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초 설계 시스템

Search Result 1,49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Rule Based System for Selection of Foundation Types of Building Structures (건물의 기초 형식 선정을 위한 규칙 기반 시스템)

  • 김한수;최창근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9 no.1
    • /
    • pp.23-32
    • /
    • 1996
  • A rule based system for foundation design of building structures is developed with CLIPS in this study. The types of foundation and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of supporting soil inferred by the rule based system for selection of foundation type, called SOFTEX, are transferred to a structural design program for building foundation.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is calculated with N values of Standard Penetration Test. The foundation types such as independent spread footing, wall footing, combined footing and mat foundation can be inferred by the foundation merge procedure developed in this study. This procedure is based on the analysis data from the super structure and the estimated bearing capacity. By using this integrated system, structural engineers with less experience in foundation design can design the foundation system for the given superstructure and the site condition with relative ease.

  • PDF

Optimum Design of Piled Raft Foundations Using A Genetic Algorithm (유전자 알고이즘을 이용한 Piled Raft 기초의 최적설계)

  • Kim, Hong-Taek;Kang, In-Kyr;Jeon, Eung-Jin;Park, Sa-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6 no.3
    • /
    • pp.47-5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piled raft 기초의 최적설계 기법을 제시하였다. 최적설계에 사용한 목적함수는 구조물의 사용한계에 해당하는 부등침하량과 piled raft 기초의 시고비용 차원에서의 말뚝과 raft의 총 중량으로 하였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다읜의 적자생존의 법칙을 따르는 자연진화 법칙을 바탕으로 한 최적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piled raft 기초의 해석방법으로 Clancy(1993)가 제시한 "hybrid" 해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유전자 알고리즘기법은 Goldberg(1989)가 제시한 단순 유전자 알고리즘(SGA)을 적용하였다. 또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설계기법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예제 및 매개변수변화연구를 통해 piled raft 기초시스템의 중요 설계인자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매개변수변화연구로부터 말뚝의 길이와 raft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piled raft 기초시스템의 전체 중량은 일정한 값에 점차적으로 수렴하였으며, 지반의 강정, raft의 두께 말뚝의 길이 및 강성이 증가할수록 말뚝의 최적위치는 raft의 중앙에 집중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경향으로 나타났다.

  • PDF

Design Load Analysis for Offshore Monopile with Various Estimation Methods of Ground Stiffness (지반강성 산정방법에 따른 해상 모노파일의 설계하중 해석)

  • Jang, Youngeun;Cho, Samdeok;Choi, Cha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9
    • /
    • pp.47-58
    • /
    • 2014
  • This study explores methods for modeling the foundation-seabed interaction needed for the load analysis of an offshore wind energy system. It comprises the comparison study of foundation design load analyses for NREL 5 MW turbine according to various soil-foundation interaction models by conducting the load analysis with GH-Bladed, analysis software for offshore wind energy system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aforementioned load analysis were applied to foundation analysis software called L-Pile to conduct a safety review of the foundation cross-section design. Differences in the cross-section of a monopile foundation were obser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xed model, winkler spring and coupled spring models, and the analysis of design load cases, including DLC 1.3, DLC 6.1a, and DLC 6.2a. Consequently, under all design load conditions, the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monopile foundation cross-section were found to be 7 m and 80 mm, respectively, using the fixed and coupled spring mode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ducted using the winkler spring model showed that the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monopile foundation cross-section were 5 m and 60 mm, respectively. The study found that the soil-foundation interaction modeling metho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oad analysis results, which determined the cross-section of a foundat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designing an offshore wind energy system foundation taking the above impact into account would reduce the possibility of a conservative or unconservative design of the foundation.

Conductance 변화에 의한 진공펌프 특성분석

  • Kim, Wan-Jung;Go, Mun-Gyu;Jeong, Wan-Seop;Im, Jo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201-201
    • /
    • 2012
  • 다양한 응용목적을 위한 진공시스템 설계와 운영은 진공에 대한 기초지식과 이해가 요구되며, 설계제작 및 운영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응용 진공시스템 제작 이전에 구성에 따른 시스템 진공특성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며 목적에 부합한 장비들을 선택하여 최소비용으로 시스템 활용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진공시스템의 최적화 설계를 위해서는 펌프의 조합 이외에도 진공 챔버의 부피, 도관의 구조(직경, 길이), 진공재료의 기체방출 등 여러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진공시스템의 최적화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로 도관의 구조 즉 conductance 변화에 따라서 수식을 통한 이론적 접근과 실험에 근거한 실험적 접근에서의 배기속도 및 진공펌프의 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배기속도가 $600m^3$/h 용량의 펌프를 사용하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측정 절차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진공용기 내 압력은 측정 불확도가 적은 CDG (최대 압력범위가 1000, 100, 10, 1, 0.1 mbar)를 사용하여 압력측정 정확도를 높였다. 또한, 펌프의 소비전력, 소음, 진동, 배기구 압력 등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진공펌프의 상태 변화를 실시간 관찰 하였다.

  • PDF

User - centered approach for information system design (정보시스템 설계를 위한 이용자 중심 접근)

  • 노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08a
    • /
    • pp.35-39
    • /
    • 1998
  • 이용자 중심 연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기초들이 발달함으로써, 그것들은 이세 점점 더 시스템 중심의 접근에 도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우리는 여기에서 정보 시스템 설계에 채용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 접근의 개념과 시스템 설계를 위한 일곱 가지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시스템 설계는 이용자 중심의 접근을 추구하기 위한 가장 분명한 경우이다. 그러한 초점이 없이, 어떤 종류의 이용자를 위하여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어떤 이용자를 위하여 시스템을 디자인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은 이용자에게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이용자가 성취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 PDF

의장설계 일관시스템 개발

  • 이종갑;장영웅;박영종;전동헌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0 no.4
    • /
    • pp.33-36
    • /
    • 1993
  • 본 과제는 의장설계 분야의 기본설계, 기능설계, 상세설계 및 생산설계 단계를 전산화하여 설계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품질의 생산정보 및 생산관리 기초정보를 적기에 제공할 수 있는 의장설계일관시스템(Fig. 8.1)의 구축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3개의 세부과제로 분담, 수행되었다. .CSDP-의장설계시스템 개발 : KRISO의장설계 일관시스템의 설계 및 관련 요소시스템의 통합 화를 위한 기반시스템의 개발'5' .CSDP-의장CAD응용기술 개발 : 현대중공업 범용 CAD시스템의 조선 전용화를 위한 의장설계 각 분야별 요구기능의 분석 및 정의'12' .CSDP-배관배치모델링기법 개발 : 대우조선 범용 CAD시스템을 토대로 한 배관설계시스템의 초기 계? 단계의 배치모델링 기법 개발'15' 본 고에서는 의장설계 일관시스템의 기본개념, 범용 CAD시스템을 중심으로한 분야별 일관시스 템의 구축을 위한 기능분석 및 기법 개발, 시스템 통합환경 구축, 그리고 향후 조선CIMS를 목 표로한 제품모델 개념의 생산지향 의장시스템 모델에 관한 개념설계 결과를 중심으로 서술하 였다.

  • PDF

Development of New Address Management System using GSIS (GSIS를 이용한 새주소 부여체계 관리시스템 개발)

  • Yang, In-Tae;Choi, Young-Jae;Kang, Youn-Sup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7 no.2 s.14
    • /
    • pp.15-22
    • /
    • 1999
  • New Address System have been defined by section belonging to a road To manage this New Address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 and section must have consistency and convenience. So, It have to be designed not only logical relation but physical rela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 and section. To make New Address Management System considered the relationship, It must be design database considered the relationship. In this study, therefore would like to present the database design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 and section. And then using GSIS system, New Address Management System have been developed.

  • PDF

말뚝기초의 내진설계

  • 이인모;오진기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3 no.3
    • /
    • pp.48-52
    • /
    • 1990
  •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으로 인한 재해를 최소한으로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 건축 구조물의 내진설계를 의무화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진하중에 대한 지반-말뚝-구조물 시스템의 내진해석과 설계는 아직도 완전하게 정립되지 못한 실정이며,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원자력발전소, 해양구조물 등과 같은 특수 구조물과 몇몇 고층건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일반 건축물에 대한 말뚝의 설계도 지반의 동적특성을 제대롤 반영하지 않는 정적해석이 수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정적하중과 지진하중의 하중특성은 근본적인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계를 추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깊은 기초의 내진설계에 적용하기 위해 이제까지 연구발표된 여러가지 내진해석방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이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동적특성을 어느정도 반영하는 실용적인 설계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 Implementation for Decision Making System based Probability on the WWW (WWW상에서의 확률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전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61-364
    • /
    • 2000
  • 의사결정시스템을 웹 상에서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설계요건, 시스템 구성, 처리과정에 대해 기술하였다. 각 선택 대상에 따라 각 선택요소의 확률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각 선택대상간 의사결정값의 차이변수, 판별변수를 정의하였고, 이론 기초로 의사결정 메시지를 출력한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대규모 시스템의 해석 및 제어에 관한 연구 동향

  • 서일홍
    • 전기의세계
    • /
    • v.32 no.2
    • /
    • pp.93-102
    • /
    • 1983
  • 대규모 시스템의 해석 및 제어기설계에 관한 연구개요 및 동향을 시스템단순화 안정도검사, 비집중제어 및 계층적최적제어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는바, 대규모시스템 이론은 해석이나 혹은 설계에 있어서 문제를 여러개의 부문제들로 분해하는데에 그기초를 두고 있으며, 소규모시스템에 적용되던 수학적기법을 부문제들에 적용시키는데에 국한되고 있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