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호성

Search Result 3,18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축산계 천연 조미료의 현황과 가공식품에의 이용

  • Park, U-Mu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7 no.1
    • /
    • pp.10-21
    • /
    • 1994
  • 최근 국민소득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식생활 패턴에도 커다란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식생활에 있어서 기호의 다양화, 생활의 고도화 그리고 식품가공기술의 발단과 더불어 편의 식품등 가공식품의 보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공식품 산업의 역할은 보존성, 기호성 및 편리성의 향상이며 이중에서 특히 기호성의 향상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기호성의 향상에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 조미료이며 식생활의 다양화, 고급화에 따라서 조미료의 사용에 있어서도 종전의 글루타민산 나트륨(mono-sodium glutamate)으로부터 동식물 엑기스 등의 천연 조미료를 이용하려는 변화가 오래전부터 일고 있다. 천연 조미료가 소재가 될수있는 소재는 동식물성 식품중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나 그중 축육류는 풍부한 영양성과 더불어 소비자의 기호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독특한 향미성이 있어 각종 조리 및 라면스프, 육제품등 가공식품의 조미 소재로서 이용도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 PDF

Comparison of Palatability of Frozen Beef and Vacuum Chilled Beef during Storage Period (저장기간별 동결우육과 진공포장 냉장우육의 기호성 비교)

  • 김미숙;정인철;문윤희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0 no.3
    • /
    • pp.192-198
    • /
    • 2000
  • 홀스타인 도체를 두쪽으로 나누어 한쪽은 진공포장하여 1$^{\circ}C$에 냉장하고(냉장육), 나머지 한쪽은 함기포장하여 -2$0^{\circ}C$에 동결하였다. (동결육). 두시료의 기호성을 저장 20일, 40일, 및 60일째에 비교하였으며, 비단백태 질소화합물 함량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또. 냉장육의 진공포장을 개봉하거나. 동결육을 해동한 후 재냉장한 것에 대해서도 기호성을 비교하였다. 생육향의 경우, 20일과 40일에는 냉장육이 우수하였으나 60일에는 오히려 동결육이 우수하여 진공포장육은 냉장기간이 길어지면서 산소 부족으로 인한 생육향 생성이 적은 현상을 보였다. 두 시료를 재냉장한 후의 생육향도 마찬가지였다. 저장 20일과 40일에현저한 차이는 아니지만 냉장육이 우수한 반면 60일에는 동결육이 우수하였다. 연도는 저장기간에 관계 없이 냉장육이 우수하였고, 해동 후 재냉장에 의해서 향상되었다. 가열육의 기호성은 저장기간에 관계없이 냉장육이 우수하였으며 20일(p<0.01)에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재냉장한 우육의 기호성은 저장 20일(p<0.05)과 40일(p<0.01)의 것은 냉장육이 우수한 반면 60일의 것은 동결육이 우수하였다. 냉장육의 기호성과 비단백태 질소화합물의 상관관계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동결육의 경우 inosin의 유의적인 상관관계(r=0.48)를 보였다.

  • PDF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Ojeoksan(Herbal Medicine) Meal Silage by Molasses Supplementation (당밀의 첨가가 오적산박 사일리지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 Moon, Gye-Bong;Kim, Sung-Bok;Cha, Sang-Woo;Lee, Bong-Duk;Cho, Sung-Kyung;Lee, Soo-Kee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34 no.1
    • /
    • pp.77-84
    • /
    • 2007
  • 당밀의 첨가가 오적산박 사일리지의 품질 및 한국재래산양에 대한 기호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두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I에서는 오적산박에 당밀을 0, 0.5 및 1.0%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였고, 실험 II에서는 오적산박 사일리지의 기호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9두의 우리나라 재래산양을 공시하여 당밀 첨가수준별 및 옥수수 사일리지와의 섭취량을 비교하였다. 실험 I에서는 당밀의 첨가에 의하여 젖산함량이 유의하게 많아지고, pH와 낙산은 낮게 나타났다. 당밀의 첨가로 사일리지액의 유산균배지 배양시험에 있어 총균수는 증가하였고, 곰팡이 균주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당밀의 첨가에 따라 체외 건물 소실율이 증가하였다. 실험 II에서는 당밀의 첨가가 사일리지 건물섭취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 하였으며, 오적산박 사일리지는 옥수수 사일리지에 비하여 기호성이 좋았다. 결론적으로 오적산박 사일리지에 대한 당밀의 첨가수준은 1% 정도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체외 소화율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Persimmon Leaf Tea (전처리 조건이 감잎차의 품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 김미자;오상룡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6 no.4
    • /
    • pp.435-441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nsory evaluation of persimmon leaf by roasting and steaming. The good sensory evaluation of persimmon leaf tea of cutting after different steamed times was shown in 3 minutes and 5 minutes steamed tea. Taste sensory score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increasing of soluble solid and extraction yield and the increasing of color sensory score had relation to increasing of color value. The best sensory score was in roasted persimmon leaf tea of 5 minutes roasting in persimmon leaf tea of cutting after steaming of 3 minutes and 5 minutes. The best sensory score was shown in 3 minutes steamed in 5 minutes roasted which was culled after different steaming times. The total sensory non of roasted tea was influenced from preprocessing and total sensory score of roasted tea was higher than Just steamed tea. According to above result, the sensory score of roasted tea was more higher than steamed tea and the highest score was in 5 minutes roasted tea which was cutted after 3 minutes steamed.

  • PDF

Semiotlcal Analysis for the Educational Games (교육용 게임을 위한 기호학적 분석)

  • Park, Hyung-Sung;Park, Su-Hee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8 no.1
    • /
    • pp.29-39
    • /
    • 2008
  •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uses semiotic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essential aspects of educational games. The basic concepts of semiotics and their relevance to education are explored, as well as how signs are shown in a particular educational game is examined. Several semiotic theories which can assist in analyzing educational game are examined. Roller coaster Tycoon2, an educational game, is analyzed using Peirce's semiology in which education is defined in terms of signs and semiosis. As a result of analyzing Roller Coaster Tycoon2, a educational game, through Peirces semiology, the game was found to contain all the different types of signs. It contains the three types of signs (sign, object, interpretant) as well as firstness, secondness, and thirdness. Especially, the second and third has a major part in Roller Coaster Tycoon2. The sign of the second is assists in logical and creative thinking, the third is assists in creative. It appears often in the game due to the real-time strategy game environment in which problems are solved by planning logical strategies after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veral signs.

  • PDF

Effects of Freezing Period and Chilling Process after Tawing on the Palatability of Beet Loin (동결기간과 해동 후 냉장이 우육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 김미숙;양종범;문윤희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0 no.4
    • /
    • pp.282-287
    • /
    • 2000
  • 동결기간과 해동 후 재냉장이 우육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도축 후 1일 냉장한 홀 스타인 등심육을- 2$0^{\circ}C$에 동결하여 20, 40 및 60일째에 해동하는것과 이것을 1$^{\circ}C$에 재냉장한 것의 전단력가, 부수성, 액토미 오신의 추출성과 ATPase 활성에 대한 실험과 함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우육의 전단력가능 동결 중 변화가 없었으며 해동 후 재냉장에 의하여 낮아졌다. 부수성은 동결기간이 길수록 낮아지고 재냉장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액토미오산의 추출성과 Ma-ATP-ase 활성은 동결기간이 길수록 낮아지고 재냉장에 의하여 높아지고 경향을 보였다. 재냉장에 의한 기홍성 향상 효과는 동결기간이 짧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재냉장에 의하여 기호성이 우수하게 된 것은 조직감과 가열육향의 향상이 크게 관련되었다.

  • PDF

도살체중이 부위별 돈육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 Yang, Jong-Beom;Jeong, In-Cheol;Mun, Y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61-265
    • /
    • 2005
  • 본 연구는 도살체중이 돈육의 등심, 목살, 삼겹살 및 햄 부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동결감량과 해동감량은 도살체중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등심 및 햄 부위가 목살 및 삼겹살보다 높았다. 팬에 의한 가열감량은 도살체중에 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등심, 목상 및 햄 부위가 삼겹살보다 높았다. 열탕 가열감량은 도살체중의 영향은 없었으나 등심이 가장 높고, 목살이 가장 낮았다. 돈육의 $L^{\ast}$, $a^{\ast}$$b^{\ast}$값은 도살체중의 영향이 없었다. Hardness와 springiness는 도살체중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SW110인 등심과 삼겹살의 cohesiveness가 SW90보다 높았으며, gumminess, chewiness 및 전단력가는 삼겹살이 가장 높았으며, 대체로 도살체중이 높은 것이 높았다. 가열육의 맛은 SW110 삼겹살이 가장 높았고, 향기는 SW110 목살과 삼겹살이 가장 높았다.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도 삼겹살과 목살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돈육의 기호성은 도살체중과 부위에 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수입 냉장육의 이화학적 성질과 저장성에 관한 연구

  • Jeong, Jae-Hyeong;Park, Jin-Gwan;Byeon, Jang-Won;Lee, Chi-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233-240
    • /
    • 2006
  • 식육의 독특한 맛 성분과 향기성분의 전구물질은 각각 적육과 지방 조직의 수용성 물질이라고 보고되어 있으며(도변(渡邊) 과 좌등(佐藤), 1974), 가열육의 기호성에 관여하는 향미는 복합적인 전구물질들이 열처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반응에 의하여 많은 휘발성 물질들이 생성되면서 얻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육향에 관여하는 휘발성 성분들은 약 600개 이상이 동정되어 있고, 식육의 종류, 품종, 연령, 성별, 사료 등이 이러한 향기에 영향을 주며, 또한 도살 후 저장되는 동안에 휘발성 성분들의 변화 양상은 가열육의 향기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냉장육의 경우는 자기 소화에 의한 숙성 효과로 연도와 풍미가 향상되게 되며 숙성된 육은 비숙성육보다 기호성이 우수하다. 우육의 기호성은 향기, 맛 및 조직감이 상호작용하여 결정되는데 우육에 함유되어 있는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은 우육의 맛과 풍미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Waldam 등, 1968). 도변(渡邊) 과 좌등(佐藤)(1974)은 지질이나 유리지방산 등에서 생성되는 화합물들과 지방산의 불포화도, 지방산의 자동 산화 정도 등이 우육 향기에 관여하고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저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김 등(1996)의 보고와 일치하였다.

  • PDF

Adaptation of Peirce's typology of signs to architectural design (퍼스 기호 유형론의 건축 디자인 적용 연구)

  • Hwang, Yeong-Sam;Park, Mi-Jin;Kim, Yeong-Hee
    • 기호학연구
    • /
    • no.54
    • /
    • pp.205-224
    • /
    • 2018
  •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way to combine Peirce's typology of signs with architectural design. A new diagram is suggested to ensure the continuity of Peirce's typology, by rearranging and reconstructing the well known inverted triangle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ypology. The new diagram is easier to understand the organization of the typology, by showing the linkages between sign typ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types. A way to adapt the new diagram to architectural design for the purpose of representing typology as well as ensuring model growth as semiotic model for architectural design model. The new model is organized of three sign clusters, sinsign cluster, legisign cluster, and symbolic cluster. They are interrelated through successive inclusion and case inclustion. The new model is organized of threefold layers. The first layer is internal structure of each cluster. The second is interrelation between cluster. The third is mediation of symbolic cluster between sinsign cluster and legisign cluster. This paper investigate and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adaptation of the new model in architectural design. It has been argued that the theoretical basis of sign typology is adaptable to architectural design by principle. More future research issues are discussed.

Studies on the Taste of Korean for Cheese (한국인(韓國人)의 치이즈 기호성(嗜好性)에 관한 연구)

  • Kim, Jong Woo;Ko, Keun Ha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18 no.1
    • /
    • pp.21-32
    • /
    • 1991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sensory testing for Mozzarella cheese, process cheese, Cheddar cheese and Cheddar cheese made with red pepper, garlic, ginger and welsh onion to develop new cheese varieties which can be prefered by Korea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sensory testing of cheese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otal nitrogen percentages in Cheddar cheese and spiced Cheddar cheeses were similar but those in process cheese and Mozzarella cheese were low. 5% NaCl soluble nitrogen percentages were highest in Cheddar cheese. 5% NaCl soluble nitrogen percentages in each cheese were different. Ripening degree, water soluble nitrogen, TCA soluble nitrogen and SSA soluble nitrogen percentages in each cheese were similiar level. 2. Spiced Cheddar cheeses were more breakdown than other cheese and ${\alpha}_s$-casein breakdowns faster than $\beta$-casein. 3. In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color score was high in Mozzarella cheese and process cheese. The color score of Cheddar cheese was high in 30's-40's and 50's- 50's. The color score of 10's and 20's was high in Cheddar cheese made with garlic. 4. Odor score was high in Mozzarella cheese and process cheese, too. The odor score of Spiced Cheddar cheeses was high in 10's. 5. Texture score was high in Mozzarella cheese, process cheese and Cheddar cheese. 6. Teste score was high in Mozzarella cheese, process cheese and Cheddar cheese. The taste score of spiced Cheddar cheese was higher in 10's and 20's than that in 30's-40's and 50's-50'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