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초안전보건교육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건강영향평가 및 건강도시 인증제 도입

  • Nam, Eun-Woo;Song, Ye-Ri-A;Park, Myeong-Bae;Mun, Ji-Yeong;Kim, Geon-Yeop;Park, Jae-Seong;Go, Kwang-Uk;Lee, Mu-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7-120
    • /
    • 2006
  • 연구 배경: 시민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도시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건강도시 사업 계획을 위해서는 도시의 건강 수준 측정이 필요하다. 이때에, 도시 전반의 현실적 상태를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고, 선정된 지표가 도시건강의 개념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를 활용한 건강도시 인증제도의 도입을 통하여 건강도시사업을 활성화시키고 시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연구 목적: 의료 건강생활실천 안전 환경 사회경제적 요인 등 각 지역사회의 건강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건강도시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건강도시 평가 및 인증사업을 실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 내용 및 범위: 국내 건강도시 사업 추진에 대한 현황 파악과 보건복지부에서 고려중인 건강도시 인증 방안에 대하여 국내외 동향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건강도시 인증에 필요한 지표를 개발하고, 건강도시 평가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통한 인증 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연구 방법: 관련 국내외 문헌 고찰 및 각종 자료를 분석한다.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국내 건강도시 현황을 파악함으로서 지역사회중심적인 건강증진사업의 새로운 모델로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강도시에서 사업을 개발 추진시 필요한 목표관리적인(Management by Objective) 건강도시사업에 대한 방안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 건강도시 인증사업의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ffects of Patient Safety Motivation and Degree of Patient Safet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Geriatric Hospitals Nurses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 안전동기와 환자안전도가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Ju-Yul Lee;Soon-Ok Kim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0 no.4
    • /
    • pp.773-785
    • /
    • 2023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geriatric hospitals nurses and use basic data to prevent patient safety accidents. Subjects were 220 nurses and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february 1 to 28, 2023.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9.0 program. Patient safety motivation was positive correlated with degree of patient safety(r=.41, p<.001), and degree of patient safety was positive correlated with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r=.18, p<.01). Degree of patient safety(𝛽=.21, p<.001) and patient safety guidelines(𝛽=.16, p<.001) were main factors that affect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and its explanatory power was 7.5%(Adj R2=.075, p<.001). For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it is proposed to develop and apply a education program that strengthens practical training for effective coping after safety accidents along with risk prediction training to prevent before safety accidents.

Pilot and Feasibility Study of a Manag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thma (우리나라에서 학교 중심의 소아천식관리사업의 적용가능성과 발전 방향: 일부 학교의 시범사업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 Seo, He-Jin;Lee, Weon-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 /
    • v.22 no.1
    • /
    • pp.1-16
    • /
    • 2009
  • Purpo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anagement program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ffering from asthma, which would be based on the Australian Asthma-Friendly Schools (AFS) program. Methods: On the basis of the AFS program, we designed a 6-month pilot project for asthmatic students in two elementary schools in a rural area and one elementary school in an urban area of Korea. The pilot project consisted of the following processes: identifying students with asthma in a school, educating school staffs and the parents of an asthmatic child, registering those with asthma, and installing emergency kits for asthma attacks in school health rooms. In order to evaluate these processes, group discussions were held between project team members and school staffs in each area. In addition, we conducted a postal survey of 144 households having an asthmatic child. Results: The screening process adopted in this program resulted in the early diagnosis in asthma; however, it needs to be evaluated economically due to expensive diagnostic test for asthma. For the school nurses, asthma lessons were evaluated as being very helpful for their tasks, while teachers tended to take less interest in the program with only 45% of all teachers attending these lessons. Almost all participating parents reported that such lessons would be beneficial for the care of their child, even though only 24.2% of the survey respondents (122 households) attended the lessons. Installing emergency kits in school health rooms was regarded as a key feature of this project. The introduction of a register card containing more specific health records of asthmatic students was considered necessary to replace the existing list of students with asthma. Conclusion: This study has merit in that a Korean asthma-friendly schools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despite the many obstacles to such programs becoming more common.

<Field action repor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PAOT) for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orking Environment in Korea (<사례보고> 농작업 환경개선을 위한 한국형 참여형 개선활동 교육(PAOT)의 개발과 실제 적용 사례)

  • Kim, J.S.;Woo, K.H.;Min, Y.S.;Kim, B.K.;Choi, K.S.;Park, K.S.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5 no.4
    • /
    • pp.417-427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 (PAOT) program and training materials for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orking environments. Methods: The PAOT manual and checklist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original English version of the training materials, a questionnaire survey of agricultural health and safety professionals, and a brainstorming conference. Good example pictures were collected through visits to agricultural workers' houses, and an easily understandable picture was drawn by an animation specialist. A PAOT action manual and five types of action checklists were developed for use in different agricultural environments. Each action checklist contained six categories and 38 items of agricultural health and safety principles; the six categories were material storage and handling, work stations and tools, machine safety, physical environment, working schedule and organization, and basic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Incorporating these training materials, a one-day Korean PAOT program was developed. Results: Among 307 candidate agricultural workers from four rural Korean villages, 94 workers (59 males, 35 females) participated in a PAOT from July 2007 to Oct 2008. The PAOT program was successful and the mean self-estimated satisfaction score of the participants was greater than 90%. Conclusions: A Korean PAOT program and training materials were successfully developed and applied to Korean agricultural workers. Although more studies are needed, it is expected that PAOT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orking conditions and health and safety through the use of agricultural workers' self initiatives.

A Study on the Application Plan of the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Service Industries (서비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의 실시방안에 관한 연구)

  • Jung, Seung Rae;Oh, Hyunsoo;Choi, Yoon-Jung;Chang, Seong R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31 no.1
    • /
    • pp.87-94
    • /
    • 2016
  • Recently, as Korean industrial structure is moving to the service job, the number of workers engaged in the service job is increasing slowl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nounced in June, 2013, the number of service job workers in Korea was 7,477,135 which accounted for 48.4% of total workers. The trend of this service job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2013 statistics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s victims of industrial accidents in the service job was 30,526 which was the biggest number among the entire businesses. The victims in the service job accounted for 33.2% among the total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s and represented more than those in the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industry. The service job had various works and employment patterns and most service jobs are petty and are small-sized establishments and it is difficult to try voluntarily to prevent the industrial accidents. However,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as enac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and manufacture in which industrial accidents occurred frequently in the past.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for the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i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and manufacture. Therefore, the current service job is placed on the blind spot of the safety management. Raising the safety awareness of workers through the safety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in order to prevent the industrial accidents of the service job with many conventional/repeated disasters such as the conduction by a simple mistak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features and accidents of the domestic service job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analyzed the institutional devices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domestic service job, and the safety management cases of foreign service jobs and compared with domestic systems. Considering demands for the basic safety education for service job worker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the service job workers and the execution plan of the basic safety & health education targeting the service job workers was carried out through the brainstorming of trainers of worker in the service job.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Factors Related to the Self Perceived Health Status of Farmers (농업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관련 요인)

  • Beomseok Ko;Sangchul Roh;Jeongbae Rhie;Min-Gi Kim;Young-Sun Mi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8 no.3
    • /
    • pp.178-188
    • /
    • 2023
  • Objective: Self perceived health status dose not only reflects an individual's perception of their overall well-being but is also known to be influenced by various aspects of life. Rural areas tend to have relatively lower quality of life compared to urban area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Self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farmers. Methods: I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questionnaire, responses of "very healthy" and "healthy" are classified as 'good', whereas "average", "unhealthy" or "very unhealthy" are classified as indicative of a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alculate odds ratios(OR), aiming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self perceived health status. Results: The OR for self perceived health status as po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females at 2.32(95% CI 1.47-3.67), for individuals working in greenhouses at 1.43(95% CI 1.01-1.98), for current smoker at 1.50(95% CI 1.02-2.08), and for those who experienced symptoms after pesticide exposure at 1.74(95% CI 1.13-2.67). An annual income of 50 million won or mo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OR of 0.51(95% CI 0.28-0.91), education level of high school and above had an OR of 0.45(95% CI 0.32-0.63), and engaging in physical exercise had an OR of 0.61(95% CI 0.42-0.89). Conclusions: The factors related to self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identified as sex, smoking, cultivation type, presence of symptoms after pesticide exposure, annual income, education level, and exercise statu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management programs for farmers.

Necessity of Developing University Radiology Curriculum for Veterinary Hospital Radiological Technologists - D University Case Focusing - (동물병원 방사선사를 위한 대학 방사선학과 교육과정 개발 필요성 - D 대학 사례 중심으로 -)

  • Won-Jeong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8 no.3
    • /
    • pp.203-212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by the veterinary hospital Specialists (VHSs) and radiology students (RSs) for radiology curriculum development veterinary hospital (VH), and for veterinary hospital radiological technologists (VHRTs). VHSs were surveyed to regarding the basic information and radiological examination training, radiological examination experience, anatomy physiology, radiation safety management training, radiation biology training. RSs were surveyed to regarding the basic information and career paths, VH awareness, and VH-related department environments. The survey results were quantitatively entered into Excel and then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6.0. The students were aged by 22.6 years old, and out of 171 students, male and female were 92 and 79 espectively. In employment career paths, 62.6% of all subjects responded that employment prospects at medical institutions were good. Employment prospects outside of medical institutions, VH had the highest number of students. Of the 83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wanted to work at a VH, 64 students liked animals, and 47 students the high potential for advancement. Of the 159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re is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VH, 96.2% responded that it was due to the increase in companion animals. In the VH-related department environment, 94.7% responded that there was no related equipment, and 72.5% responded that the department needed to open animal care courses and 82.5% anatomy and physiology courses. 76.6% responded that they would be willing to take animal-related courses if they were offered. Among the 20 VHSAs, 4 had no experience in radiological examination of animals, 2 VHRTs, and 2 others. There were 7 people who had not received training in animal radiography, and 2 VHRTs had not received training in animal care and animal anatomy and physiolog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developing a radiology curriculum for VHRTs in the future.

Evaluation of Dental Hygienist Job Validity according to Judgment Standard of Medical Practice in Medical Law (의료행위 기준에 따른 치과위생사 직무 타당도 평가)

  • Bae, Soo-Myoung;Shin, Sun-Jung;Lee, Hyo-Jin;Shin, Bo-Mi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8 no.6
    • /
    • pp.357-36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dental hygienist job according to judgment standard of medical practice in medical law.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to evaluate the validity of dental hygienist job for 12 professors of dental college i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from November 10 to 20, 2017. We investigated whether the dental hygienist job conforms to the three criteria of medical practice such as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patient care, and health hazard. The response rates were scored and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final score. As a result of this study, dental hygienist job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judgment standard of medical practic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category, the higher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expertise and skills required.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measuring the gingival pocket, bleeding on probing, professional tooth cleaning, oral health education, counseling after dental treatment are all three criteria for medical treatment. And these were classified into Level 4 group which requires the difficulty and expertise in the final score 4.3.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standardized guidelines on the level of knowledge, education, and qualification standards required for dental practice in order to effectively allocate work among the dental personnel while ensuring the health rights of patients in the dental clinic field in Korea.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evaluate the various aspects of cost effectiveness, dental health service productivity, and health promotion contribution to dental hygienist jobs, And based on this evidenc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expand and adjust the dental hygienist job and to reorganize the dental workforce system.

Survey on the Sodium Contents of Nursery School Meals in Gyeonggi-Do (경기도지역 어린이집의 단체급식 중 나트륨 함량 실태조사 연구)

  • Jung, Hong-Rae;Lee, Myung-Jin;Kim, Ki-Cheol;Kim, Jung-Boem;Kim, Dae-Hwan;Kang, Suk-Ho;Park, Jong-Suk;Kwon, Kwang-Il;Kim, Mee-Hye;Park, Yong-B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9 no.4
    • /
    • pp.526-534
    • /
    • 2010
  • The prevalence rate for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hypertension etc. caused by the increment of national income and the change of food life according to the globalization in Korea have been increased. Especially excess sodium intake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increasing cardiovascular disease ris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odium intake of nursery school meals in Gyeonggi-Do, and to construct database for lesser sodium intake policy. Survey consisted of 601 sample intakes of sodium in summer and in winter. A food weighed record method was used for measuring food intakes. Average intakes of ten children per nursery school were measured. The sodium contents of meals were analyzed by ICP-OES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after acid digestion by microwave. The sodium contents on food groups showed that sources (693 mg/100 g), grilled foods (689 mg/100 g) and kimchies (643 mg/100 g) had respectively higher sodium contents and the average sodium intake per meal was $582\pm204$ mg. The sodium contents of soups & hot soups and kimchies had 37.5% and 15.8% of total sodium intakes per meal, respectively. Sodium intakes per meal in summer and winter showed 572.3 mg and 592.3 mg, respectively. Regional ranking of sodium intakes showed the ascending order of apartment (514.3 mg/meal), rural region (540.5 mg/meal), multiplex house (635.9 mg/meal) and industrial complex (696.4 mg/ meal). A habit of excessive sodium intakes in childhood will threaten their health when they grow up to be adults; thus lesser intake of sodium per meal is needed for children in nursery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