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후지역구분

Search Result 42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Future hydrological changes in Jeju Island based on AR6 climate change scenarios (AR6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제주도의 미래 수문 변화 전망)

  • Chul-Gyum Kim;Jaepil Cho;Jeong Eun Lee;Sun Woo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93-293
    • /
    • 2023
  • 2022년 발간된 IPCC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6차 평가보고서(AR6)에서는 미래 사회경제변화를 기준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미래의 완화와 적응 노력에 따라 5개의 시나리오로 구분된 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공통사회경제경로)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을 대상으로 SSP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수문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제주도 지역의 독특한 기후 및 지질학적 특성, 간헐적 하천유출 특성 등을 모의할 수 있는 유역모델링(SWAT)을 기반으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수문 변화를 분석하였다. 기후모형에 따른 미래 전망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SSP 시나리오 4종(SSP1-2.6, SSP2-4.5, SSP3-7.0, SSP5-8.5)에 대해 18개의 Global Climate Models (GCMs)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지역별 공간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하천구간과 고도 특성을 고려하여 총 299개 소유역으로 구분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각 GCM 및 SSP 시나리오별 산출된 유역모델링 모의자료를 기반으로 과거 historical 기간(1981~2010년)과 미래기간(2011~2100년)으로 구분하여 강수량, 유출량, 증발산량, 함양량 등에 대한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체로 모든 GCM 및 모든 SSP 시나리오에서 미래기간으로 갈수록 강수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부지역(제주시)보다는 남부지역(서귀포시)의 증가량이 많으며, SSP5-8.5 시나리오에서 상대적으로 변동폭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준증발산량 또한 기온의 증가에 따라 미래로 갈수록 기준증발산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SSP5-8.5 시나리오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증발산량의 절대값은 북부지역에서 더 크게 나타나며, SSP5-8.5에서 가장 큰 것으로 전망되었다. 과거기간 대비 변화율은 SSP5-8.5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며, 최소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

Future Projections of Köppen Climate Shifts in the Asia Regions Using A2 Scenario (A2 시나리오를 이용한 아시아 지역 기후대의 변화 전망)

  • Shin, Sang Hoon;Bae, Deg H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3
    • /
    • pp.253-265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urrent climate zone applied by K$\ddot{o}$ppen climate classification and the future climate zone projected by the A2 scenario in Asia regions.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were also analyzed. As regards to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variation of climate facto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will be increasing $4.0^{\circ}C$ and 12% respectively in the 2080s comparing with the reference period (1991~2010). Spatially, the range of temperature increase on the high latitude area is higher than that on the low latitude area. The precipitation will be increasing averagely in the overall area, but the spatial unequ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will be intensified. At the result of the future climate zone, the area of warm climates will be increasing while the area of cold climates will be decreasing. In 2080s, the temperature will be increasing as much as 7.2% and 1.9% on the Tropical climates and Arid climates respectively, but it will be decreasing as -2.4%, -4.9% and -1.8% on the Warm temperate climates, Cold climates and Polar climates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part of Savannah climates and Desert climates will be mostly increasing. It is mainly caused by the temperature increase and desertification impact according to global warming.

Zoning of Agroclimatic Regions Based on Climatic Characteristics During the Rice Planting Period (수도재배를 위한 농업지대기후구분)

  • Choi, Don-Hyang;Jung, Yeong-Sang;Kim, Byung-Chul;Kim, Man-Soo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0 no.3
    • /
    • pp.229-235
    • /
    • 1985
  • Zoning of the agroclimatic regions was attempted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drought index, effective temperature, meteorological factors and their standard deviation and a climatic productivity derived from yield response of rice to temperature and sunshine hours. The meteorological data obtained from synoptic weather stations under the Central Meteorology Office and simple weather observatories under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t 155 locations throughout the country were computerized in the PDP11/70, RDA Computer Center, to analyze the climatic similarities among the locations, except the Jeju Island. The nineteen different agroclimatic regions were classified, ego the Taebaeg Mountainous Region. the Charyung Southern Plain Region, etc., and the climatic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were identified.

  • PDF

극한기상에 의한 농경지 피해 분포 및 특성 분석

  • Song, In-Hong;Gang, Mun-Seong;Song, Jeong-Heon;Hwang, Sun-Ho;Kim, Sang-Min;Jang, Mi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06-406
    • /
    • 2012
  • 지구 온난화는 현재 진행형인 명확한 현상으로 이에 따른 이상기후는 곳곳에 기상재해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농업은 광범위한 면적을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극한기상에 취약한 분야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최근 십여년 동안 발생한 농업 기상재해 자료를 분석하여 기상재해의 지역적 분포 및 그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농업 기상재해는 면적과 비용측면으로 구분하여 농경지, 농업시설(온실, 축사 등), 어촌 세 개 범주로 구분하여 폭우, 태풍, 폭설에 대한 피해를 분석하였다. 주요 피해 유형으로는 범람, 유실/매몰, 시설피해로 구분하였으며, GIS 기법을 적용하여 각 피해유형에 대한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각 주제도를 중첩하고 지역 특성과 연계하여 농업기상재해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서해와 남해를 통해 범람 피해가 크게 나타났고, 내륙의 산간지역에서 유실과 매몰에 의한 피해가 크게 나타났다. 비용 측면에서 온실이나 축사 등 시설 피해가 지배적인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분석된 지역에 따른 기상피해 취약성 자료는 농업 기상재해 예방 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왕대속(Phyllostachys) 분포와 기후 요소의 관계

  • 허인혜;이승호;전영문;권원태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71-74
    • /
    • 2003
  • 식생은 기후, 지형, 토양 등의 자연 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그 중 기후 환경은 지역마다 다양한 식생의 분포를 야기 시킨다. 우리나라의 기후와 식생과의 관계는 Uyeki(1933)에 의해 비교적 광범위하게 다뤄졌으며, 우리나라의 위도 차이나 고도 차이에 의한 식생 구분은 기온에 의해 가장 영향을 받는 것이라고 연구되었다(Yim, 1977 a, b). (중략)

  • PDF

Future Projections on Subtropical Climate Regions over South Korea Using SRES A1B Data (A1B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아열대 기후구 전망)

  • Kwon, Young-Ah;Kwon, Won-Tae;Boo, Kyung-On;Choi, Young-Eu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3 s.120
    • /
    • pp.355-367
    • /
    • 2007
  • As the global warming has been influenced on various sectors including agriculture, fisheries and health, it is essential to project more accurate future climate for an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and adaptation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oundary changes in the subtropical climate region in South Korea using observed 30-year(1971-2000) data and projected 100-year data based on the IPCC SRES A1B emission scenario. We have selected Trewartha's climate classification among various climate classification, defining the subtropical climate region as the region with monthly mean temperature $10^{\circ}C$ or higher during 8-12 months. By observed data, the subtropical climate region was only limited in Jeju-do and the farmost southern coastal area(Busan, Tongyeong, Geoje, Yeosu, Wando, Mokpo) of South Korea. The future projected climate region for the period of 2071-2100 included have shown that subtropical climate region extended to most of stations except for the ares of Taebaeksan and Sobaeksan Mountains.

해수면 상승에 따른 영도 침수대책 연구

  • Hong, Seong-Gi;Gang, Yeong-Hun;Lee, H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267-269
    • /
    • 2013
  •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의 평균 해수면이 상승하고 그에 따라 연안지역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해수면의 상승이 연안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면이 바다와 접한 부산의 영도지역을 구체적인 대상으로 선정, 해수면 상승 영향에 따라 해수면을 평행단면으로 하여 상승 시 침수범위와 재해위험지역을 종합적으로 고려, 피해 예상지역 추출하고 침수취약지역을 그 침수특성 및 지역특성에 따라 세부적인 침수구역으로 구분하고 침수구역별로 자세한 침수대책을 마련한다.

  • PDF

Classification of Agro-climatic zones in Northeast District of China (중국 동북지역의 농업기후지대 구분)

  • Jung, Myung-Pyo;Hur, Jina;Park, Hye-Jin;Shim, Kyo-Moon;Ahn, Joong-Bae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7 no.2
    • /
    • pp.102-107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agro-climatic zones in Northeast district of China. For agro-climatic zoning, monthly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from Global Modeling and Assimilation Office (GMAO) of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USA) between 1979 and 2010 (http://disc.sci.gsfc.nasa.gov/) were collected. Altitude and vegetation fraction of East Asia from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were also used to classify them. The criteria of agro-climatic classification were altitude (200 m, between 200-800 m, 800 m), vegetation fraction (60%), annual mean temperature ($0^{\circ}C$), temperature in the hottest month ($22^{\circ}C$), and annual precipitation (700 mm). In Northeast district of China, mean annual temperature, annual precipitation, and solar radiation were $3.4^{\circ}C$, 613.2 mm, and $4,414.2MJ/m^2$ between 2009 and 2013, respectively. Twenty-two agro-climatic zones identified in Northeast district of China by metrics classification method, from which the map of agro-climatic zones for Northeast district of China was derived. The results could be useful as information for estimating ag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dicting crop development and crop yield of Northeast district of China as well as those of North Korea.

Identification of runoff variation using hydrological model and hydrological sensitivity analysis (수문모형과 수문학적 민감도 분석을 이용한 유량 변동량 규명)

  • Kim, Sang U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2-462
    • /
    • 2017
  • 유량은 기후적 요인과 인간활동 요인에 의하여 변동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난 30년 동안 전지구적인 기후변화와 특정지역에서의 인간활동의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된 바 있으므로, 합리적인 수자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요소들로 인한 유량의 변동량을 정량적으로 분리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와 같이 연강수량의 대부분이 특정 계절에 집중되는 국가나 유역에서는 월별, 계절별 및 년별로 구분된 수문분석을 시행하여야 보다 실질적인 수자원 관리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그러나 유량의 변동량을 특정 원인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는 기존의 홍수나 가뭄 자체에 관한 연구에 비해 미미한 형편이며, 다양한 시간단위를 이용한 원인별 유량 변동량의 산정에 관한 연구는 더욱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및 인간활동으로 인한 유량 변동량을 정량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수문모형(hydrological model)을 이용한 방법과 수문학적 민감도 (hydrological sensitivity) 분석 방법을 소양강 상류유역 및 섬강 유역에 대해 적용하고 유량 변동량의 결과를 월별, 분기별 및 년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두 유역에 대한 기후변화 및 인간활동의 양상을 강수, 온도, 유량, 인구변화, 불투수층 변화의 추세를 통해 파악하였으며, 인간활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급진적인 변동점을 탐색하기 위해 이중누가곡선, Pettitt 검정 및 베이지안 변동점 (Bayesian change point) 분석을 시행하였다. 탐색된 변동점을 활용하여 수문모형에 의한 유량 변동량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변동점 이전 구간에 대해 보정 및 검증된 SWAT모형을 사용하였으며, 6가지의 Budyko 곡선 함수들로부터 각각 유량 변동량을 산정하여 수문모형에 의한 유량 변동량을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문모형을 이용한 방법을 통해 두 유역에 대한 기후변화 및 인간활동으로 인한 유량 변동량을 정량화하였다. 소양강 상류유역은 기후변화로 인한 유량 변동량이 인간활동으로 인한 유량변동량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산정되었으며, 섬강 유역은 소양강 유역과 반대의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해당 분석결과를 월별 및 분기별로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특정 지역 및 시기에서의 합리적인 수자원 관리계획의 수립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

  • PDF

Classification of Climate Zones in South Korea Considering both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기온과 강수특성을 고려한 남한의 기후지역구분)

  • Park, Chang-Yong;Choi, Young-Eun;Moon, Ja-Yeon;Yun, Won-T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4 no.1
    • /
    • pp.1-16
    • /
    • 2009
  • This study aims to classify climate zones using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d clustering analyses considering both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features in South Korea. When examining climatic characteristics of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by seasons, the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is affected by topography and latitude for all seasons in South Korea. The distribution of rainfall demonstrated that the Yeongdong area, the southern coastal area and Jeju island have higher rainfall while the central area in Gyeongsangbuk-do is the least rainfall area. Clustering analyses of average linkage method and Ward's method was carried out using input variables derived from principal component scores calculated through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 for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Ward's method showed the best result of classification of climate zones. It was well reflected effects of topography, latitude, sea, the movement of surface pressure systems, and an administrative distri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