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후인자

Search Result 66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Forecasting of Pine-Mushroom Yield Using the 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 (조건부 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송이버섯 생산량 예측)

  • 이진희;신기일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3 no.2
    • /
    • pp.307-320
    • /
    • 2000
  • It has been studied to find relationships between pine-mushroom yield and climatic factors. Recently, Hyun-Park, Key-I! shin and Hyun-Joong Kim(1998)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pine-mushroom yield and climatic factors by autoregression model. In this paper, to improve the forecast we suggest the conditional autoregression model using probability of existing pine-mushroom production.

  • PDF

Evaluation on Drought Risk of the Korean peninsula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future water supply stability (기후변화와 미래 용수공급 안정성을 고려한 한반도 가뭄 위험도 평가)

  • Na, Byeong-Chan;Lee, Hyun-Ju;Sur, Chanyang;Choi, Si-Jung;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2-122
    • /
    • 2019
  • 가뭄위험도(Drought Risk)는 위해성(Hazard), 취약성(Vulnerability), 민감도(Sensitivity) 및 적응능력(Adaptive Capacity) 등 여러 가지의 지표를 활용하여 평가가 가능하다. 가용한 자료와 분석기법에 따라서 위해성과 취약성만으로도 평가가 가능하며, 유역내의 가용한 수자원인프라에 의한 적응능력을 포함하여 평가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가뭄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후학적 인자인 가뭄 위해성과 사회 경제적 인자인 취약성 인자 그리고 유역내의 수자원 인프라시설(용수공급 시설)에 의한 적응능력과 관련된 지표를 조합하였다. 특히, 물수요와 공급가능량을 고려한 물수지분석을 통하여 미래 용수공급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가뭄 위해성 인자를 Rating 기법을 활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취약성의 경우 인구밀도, 농경지 면적 등의 민감도와 적응능력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용수 부족량을 시나리오별로 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한반도의 미래 가뭄위험도 평가 결과는 유역별 가뭄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여름철 돈사시설(환경)및 기구관리

  • Yu, Jae-Il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10 no.6 s.106
    • /
    • pp.62-68
    • /
    • 1988
  • 하절기 환경관리의 대상 기후인자는 환경열(energy), 습도(바닥,공기),바람,강우 등이다. 개선방법으로 자연환경과 기계력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자연 환경의 응용형 돈사에서는 창의 열림 면적을 크게하는 것이 선호 된다.

  • PDF

교토 기후변화회의 결과와 개도국의 입장

  • 신성휘
    • 에너지협의회보
    • /
    • s.45
    • /
    • pp.11-21
    • /
    • 1998
  • 이 글의 목적은 의무분담(burden sharing) 문제, 특히 개도국의 의무분담 참여를 위한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토의정서 검토와 기후변화협상의 주요 인자(driving forces)와 지표(indicators)에 대해서 고찰한뒤 3가지의 의무분담 해결방안과 개도국의 참여형태를 제시한다.

  • PDF

Study on Changes in Watershed Runoff considering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유역 유출량의 변화 연구)

  • Park, Heeseong;Kim, Chul Gyum;Moon, Ja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05-405
    • /
    • 2017
  • 기후변화로 인해 수자원에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큰 영향은 유역에서의 유출량의 변화이다. 유출량의 변화는 가용한 수자원양의 변화를 의미하므로 미래 가뭄 등에 대한 대책 마련 등을 위해 합리적인 추정과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유역 유출량의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기상청의 과거 기상관측자료와 RCP 시나리오 자료를 기반으로 SWAT-K와 Tank 모형을 이용해 팔당댐 상류지역에서의 유역 유출량을 모의하였다. 특히 팔당댐 상류는 수도권의 2천만명에 가까운 인구에 대한 수자원의 공급을 담당하는 유역으로서 이 지역의 가뭄은 국가적인 재난을 일으킬 수 있어 매우 중요할 것이므로 기후변화에 의한 가용 수자원의 변화를 미리 예측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의 시 모의 대상 지역에 대한 지형학적 인자와 인문학적 인자 등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가정하고 단순하게 기후변화에 의한 강수량과 증발산량 등의 증감만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모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갈수량과 홍수량 등에 대한 빈도를 분석하여 유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통해 팔당댐 상류의 유역 유출량 변화를 통계적으로 예측해 볼 수 있으며, 해당 자료는 지자체의 수자원계획 수립 등에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Wind Erodibility of the Saemangeum Tideland Reclamation Project Area (새만금 간척지에서의 풍식예측에 관하여)

  • Jung, Yeong-Sang;Joo, Jin-Ho;Kwon, Seog-Cheol;Im, Jeong-Nam;Shin, Myeong-Ho;Choi, Kang-W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7 no.4
    • /
    • pp.207-211
    • /
    • 2004
  • Evaluation of wind erodibility for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area based on the wind erosion equation, WEQ, was attempted. Climatic factor was calculated with the climatic data for the Kunsan area, and soil erodibility factor was evaluated with the 108 soil samples collected from the project area. The soil erodibility evaluated from the non erodible aggregate percentage greater than 0.84 mm for the soil samples collected was $204.1Mg\;ha^{-1}\;yr^{-1}$ ranged from 50.08 to $642.37ha^{-1}\;yr^{-1}$. The annual climate factor based on the meteorological data in Kunsan was 3.67. The average amount of wind erosion with climate factor C from the climatic data from Kunsan and soil erodibility factor l from the soil in the project area was 7.49 Mg $ha^{-1}$ $yr^{-1}$ ranged from 1.84 Mg $ha^{-1}$ $yr^{-1}$ for silty clay loam soil to 23.57 Mg $ha^{-1}$ $yr^{-1}$ for sandy soil. The intensive wind erosion control should be needed for friable sand and loamy sand soils in the area.

Estimating Forest Site Productivity and Productive Areas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mongolica Using Environmental Variables (환경요인에 의한 상수리나무와 신갈나무의 임지생산력 및 적지 추정)

  • Shin, Man-Yong;Sung, Joo-Han;Chun, Jung-Hwa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4 no.2
    • /
    • pp.89-97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forest site productivity and productive areas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mongolica using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climatic variables. Using the data set from digital forest site map and forest climatic map, a total of 42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regressed on site index for developing the best site index equations for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mongolica. Five to six environmental factors by species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best site index equations. For the site index equations, three evaluation statistics (i.e., mean difference, standard deviation of difference, and standard error of difference) were applied to the test data set for the validation of the results, The site index equations fitted well to the test data set with relatively low bias and variation.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site index equations by species were well capable of estimating site quality. Finally, based on the site index equations, the productive areas by species were estimated by applying GIS technique to the digital forest map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productive areas by species was illustrated.

Calculation of Probability Precipitation using Hydrological climatic indices at Seoul (수문기상인자를 이용한 서울지점의 확률강우량 산정)

  • Oh, Tae-Suk;Moon, Young-Il;Yoon, Sun-Kwon;Yoon, Hyun-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93-1396
    • /
    • 2009
  • 일반적으로 확률강우량은 관측된 강우자료의 분석을 통해 산정하게 된다. 관측된 강우자료의 빈도해석을 통해 산정된 확률강우량은 기후변화 등을 반영하기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수문기상인자를 반영하여 서울지점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수문기상인자와 연최대시간강우량사이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는 CPPM(Climate Pattern and Precipitation Model)을 구축하고 서울 지점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에서 매개변수적 지점빈도해석의 결과와 CPPM 확률강우량은 비슷한 Qunatile을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지구온난화 등에 따른 기후변화에 따라 극한강우인 연최대강우량의 변화를 예측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Long-term rainfall prediction of Geum river basin using teleconnected climate indices (원격상관 기후지수를 이용한 금강유역 장기 강우량 예측)

  • Lee, Jeongwoo;Kim, Nam Won;Kim, ChuI-Gyum;Lee, Jeong 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11-211
    • /
    • 2018
  • 미해양대기청 기후예측센터(Climate Prediction Center, NOAA)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후지수(climate indices)를 예측인자로 하고 금강유역의 5~6월의 강우량을 예측대상으로 하는 원격상관기반 통계모형을 구축하였다. 1988년부터 2017년까지의 30년 자료에 대해 예측인자와 예측대상간의 시간지연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NAO(North Atlantic Oscillation), EP/NP(East Pacific/North Pacific Oscillation), EA(East Atlantic Pattern), WP(Western Pacific Index) 등과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시간지연 기후지수를 이용하여 4개월전에 5,6월 강수량을 예측할 수 있는 다중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관측 강우량 아노말리가 큰 경우에는 다소 과소 예측되고, 아노말리가 작은 경우에는 다소 과다 예측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관측 강우량과 예측 강우량간의 상관계수가 0.75로서 비교적 우수한 예측 결과를 나타내었다. 5~6월 강우량 아노말리의 3분위 예측성을 평가한 결과 평년이상 적중률은 77.8%, 평년수준은 81.8%로서 예측 성공률이 높았으며, 5, 6월 누적강우량이 매우 작았던 92년과 95년을 제외하고는 강우량이 적은 해에도 예측성이 우수하여 평년이하 적중률이 70.0%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개발모형은 최소 4개월 이전 선행시간을 가지고 늦봄, 초여름강우량을 예측할 수 있는 저비용의 가뭄 예측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