합병증이 거의 없이 98% 정도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내시경을 사용하지 않는 여러 가지 방법은 천공의 위험성이 높고 흡인성폐렴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낫다. 수술적인 처치는 천공이 되었거나 다른 이물로 인한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만 드물게 적용된다.

  • PDF

고양이 십이지장 점막 생검 시 내시경 생검 겸자가 조직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Endoscopic Forceps on the Quality of Duodenal Mucosal Biopsy in Healthy Cats)

  • 원진희;홍일화;장효미;엄나영;지초희;정해원;강병택;정동욱;정동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1-147
    • /
    • 2015
  • 본 연구는 고양이 십이지장에서 내시경적 조직 생검 시 사용된 다양한 겸자의 특징에 따른 조직의 질과 조직병리학적 적합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러한 내시경용 생검 겸자에 따른 조직의 질과 적합성에 대한 연구는 인의에서 다수 보고되었으며 최근 개에서의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고양이에서의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고양이에서의 결과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 3마리의 건강한 고양이의 십이지장에서 3가지 종류의 생검 겸자를 사용하여 두 명의 실험자가 각각의 겸자 당 5 개씩의 시료를 채취하여 총 90개의 십이지장 점막 조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조직은 각각 무게와 길이, 깊이, 부서진 인공구조, 조직병리학적 적합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내시경 생검용 겸자에 의한 조직의 질은 컵이 큰 겸자의 경우 더 무겁고 긴 조직을 얻는데 효과적인 결과를 얻었으며 이는 기존의 사람과 개에서의 연구와 비슷하다. 그러나 조직의 깊이와 부서진 인공구조, 특히 조직병리학적 적합성에 있어서는 겸자의 컵 크기나 모양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와 다른 점이다. 하지만 조직학적 적합성이 있다고 평가된 조직들은 길이가 길고 인공구조가 적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조직의 질은 겸자의 종류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겸자의 종류는 조직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간접적으로 조직학적 적합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바탕으로 고양이의 내시경적 생검 시, 비록 작은 컵의 겸자로도 조직병리학적으로 적합한 조직을 얻을 수 있지만 더 나은 질의 조직을 얻기 위해서 큰 컵의 겸자를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이 유발된 신생자돈에서 재산소-재관류기 동안 NG-monomethyl-L-arginine과 L-arginine이 뇌의 혈역학 및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G-monomethyl-L-arginine and L-arginine on cerebral hemodynamics and energy metabolism during reoxygenation-reperfusion after cerebral hypoxia-ischemia in newborn piglets)

  • 고선영;강샘;장윤실;박은애;박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3호
    • /
    • pp.317-325
    • /
    • 2006
  • 목 적 : 주산기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의 병태 생리에서 nitric oxide(NO)가 급성 저산소성 허혈(hypoxia-ischemia, HI) 후 재산소-재관류기(reoxygenation-reperfusion, RR)에 대뇌의 혈역학 및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NO 합성 억제제인 NG-monomethyl-L-arginine(L-NMMA)와 NO 합성 촉진제인 L-arginine(L-Arg) 투여를 통하여 뇌신경 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생후 3일 이내의 신생자돈 28마리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Sham 처치만 받은 정상 대조군(n=9), HI와 RR만 유발한 실험 대조군(n=7), HI 이후 RR 직전에 L-NMMA 투여군(n=6)과 L-arginine 투여군(n=6) 등 4군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은 ether을 흡입 시킨 후 thiopental을 정주하고, 기관 삽관 후 인공호흡기 등의 처지를 끝낸 후, HI를 유발하기 위하여 실험군에서 수술 겸자로 양측 경동맥을 폐쇄한 후 8% 산소로 30분간 흡입하였고, RR을 시행하기 위하여 경동맥 폐색을 풀고 흡입 산소농도를 60%로 올려 1시간까지 투여하면서 관찰하였다. 생리적 변수로 혈압과 동맥혈 가스 소견을 관찰하였고, 뇌의 혈역학적 변화와 에너지 상태는 near infrared spectroscopy(NIRS)를 이용하여 대뇌의 산화 헤모글로빈($HbO_2$), 환원헤모글로빈(Hb), 환산 헤모글로빈(HbD), 싸이토크롬 $aa_3$(Cyt $aa_3$)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실험 종료 시 얻은 뇌조직에서 $Na^+$, $K^+$-ATPase의 활성도 및 지질 대사산물인 conjugated dienes, 고에너지 인분자인 ATP(adeninetriphosphate)와 phosphocreatine(PCr)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생리적 변수의 변화에서는 실험군 모두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혈압, 동맥혈 산소 분압, pH, base excess 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젖산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L-NMMA와 L-Arg군에서 실험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실험군에서 RR 1시간 후 pH를 제외한 혈압, 동맥혈 산소 분압, base excess 등의 이상소견은 모두 기저치로 회복되었고,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NIRS 소견에서 $HbO_2$와 HbD는 HI 동안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RR 직후 기저치로 회복되었으며, $HbO_2$는 RR 40분 이후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Hb은 정상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 HI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P<0.05), RR 직후 기저치로 회복되었다. 산화 Cyt $aa_3$는 HI 동안 실험군 모두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RR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정상 대조군과 각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뇌의 $Na^+$, $K^+$-ATPase 활성도와 conjugated dienes은 실험군 모두에서 정상 대조군(제1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뇌의 ATP, phosphocreatine은 실험군 모두에서 정상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고, 또한 실험군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신생 자돈에서 급성 저산소성 허혈 이후 재산소-재관류기 동안 NO 합성 억제제인 L-NMMA나 NO 생성 촉진제인 L-arginine이 뇌 혈역학이나 뇌의 에너지 대사에는 특별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 따라서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에서 재산소화 재관류기 초기에는 NO가 뇌손상의 주요한 기전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뇌혈역학 및 생화학적 검사 결과 등에서 급성기에는 에너지 부전 상태가 주요한 세포손상 기전이 아니고, 이온 농도의 변화에 의한 뇌부종, 산소유리기에 의한 뇌세포 손상이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의 급성기에 주로 작용하는 뇌세포 손상의 주요 기전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NO 생성 억제제 혹은 생성 전구물질인 L-Arg은 뇌신경 세포 보호 효과를 보이지 않아 급성 주산기 가사의 치료제로서 제한이 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좀 더 명확한 효과를 보기 위하여 선택적 억제제의 사용, 제제의 용량 및 투여시기, 손상 후 좀더 긴 시간 이후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