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긴급 서비스

Search Result 26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ocial Safety Net U-119 System in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의 사회안전망 시스템 U-119)

  • Chai, Seung-Gi;Ko, Jin-Ho;Hwang, Jae-Dong;Kim, Ki-R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837-840
    • /
    • 2007
  • 사회가 고령화, 초핵가족화 및 재난취약계층이 늘어나면서 요구호자에 대한 고품질 맞춤형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소방방재청의 24*365 긴급대응서비스에 IT첨단기술, 바이오 의료기술을 접목하여 언제 어디서나 고품격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U-119시스템 개념, 구축사례 및 발전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Accessibility of Disaster-prevention Green Space for Earthquake Avoidance - Focused on Jung-gu and Nam-gu Office, Ulsan Metropolitan City - (방재 역할로써의 도시 내 공원녹지의 유형별 접근성 연구 - 울산광역시 중구와 남구를 대상으로 -)

  • Cao, Lin-Sen;Zhang, Zhong-Feng;Xia, Tian-Tian;Kang, Tai-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6
    • /
    • pp.90-97
    • /
    • 2017
  • Construction of urban emergency shelters based on disaster-prevention green space is an important part of an urban disaster response plan. The accessibility of disaster-prevention green space is directly rela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service effect of green space. Taking the Jung-gu and Nam-gu districts of Ulsan city as research targets, the accessibility of three green spaces was analyzed by a network analysis method based on information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green space and the urban road network. Two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service effect of green spaces were service population rate and service area ra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cessibility of the emergency refuge parks (5min) and central refuge parks was relatively good but the service area rate and service population rate of the emergency refuge parks (3min) and temporary refuge parks was less than 60%. In view of the overall situation, the service effect of disaster-prevention green space is at this point only general in Ulsan and there is great room for improvement.

S-124 표준기반 해사안전정보(MSI) 서비스 기술 개발

  • O, Se-Ung;Gang, Dong-U;Choe, Hyeo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04-105
    • /
    • 2018
  • 해사안전정보(MSI)는 항행경보, 기상특보, 안전관련 긴급 정보로 구성되어 NAVTEX와 SafetyNet 체계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으며, 서비스 개선을 위한 요구사항으로 해사안전정보의 필터링과 전자해도 시스템과의 연계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국제해사기구의 e-Navigation 전략이행계획의 해사서비스목록(MSP)으로 해사안전정보 서비스(MSP5)가 포함되었고, 국내외 e-Navigation 프로젝트에서는 국제표준에 기반한 해사안전정보 서비스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e-Navigation 사업의 중점 서비스로 개발 중인 S-124 표준기반 해사안전정보 서비스 기술 개발 배경과 주요 내용을 소개 한다. S-124는 항행경보와 T&P 항행경보를 포함하는 표준으로, 본 연구에서는 S-124 데이터 모델에 기반 하여 한국형 e-Navigation의 서비스 플랫폼인 MCP(Maritime Cloud Platform)를 통한 서비스 프로토타입 개발 결과를 기술 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otocol for u-Safety Service (u-안심 서비스 프로토콜 설계 및 구현)

  • Cho, Byung Soon;Lee, Jae Mi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12
    • /
    • pp.117-128
    • /
    • 2013
  • u-safety service system inter-works with the diverse operation agencies, through CCTV network, such as the emergency call terminal with built-in GP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afety service provider, relay system and CCTV control center. In the case of the emergency call, this service searches the location of caller in real time, and then continues to search the location of caller through the control of CCTV in the searched place, and can provide the several agencies like guardian, police office, fire station, hospitals, relief organizations and municipalities, with the divers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ecure rescue through SMS and wired network. In this paper, a new protocol and specification for u-safety service relay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effectiveness of presented protocol is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 The designed protocol of u-safety service is applied to real 3GPP and 3GPP2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to verify its performance.

Smart Elderly-care System using Smart-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고령자용 스마트 간병 시스템)

  • Cho, Myeon-gy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7 no.5
    • /
    • pp.129-135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o monitor the condition of elderly people who are uncomfortable by using smart-phone and biometric sensor at any time and for care-givers to provide with the best medical service anytime and anywhere. The proposed system monitors the status of the elderly through various bionic sensors installed in the hospital ward based on the Arduino system and not only provides the physiological and medical services required by the elderly, but also informs the guardian so that he can cope with the emergency.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a reading light used by elderly people can operate as a home server with a biosensor using Arduino and Android applications (Apps.), and the smart-phone of care-givers is configured as a remote management and a emergency call syste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important way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 for the both elderly people and care-givers of chronic diseases in the future.

Research on Metadata Schema for Data Exchange between Smart Housing Fire Service and Smart City Integration Platform (스마트하우징 화재 서비스의 스마트시티 플랫폼 연계 데이터 교환용 메타데이터 스키마 연구)

  • Dae-Kug Lee;Dae-Gyu Lee;Hyun-Kook Kahng;Choong-Ho Cho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5 no.2
    • /
    • pp.113-122
    • /
    • 2024
  • Recently, cutting-edge ICT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lockchain, edge computing, and the Internet of Things have been applied in various fields to create new services and a new digital era. Along with these technological developments, various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in Korea to transform the country from a "Smart City" to a "Platform City". We can create new services and values by linking with the Smart City Integrated Platform and Smart Housing Platform. This paper defines a linkage scenario between a Smart Housing Platform and the Smart 119 Emergency Dispatch Support Service, one of the Smart City Safety Nets. We propose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and a metadata schema for data exchange between the Smart Housing Platform and the Smart City Integrated Platform to provide the Smart 119 Emergency Dispatch Support Service.

Delay Analysis of Paging Channel Messages (페이징 채널 지연시간 분석)

  • 정용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220-222
    • /
    • 2000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수가 증가하고 다양한 서비스가 구현됨으로써 전체적인 장비 또는 자원에 대한 부하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셀의 반경이 작아지고 단문(Short Message)을 활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개발됨으로써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 페이징 메시지의 분류도 복잡해지고 페이징 채널의 부하도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페이징 패널의 구조와 역할을 분석하고 페이징 채널에서 전송하는 메시지를 그 기능과 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긴급하게 전송되어야 하는 메시지를 보호하기 위한 우선권 부여 방법을 모색하고, 각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종류별 전송지연시간(Delay)을 수리적으로 도출하고 결과를 비교한다.

  • PDF

A Study on the End-to-End Certification PKI system based on the Wireless Ad Hoc Networking (무선 Ad Hoc 통신망 기반 유.무선 PKI 통합 모델에 관한 연구)

  • 김동욱;남길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745-747
    • /
    • 2001
  • 인터넷과 개인휴대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유.무선 인증서비스는 PKI틀 기반으로 다양하게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유.무선이 혼재된 형태의 통신망에서 Client간의 통신에 필요한 인증체계에 대한 연구는 초기단계이며 특히, Ad Hoc 통신망과 같이 가변적인 Topology를 형성하는 특수한 상황에서 지속적인 인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국가비상사태와 같은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 신속히 구성되는 무선 Ad Hoc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인증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인증서 검증모델을 중심으로 유.무선PKI 통합모델을 제안한다.

  • PDF

항로표지 정보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 김태희;오세웅;김윤지;황선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66-68
    • /
    • 2021
  • 국내에 설치된 여러 종류의 항로표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항로표지 전산관리 시스템'이 존재한다. 하지만 현행 전산관리시스템은 IALA S-201(항로표지 기본정보), S-124(항로표지 변경정보), S-125(항로표지 긴급정보)데이터 표준을 기반으로 한 항로표지 정보 서비스 대응에 한계점이 있다. 또한, 미래의 스마트 항로표지 정보, 장비에 대한 추가 센서 정보, 새로운 해양자원 서비스에 대한 정보관리의 확장성을 위하여 새로운 '스마트 항로표지 정보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 PDF

올해 국내 LBS 시장 5,194억원 전망-2003년대비 40% 성장세 지속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167
    • /
    • pp.30-34
    • /
    • 2004
  • 향후 3년 이내 국내 이동전화가입자의 60%이상이 LBS 관련 부가서비스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물류, 긴급구조, 경로검색 등 고도화된 정보제공 및 다양한 응용분야로 그 적용 범위가 확대돼 2004년부터는 성장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