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호의 분류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초

북한의 군중도서관용 '도서분류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of North Korean)

  • 남태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92
    • /
    • 2000
  • 본 논문은 북한의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편찬하여 1964년에 발행한 군중 도서관용 '도서 분류표'에 대한 연구이다. 이는 북한에서 표준분류표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문헌분류표로서 그 중요성이 인정된다. 그래서 이에 대한 내용적 분석연구이다. '도서 분류표'의 입수가 그 동안 불가능한 관계로 남한에서는 전혀 연구되어진 바가 없다. 이 '도서 분류표'의 연구는 처녀림에 해당된다. 군중도서관용 북한의 '도서 분류표'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분류의 원칙, 학문의 분류 그리고 기호법의 원칙과 보조 기호법들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여 그 분류법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북한의 문헌분류표가 남한에 전혀 소개되지 못한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소개하는 데에도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 분류표에 나타난 주제를 기반으로 북한의 학문적 발전 분화과정도 규명하였다. 또한 이것은 차후 문헌분류법에 있어서도 남북의 통일을 대비한 시도이기도 하다.

  • PDF

기호학 관점에서의 문자와 식 분석 (Letters and Expressions in View of Semiotic)

  • 김선희;이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1호
    • /
    • pp.59-76
    • /
    • 2003
  • 학교수학에서 학생들이 수학을 학습하고 문제해결을 하는 데에는 기호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기호학의 분야인 구문론, 의미론, 화용론의 관점에서 수학 7-가 문자와 식 영역의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고, 교수학적으로 대수 기호가 도입되고 전개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기호학 관점에서 교과서의 대수 기호를 분류하고 문제 구성 분포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의 대수 개념 설명과 문제들은 주로 구문론과 의미론의 관점이 많았으며, 화용론적 관점의 언급은 거의 없었다. 마지막으로, 대수 기호에 의한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을 예측하기 위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문론과 화용론의 점수가 대수적 문제해결 점수의 예측 변수였다.

  • PDF

DDC 음악류의 조합식 구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et Structure of Music in DDC)

  • 정해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47-170
    • /
    • 2001
  • 본 연구는 열거식 체계가 조합식으로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DDC 음악류의 패싯구조를 분석하여 패싯기호 0은 표준구분과 음악의 일반원리, 패싯기호 1은 일반원리와 음악형식을 의미하는 기호로 사용한다. 그러나 기호의 의미가 이중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기호 안에서 구분 능력이 부족한 것을 볼 수 있다.

  • PDF

웹 장르의 커뮤니케이션 체계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system of web genre)

  • 오병근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351-360
    • /
    • 2003
  • 현재의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장르의 융합현상 등 장르체계의 현상에 대한 인식이 효율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장르는 예술분야에서 그 실체나 특성의 구분을 위해 적용되었던 개념으로 오늘날에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체계의 구조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장르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요소의 정의는 형태와 내용의 체계를 파악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그동안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툴인 웹의 유형별 분류를 위해서 웹이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 그 기준을 적용해 왔다. 본고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써 웹의 유형분류를 위해 장르의 개념을 적용하여 웹 장르의 구성요소를 형태와 내용, 그리고 기능의 체계를 파악하였다. 형태와 내용에 의한 웹 장르의 특성을 정의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차원의 웹 유형을 보다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논하였다. 형태와 내용, 기능의 장르요소가 커뮤니케이션과정에서 상호 작용하는 이론적 체계를 정립해 보기 위해 기호와 기호대상, 해석체로 이루어지는 기호작용이론인 퍼스의 3항 기호론을 적용하였다. 기호자체는 웹의 고유 목적인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에 대입되고, 기호대상은 웹의 형태에 대입되고, 기호의 해석체에 해당하는 것은 의미의 발생과 작용을 하는 웹의 내용에 대입된다. 또한 기호는 기호대상을 정의하고 해석체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므로 이를 웹 장르 요소의 관계구조에 적용하면, 웹의 형태는 기능을 따르고, 기능은 웹의 내용을 따른다는 논리의 확장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론적 대입을 통하여 웹의 커뮤니케이션과정에서 장르요소가 체계를 가지고 의미작용을 한가는 개념이 정립되었다. 현재의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장르의 융합 등, 장르체계의 현상에 대한 개념인식이 효율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슬라이딩 윈도우 기반 다변량 스트림 데이타 분류 기법 (A Sliding Window-based Multivariate Stream Data Classification)

  • 서성보;강재우;남광우;류근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2호
    • /
    • pp.163-174
    • /
    • 2006
  • 분산 센서 네트워크에서 대용량 스트림 데이타를 제한된 네트워크, 전력,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모든 센서 데이타를 전송하고 분석하는 것은 어렵고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타를 사전에 분류하여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데이타를 처리하는 데이타 분류 기법이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는 다차원 센서에서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스트림 데이타를 슬라이딩 윈도우 단위로 데이타를 분류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전처리 단계와 분류단계로 구성된다. 전처리 단계는 다변량 스트림 데이타를 포함한 각 슬라이딩 윈도우 입력에 대해 데이타의 변화 특성에 따라 문자 기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이산적 문자열 데이타 집합으로 변환한다. 분류단계는 각 윈도우마다 생성된 이산적 문자열 데이타를 분류하기 위해 표준 문서 분류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실험을 위해 우리는 Supervised 학습(베이지안 분류기, SVM)과 Unsupervised 학습(Jaccard, TFIDF, Jaro, Jaro Winkler) 알고리즘을 비교하고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SVM과 TFIDF 기법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속성간의 상관 정도와 인접한 각 문자 기호를 연결한 n-gram방식을 함께 고려하였을 때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MSG와 핵초표조미료의 맛 상승결과

  • 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및 특별 강연초록
    • /
    • pp.200.2-201
    • /
    • 1977
  • 식품의 맛은 식품에 대한 사람의 기호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 만 아니라 식품의 품질을 결정하여 주는 중요한 인자로 되어 있다. 맛의 종류는 옛부터 여러가지 분류하여 왔으나 20세기에 들어와서는 맛의 분류를 단맛, 신맛, 짠맛, 쓴맛의 네가지 기본적인 맛으로 통일되어 왔다.(중략)

  • PDF

UDC의 적용분야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Applicable Fields of UDC)

  • 이창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21
    • /
    • 2004
  • 이 연구는 UDC의 최근동향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UDC의 역사적 배경과 그 분류표의 유지관리 및 개정, 그리고 UDC가 최근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UDC는 1905년이래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 UDCC가 관리를 하며 전자적으로 이용가능 한 MRF를 매년 갱신함으로 써 최신성을 유지하고 있다. UDC는 기호의 생략정도에 따라 표준판, 확장판, 간략판으로 출판하고 있으며, 온라인 상에서도 UDC를 이용할 수 있다. UDC는 현재 서가배열, SDI 서비스, 서지의 주제별탐색, 교환언어로서 또는 인터넷상에서의 주제 게이트웨이와 메타데이터, 자동분류 등에 적용되고 있다.

  • PDF

회전 불변 제르니케 모멘트를 이용한 실시간 지하철 기호 객체 검출 (Real-time Sign Object Detection in Subway station using Rotation-invariant Zernike Moment)

  • 원선희;김계영;최형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79-289
    • /
    • 2011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실시간 보행보조 시스템의 안전한 보행안내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신 하드웨어 기술과 소프트웨어 기술이 결합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보행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보행할 수 있도록 장애물 검출 및 인지와 장소인식, 기호인식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보행보조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기호인식을 위해 지하철 역 내부에서의 기호 객체 검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은 조명과 잡음이 존재하는 복잡한 환경으로부터 기호 객체 영역을 강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적응적인 특징맵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보행 시 객체의 이동, 회전 및 크기에 불변하도록 고속 제르니케 모멘트 특징을 이용하여 기호를 인식한다. 화살표, 화장실, 출구번호 3개의 기호를 대상으로 하며, 에이다부스트 분류기를 이용하여 기호를 학습 및 인식한다. 실험결과에서는 5000장의 기호영상 데이터 베이스의 3개의 기호에 대해 평균 87.16%의 검출율과 20 frame/sec의 처리속도를 통해 안정적이며 실시간 시스템에 적합함을 입증한다.

식물학문헌을 위한 자동분류시스템의 개발 (Developing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for Botanical Literatures)

  • 김정현;이경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99-117
    • /
    • 2001
  • 본 연구는 분류자동화를 위해 이미 연구된 바 있는 농학 및 의학분야의 AutoBC 시스템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식물학분야의 문헌에 대해 분류자동화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CC의 원리를 응용하여 실험 및 검증한 것이다. 분류자동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원통형과 행렬식의 원리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문헌의 표제나 키워드를 입력하여 자동적인 주제인지 및 분류기호가 생성될 수 있는 윈도우용 자동분류시스템을 새로이 개발하여 실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