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하학적 복원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of Geometrical Relations of 2D Affine-Projection Images and Its 3D Shape Reconstruction (정사투영된 2차원 영상과 복원된 3차원 형상의 기하학적 관계 분석)

  • Koh, Sung-Shik;Zin, Thi Thi;Hama, Hiromitsu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4 no.4 s.316
    • /
    • pp.1-7
    • /
    • 2007
  • In this paper, we analyze geometrical relations of 3D shape reconstruction from 2D images taken under anne projec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tribute to more accurate 3-D reconstruction under noise distribution by analyzing geometrically the 2D to 3D relationship. In situation for no missing feature points (FPs) or no noise in 2D image plane, the accurate solution of 3D shape reconstruction is blown to be provided by Singular Yalue Decomposition (SVD) factorization. However, if several FPs not been observed because of object occlusion and image low resolution, and so on, there is no simple solution. Moreover, the 3D shape reconstructed from noise-distributed FPs is peturbed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noise. This paper focuses on analysis of geometrical properties which can interpret the missing FPs even though the noise is distributed on other FPs.

A Visual Model for Extracting the Feature Points from Geometrical Illusions (기하학적 착시에 특징점 추출을 위한 시각 모델)

  • 정은화;홍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93-96
    • /
    • 2002
  • 불연속선에 의해 생성된 기하학적 착시에서 특징 점들을 추출하는 시각 모델을 제안한다. 기하학적 착시는 선이나 원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인간의 정보처리 경로를 통해 발생하는 인지현상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인지 현상은 외부 세계에 존재하는 동일한 강도의 물리적 에너지를 주변자극의 영향 때문에 실제와 다르게 해석하는 현상이다. 착시 그림들로부터 착시 윤곽을 이루는 특징 점을 추출하는 시각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인식 모델은 윤곽 추출, 시각 특징 추출, 시각특징 복원, 유도 자극 추출, 이미지 복원 및 이미지 연산 단계로 구성된다. 제안된 모델은 불연속적인 선에 의해 나타나는 착시 윤곽에서 특징 자극들을 추출한다.

  • PDF

Adaptive Image Pair Resection for Incremental Structure from Motion (점진적 움직임 기반 구조를 위한 적응적인 영상 켤레 제거 방법)

  • Ko, Jaeryun;Ho, Y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188-189
    • /
    • 2017
  • 점진적 움직임 기반 구조(Incremental Structure from Motion)는 다양한 시점에서 촬영한 영상들을 하나 씩 점진적으로 추가하여 3차원 장면을 복원하는 방법이다. 3차원 구조 복원에 사용되는 영상 켤레들 중에는 불필요한 켤레들도 충분히 포함되어 있으므로 복원된 구조의 불안정성과 불필요한 영상 켤레 처리로 인한 성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상대적으로 불필요한 영상 켤레를 입력 영상 집합에 맞게 적응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대응점 탐색 단계에서 기하학적 검증작업 전후로 총 두 번의 영상 켤레 제거가 실행되며, 통계적인 방법 및 기하학적으로 검증된 대응점 비율을 이용하여 문턱치를 결정한다. 실험 결과 3차원 복원 결과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복원에 필요한 영상 켤레 개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 PDF

Image Based Modeling Method Use to Geometric Constraint (기하학적 제약을 이용한 영상기반 모델링 기법)

  • 김동환;서상현;윤경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02-50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영상기반 모델링에서 3차원의 기하학적 제약을 이용한 모델링을 다루고 있다. 기존에 이러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져 왔으나, 여기에서는 새로운 방법에 의한 모델링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이해하기가 쉽고, 편리하며, 간단한 모델링에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영상평면 정보와 3차원의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3차원 복원 이론과 혼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영상기반 모델링(IBM, Image Based Modeling)의 핵심은 2차원 영상에서 사라진 깊이 정보를 어떻게 찾는가에 있다. 기존에는 3차원 복원을 위하여 투영된 영상평면의 점을 이용하거나, 이미지 상에서의 소실점을 찾거나, 2차원의 벡터와 3차원의 공간 좌표의 특정한 평면에 놓여있는 벡터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깊이 정보를 복원하였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2차원 좌표로부터 3차원 좌표를 구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법과 다르게 3차원 원시 기하모델의 제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3차원 원시 기하모델을 2차원 영상에 투영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3차원 정보를 찾아 나가는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선형적인 최적화 기능을 넣어 관사 모델을 구하였다.

  • PDF

A Constrained Self-Calibration Technique (제약 조건을 적용한 셀프 캘리브레이션 방법)

  • Kim, Seong-Yong;Han, Jun-Hui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8 no.4
    • /
    • pp.358-368
    • /
    • 2001
  • 셀프 캘리브레이션은 영상 시퀀스에 대한 특징점 정합 결과를 이용하여 카메라 내부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기법이다. 이는 임의로 움직이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얻은 영상 시퀀스를 이용하여 유클리디안 복원을 수행하는데 응용될 수 있다. 안정적인 3차원 복원결과를 얻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제약 조건을 사용한다(카메라 내부 파라미터의 개수에 대한 제약 조건과 복원할 장면의 기하학적 구조를 이용한 제약 조건). 카메라 내부 파라미터에 대한 제약 조건은 카메라의 하드웨어적인 특성을 반영하며 이러한 제약 조건을 적용함으로써 셀프 캘리브레이션 중 비선형 최적화 과정의 수렴도를 높일 수 있다. 또, 기하학적 제약 조건은 대상 장면의 직각 구조를 이용하여 이에 대한 조건을 분석하여 제약 조건에 대한 수식을 유도한 다음 이를 최적화 과정에 포함시킨다. 합성 영상과 다양한 종류의 실제 영상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면 개선된 유클리디안 복원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Geometry Reconstruction Using Dictionary Learning of 3D Shape Features (3차원 형태 특징의 사전 학습을 이용한 기하 복원)

  • Hwang, Jung-Min;Yoon, Yeo-Jin;Choi, Soo-Mi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3 no.1
    • /
    • pp.57-65
    • /
    • 2017
  • In this paper, we present a dictionary learning method for reducing errors in point cloud models and reconstructing their geometry. For this, 3D featur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models which have a similar shape characteristic as the target model. Then a dictionary is constructed and the geometry is reconstructed using the dictionary. The presented method in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a geometric patch is constructed from a similar model. Second, a morphological 3D feature of the acquired patch is learned. Third, a geometry reconstruction is performed using the learned dictionary. Finally, the error between the original model and the reconstruction result is calculated, and the accuracy of the reconstruction result is checked.

Modeling and Rendering Curved Architectures from Photographs (사진을 이용한 건축물의 곡면 요소의 모델링 및 렌더링)

  • 이지은;김정현;박찬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594-59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비젼의 사진측량학적 방법과 대상물의 기하학적 정보를 결합하여, 사진으로부터 건축물의 정확한 값을 복원해 내는 새로운 모델링 시스템을 소개한다. 사용자의 간단한 프로토타입핑으로 얻은 대략의 모델 정보를 시스템이 사진 이미지와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자동적으로 모델 정보를 복원해 내며, 사진에서 최선의 텍스쳐 맵을 생성해 내므로, 세밀한 모델링 없이도 사진 수준의 사실적인(photo-realistic)모델을 얻을 수 있다.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실재 대상의 효과적인 모델을 얻을 수 있는 이 연구의 성과는 가상현실 분야의 모델링 작업에서 추구하는 바와 일치하므로, 가상현실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보이며, 알맞은 대상에 적용을 통해 실질적인 응용이 기대되어진다.

  • PDF

Primitive Instancing for the Definition of Non-conventional Hull (비정규 선형정의를 위한 원형요소 인스턴싱의 이용)

  • Won-Don Kim;Jong-Ho Nam;Kwang-Wook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0 no.1
    • /
    • pp.1-9
    • /
    • 1993
  • Various geometric modeling techniques for a hull have been developed with wide application of computer to the ship design. Up to now, they are used for the representation of the sculptured surface with the piecewise polynominal curves or surfaces for a conventional hull. In this paper, a convenient and accurate modeling technique that is instancing and blending of the geometry primitives is introduced for a non-conventional hull such as SWATH, trimaran, caisson etc. Geometric characteristics, hydrostatic particulars and stability of the definded hull are calculated.

  • PDF

A Two-Phase Algorithm for Polyhedral 3D Object Reconstruction from Two Orthographic Views (이면도로부터 다면체 복원을 위한이단계 알고리즘)

  • O, Beom-Su;Kim, Chang-Heon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26 no.4
    • /
    • pp.513-526
    • /
    • 1999
  • 3 차원 입체 형상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면을 사용하는 방법이 생산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정투영 과정에서 정보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3차원 후보 요소의 빈번한 조합 탐색 및 복잡한 기하 연산을 필요로 한다. 특히 , 이면도로부터 복원과정은 면도의 생략으로 인하여 수많은 허요소를 생성한다. 본 논문은 효율적인 허요소 축소를 통하여 이면도로부터 다면체를 바르게 복원하는 이단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1 단계에서는 이면도와의 정합성에 필수적인 최소한의 3차원 후보요소를 생성한후 , 정투영시 이면도와 일치하는 부분 물체를 복원한다. 2단계에서는 부분 물체에 직교면을 덧붙임으로써 기하학적으로 타당한 완전 물체를 복원한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제안방법이 기존 방법들에 비해 적은 수의 3차원 후보 요소를 생성시키면서 이면도로로부터 3차원 물체를 빠르게 생성하는 것을 보인다.

An Exploratory Study on the Geometrical Reconstruction of the Late Cretaceous Misiryeong Laccolith and the Lost Size of the Baekdam Basin (백악기 후기 미시령 병반의 기하학적 복원과 백담분지의 규모에 관한 소고)

  • Chwae, Uee-Chan;Kim, You-Bong;Suzuki, Kazuhiro;Choi, Sung-Ja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4 no.4
    • /
    • pp.321-327
    • /
    • 2011
  • As a product of geological mapping of the Changamjeom Sheet (1:50,000) located around Misiryeong at a distance towards the west from Sokcho city, a small laccolith of hypabyssal rocks has been geometrically reconstructed to understand the original laccolith shape using structural contour lines of random spot sediments laid on the quartz feldspar porphyry and a schematic cross section. The laccolith age is constrained to ca. $84.4{\pm}1.8$ Ma (SHRIMP). The originated Baekdam sedimentary basin with the lost size has been yielded to 6 km wide and 16 km l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