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자아탄력성과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Women's Lif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lasticity and Coping stances)

  • 최재훈;김은혜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4호
    • /
    • pp.63-72
    • /
    • 2020
  •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에 자아탄력성과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거주하는 30~60대 기혼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2일~15일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상관관계,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obel test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는 여러 원인 중에서도 경제문제, 자녀관계, 고부갈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파악되었고, 생활만족도와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생활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가 관련성이 있으며, 생활만족도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영향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대처방식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로써 자아탄력성과 대처방식을 향상할 경우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를 완화하여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학력 기혼여성의 취업여부에 따른 식생활 및 신체활동 평가와 건강증진생활양식 예측모형 구축

  • 최지현;정영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9.2-400
    • /
    • 2004
  • 여성의 고학력화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날로 증가되는 현실에서 기혼여성의 건강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건강증진생활양식의 핵심 요소인 식생활과 신체활동 상태를 평가하고, 기혼여성의 건강증진생활 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상호관계와 각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취업 여부별로 건강증진생활양식 예측모형 구축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대졸 이상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가정과 사회에서 맡고 있는 역할의 수, 각 역할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 및 부담도, 가족 및 기타 가사관리자의 조력, 스트레스ㆍ우울ㆍ피로와 같은 심리적ㆍ신체적 증상과, 자아효능감, 그리고 건강증진생활양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중략)

  • PDF

중년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고통감내력과 반추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ried Middle-aged Women's Life Stress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and Rumination-)

  • 김은숙;정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38-650
    • /
    • 2019
  •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서울과 경기도, 대전 지역의 중년 기혼 여성 32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와 AMOS를 이용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스트레스는 반추와 우울에 정적 상관, 고통감내력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우울은 반추와 정적 상관, 고통감내력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고통감내력과 반추도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반추가 각각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반추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 고통감내력, 반추가 우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기혼 직장여성의 코로나 19로 인한 가족생활 변화와 일상스트레스, 일-가정양립갈등 그리고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Family Life due to COVID-19, Daily Stress,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 신효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251-260
    • /
    • 2022
  • 본 연구는 기혼 직장여성의 코로나 19로 인한 가족생활 변화, 일상스트레스, 일-가정양립갈등 그리고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코로나 19로 인한 스트레스 상황 속에서 이들의 일-가정양립 갈등 감소와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대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20년에 조사된 여성 가족 패널조사 8차 년도 데이터에서 기혼여성 임금노동자를 추출한 1,934명이 분석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해 Amos 20.0으로 경로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 19로 인한 가족생활 변화가 기혼 직장여성의 일-가정양립 갈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일상스트레스를 통해서 일-가정양립갈등 증가와 직무만족도 감소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일상스트레스가 일-가정양립갈등 증가와 직무만족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일-가정양립갈등이 직무만족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에 따라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기혼직장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분석: 제7차 여성가족패널조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Married Working Women: The 7th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2017))

  • 이신애;송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75-485
    • /
    • 2021
  • 본 연구는 기혼직장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여성가족패널조사(2017년) 자료를 활용하여 2차 분석을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만 19세 이상 64세 이하의 기혼직장여성 총 3,820명을 대상으로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혼생활 특성에서는 결혼생활에 대한 감정(p=.003), 남편에 대한 인식(p<.001), 가사노동 분담 만족도(p=.008), 자녀 수(p=.027), 건강 특성에서는 지각된 건강상태,(p<.001) 흡연 여부(p=.012), 직업 특성에서는 평균 월급(p=.008), 일 만족도(p=.006)가 기혼직장여성의 우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혼직장여성의 우울관리와 예방을 위해서는 결혼생활과 관련된 업무를 배우자와 협의하여 동등하게 배분할 수 있는 가정 내에서의 노력뿐 아니라 개인의 지각된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흡연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준다는 잘못된 인식에 대한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Daily Stress on Happiness of Middle-aged Women: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최미연;고정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5호
    • /
    • pp.49-56
    • /
    • 2024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행복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여성가족패널 8차 조사를 활용하였다. 표본은 만 55세 이상~ 만 64세 기혼 중년여성 1,673명을 대상으로, SPSS WIN 25.0을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기술통계⋅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Baron & Kenny의 분석방법을 통해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행복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우울감은 부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년여성의 행복감을 증진시켜 이후 노년기까지 이어질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방안과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혼여성의 취업 여부에 따른 둘째자녀 출산의도: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중심으로 (Exploring pathways from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aring to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by the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 신나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05-42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athways among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mothers' intention to have a second child. As for factors affecting the childbirth intention of mother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athways from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to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as mediating variables,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third wave data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that is a national-representative birth-cohort study. Among the 1,802 participants of the PSKC, 717 mothers who have a husband/partner and only one child have responded a decided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SPSS 19.0 and Amos 19.0 were used to implement exploratory analyses of predictors and test path models. Results showed that the hypothetical model assuming a path from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aring to mothers'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mediated by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fitted the data of working mothers and non-working mothers well. The results suggest policies focusing on intern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dynamics in the family.

기혼 취업여성의 가족생활 및 직업생활 경험과 심리적 복지 이형실; 15-23 검수 목록보기 (Family, Work Experiences and Phychological Well-being among Employed Wives)

  • 이형실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8권3호통권47호
    • /
    • pp.15-2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work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employed wives. Data were collected from 258 full-time employed wives in dual-earner families. 63.6% of respondents were in their 30s and 36.4% in their 40s. Educational and income level was above average. Employed wives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stress and satisfaction in parenting than in marital relationships and work.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higher levels of marital stress and parenting stress were negatively related to work satisfaction for employed wives in dual-earner couples. Work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parenting satisfaction. However, marital satisfaction was not influenced by parenting stress and work stress.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marital, work and parenting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employed wives. The size of effects were found to be greater for marital and work satisfaction than for parenting satisfaction.

  • PDF

기혼 여성소비자의 소비스트레스 대처유형과 관련 변수: 사회인구학적 변수, 사회계층, 건강상태 지각 및 소비스트레스를 중심으로 (Consumption Stress Coping Types Among Married Women Consumers and Related Variables: Focused on Socio-economic Variables, Social Cla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Consumption Stress)

  • 복미정;서정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38
    • /
    • 2015
  • This paper focused to classify the consumption stress coping types among married women consumer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socio-economic variables, social cla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consumption stress among coping types. Data were collected from 500 married women through online surveys in South Korea. Two factors of consumption stress(consumption stress before purchase, consumption stress after purchase), and three factors of consumption stress coping(Social support coping, problem solving focused coping, Passive avoidance coping) were identified. K-mean cluster analysis classified into 4 coping types with consumption stress coping. 15% of the sample were included to the passive coping type, and 25% were classified into the ambivalent coping type. 26.8% of the sample were identified to the active coping type, and 35.2% were maladaptive coping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onsumption stress coping types on education, family income, social class, health status, consumption stress after purchase. Consumer education programs should develop and implement especially for passive coping type and maladaptive coping type to cope effectively with consumption stress.

기혼 여성의 성역할태도, 일·가정양립, 생활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Effect of Gender Role Attitude and Work·Family Balance Perceived by Married Career Women on Life Stress :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 한혜림;이지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5호
    • /
    • pp.425-433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gender role attitude and work family balance on life stress for married career women. We als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on the relation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work family balance, and life stress. The subjects were married women from the five year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KLoWF).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al models, and Sobel test with SPSS software ver. 23.0, and Amos software ver. 23.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role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life stress, but work family balan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ife stress. Second, marital intimacy mediated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work family balance, and life stress. In conclusion,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event life stress in married career women and increase marital intim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