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초슬래브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2초

CFT 선기초기둥과 슬래브 접합부 개발 (Development of Connection between CFT Prefounded Column and Slab)

  • 송지윤;임홍철;김승원;김동건;강승룡;정미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9-133
    • /
    • 2008
  • For the construction of Top-Down structures, it is crucial to have a solid connection between prefounded columns and slabs. This paper presents a new construction method for the connection when using a circular Concrete Filled Tube (CFT) as a prefounded column as an alternative to currently using wide flange type columns. The development of shear studded jackets along with a shear band suitable for the circular shape of the column has been made. The details and mechanism of the connection is explained together with the results of experiments which verified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connection.

  • PDF

BIM 기반 형상코드를 이용한 슬래브 철근길이 자동 산정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f Automatic Rebar Length Estimate Algorithm of Slab by Using BIM-Based Shape Codes Built in Revit)

  • 지우민;김선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9-90
    • /
    • 2023
  •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feasibility of accurately calculating the required rebar length using BIM-based shape codes and the potential benefits of such an approach in terms of cost reduction, waste reduction,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utomatically calculating slab rebar length before construction to reduce rebar cutting waste and co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sights into the potential of using shape codes to reduce rebar cutting waste and cost in building frame construction.

  • PDF

고인성섬유 복합모르타르를 활용한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 평가 및 개선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of Flat Plate Slab-Column Joint Using High Ductile Fiber-Reinforced Mortar)

  • 하기주;이동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41-349
    • /
    • 2012
  • 최근 국내외 건축물이 초고층화, 대형화되고 다양화됨으로써 콘크리트의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지진하중과 같은 반복 주기하중이 작용할 때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내진성능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사용성, 안정성 및 신뢰성이 우수한 고연성고내구성을 갖는 최적배합의 고인성 섬유 복합모르타르를 개발하고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위험단면영역에 적용하여 건축물의 내력, 연성능력, 에너지소산능력 등의 내진성능을 개선하고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설계시 기초자료 및 실용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고인성 섬유 복합 모르타르를 활용한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기둥 접합부 실험체(RCFPP 시리즈)는 표준실험체(SRCFP)보다 최대내력 15~34%, 연성능력 33~37%, 에너지소산능력은 최대 2.14배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구조용 직교 집성판 슬래브와 상부 토핑 조건에 따른 바닥충격음 및 공기전달음 평가 (Evaluation of floor impact sound and airborn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cross laminated timber slabs and their toppings)

  • 이효진;하연수;이상준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72-583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2050 실현을 위한 목조 건축물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구조용 직교 집성판(Cross Laminated Timber, CLT)을 이용한 목조 고층 건축물에 대한 기술적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LT의 기초 음향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국내산 낙엽송과 소나무로 CLT 슬래브(두께 150 mm)를 제작해 바닥 충격음 차단 성능과 음향투과손실을 측정했다. 실험은 상하로 연결된 페어 잔향실에서 수행했으며, CLT 슬래브에 콘크리트 토핑(두께 50 mm ~ 210 mm, 6조건)을 추가해 차음성능 개선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했다. 수종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의 단일수치 평가량을 비교하면, 낙엽송 CLT가 소나무 CLT보다 중량 바닥충격음에서 3 dB, 경량 바닥충격음에서 1 dB 낮았으나, 상부에 콘크리트 토핑을 추가한 조건에서는 수종 간 차이가 없었다. 상부의 콘크리트 층 두께 상승에 따라 중량 바닥충격음이 9 dB ~ 20 dB, 경량충격음이 20 dB ~ 30 dB 저감했다. 이 관계를 면밀도로 분석한 결과, CLT 슬래브의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은 면밀도와 높은 상관관계(R2 = 0.94 ~ 0.99)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CLT 슬래브의 음향투과손실은 수종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면밀도와 주파수로 산출한 음향투과손실 이론치와 실측치의 주파수 특성은 유사하지만 실측치가 8 dB ~ 12 dB 낮아, 보정치를 이용해 실험 대상인 CLT 슬래브의 음향투과손실과 주파수 특성의 관계를 도출했다.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벽의 높이와 기초지반 강성에 따른 침하량 검토 (A Study on Settlement according to Height and Ground stiffness on the MSEW on the IPM Bridge)

  • 박민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99-409
    • /
    • 2018
  •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벽은 교량을 구성하는 중요 구조물이고, 횡방향 토압과 접속슬래브를 지지한다. 보강토옹벽의 침하는 상부 구조의 손상과 접속부의 단차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에 대한 침하량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벽에 대한 높이와 기초지반의 강성에 따른 침하량을 검토하였다. 보강토옹벽을 높이 4.0 ~ 10.0m로 설계하고, 탄성침하량을 산정하였다. 보강토 옹벽의 높이에 따라 보강토옹벽의 저면 면적과 접지압이 선형적으로 증가되었다. 그 이유는 옹벽 높이가 증가됨에 따른 보강토체의 자중의 증가 때문이다. 자중의 증가로 인해 탄성침하량도 선형적으로 증가되었다. 구조물기초설계기준 해설에 제시된 보강토옹벽 탄성침하량 이론식을 통해 침하량을 산정한 결과, 보강토옹벽의 높이가 증가됨에 따라 비례하여 침하량이 증가하였고 기초지반의 N치가 35 이상이 되어야 접속슬래브의 허용침하량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보강토옹벽의 높이와 기초지반의 강성에 따른 침하량 산정 결과, 기초 지반의 강성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침하량은 탄성침하량과 동일하게 감소하였다. 탄성침하량은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산정된 침하량보다 과다 산정되었다. 이는 탄성침하량이 보강토체를 연성기초로 가정하고 기초 지반을 반무한 탄성체로 가정하기 때문이다. 토압분리형 교량의 보강토옹벽은 교량을 구성하는 중요 부재이므로 침하량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로인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침하량을 산정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장비기초설계의 강성 및 진동저감에 관한 연구 (Stiffness, Rigidity and Vibration Prevention in Precision Machine Foundation Design)

  • 박옥정;김진호;전한준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94-1000
    • /
    • 2004
  • 대형시험장비가 설치되는 실험실의 계획에서 장비의 진동은 간과할 수 없는 고려사항이다. 따라서 시험장비를 지지하는 구조물과 기초의 설계시 시험장비의 운행 중 발생하는 공진을 피할 수 있는 구조적 체계의 진동특성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동적특성을 얻기 위해 바닥구조물의 FE 모델링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진동저감을 위한 시험장비기초의 설계를 위해 tuning, 진동기준. 방진시스템을 검토하였다. 시험장비의 진동을 줄이는 최선의 방법은 low tuning 이였으며 이의 구현을 위해 방진스프링과 함께 단단한 콘크리트 블록위에 시험장비를 설치하였다. 총체적인 방진시스템의 구조적 진동특성은 이동성, 힘, 속도 스펙트라를 이용해 표현되었다. 전달과 지점이동 FRF의 비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함으로서 바닥 슬래브의 진동전달 정도가 관찰되었다.

  • PDF

기초슬래브의 밑면이 경사진 캔티레바식 옹벽의 내진설계 (Earthquake-Resistant Design of Cantilever Retaining-Walls with Sloped Base)

  • 김홍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87-98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Elman둥이 상시하중의 경우에 대해 제안한 새로운 형태의 캔키레바식 옹벽 설계방식을 지진하중을 고려한 경우에까지 확대적용하여 예상되는 효율성을 설계예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좀더 안전한 측에서의 셜계검토를 위해 캔티레바식 옹벽의 자체중량 및 뒷채움 일부분의 모래중량에 의한 수평관성력 등을 포함하는 분석법이 제시되었다. 또한 한계 평형상태가 아닌 다양한 토압상태에서의 설계검토를 목적으로 Mononobe-Okabe 동적토압계산식을 변형하였다. 결론적으로, 기초슬래브의 밑면이 경사진 캔티레바식 옹벽형태가 내진설계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다른 형태의 캔티레바식 옹벽에 비해, 활동에 대한 안전율은 가장 크면서도 옹벽축조에 관련된 콘크리트량, 굴착량 및 뒷채움 모래의 양은 가장 절감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단부분을 $45^{\circ}$만큼 경사지게하는 캔티레바식 옹벽형태는, 상시하중 및 비교적 낮은 수준의 지진에 대해서는 효율성이 예상되나, 수평진도가 커짐에 따라 이와 같은 효율성을 기대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대한 주된 원인은, 옹벽 후단부분에 작용하는 수평발생토압합력의 감소율이 수평진도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작아지는데 있다. 이외에도 기초슬레브의 밑면이 경사진 캔터레바식 옹벽에 관련된 설계도표를, 뒷채움 및 기초지반모래의 내부마찰각 크기, 지진하중시의 활동에 대한 안전율 규정 등을 각각 달리하여 제시하였다.

  • PDF

시공 하중의 영향을 받는 플랫 플레이트의 최소 두께 (Minimum Thickness Requirements of Flat Plate Affected by Construction Load)

  • 강성훈;최경규;박홍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650-661
    • /
    • 2003
  • 시공 중에는 시공 하중의 영향으로 인하여 슬래브에 재하되는 하중이 슬래브 자중의 두배 이상에 달하며, 또한 콘크리트 재령이 충분치 않으므로 구조 안전성의 문제와 장기 처짐, 균열 등 사용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현행 설계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플랫 플레이트에 대한 최소 두께의 규정은 이러한 시공 하중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토대로 슬래브의 기하하적 형상, 경계 조건, 콘크리트 강도, 시공 하중 등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플랫 플레이트의 처짐 계산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 방법을 기초로 하여 플랫 플레이트에 대한 최소 두께식을 제안하였다.

줄눈부의 거동을 고려한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체의 해석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al Model for Cement Concrete Pavements Considering Joint Behavior)

  • 변근주;이상민;임갑주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91-98
    • /
    • 1990
  •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의 세로줄눈 및 가로줄눈은 교통하중의 반복이동에 의한 포장슬래브의 단차현상을 억제하고, 하중, 온도 및 습도변화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 및 변형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그러나, 노반공극수의 동결융해, 지하수위의 변화, 줄눈부의 펌핑 및 단차현상으로 지반지지력이 저하되면 줄눈부에 국부적 응력집중이 발생하여 하중분산응력이 저하됨은 물론 포장의 공용성 및 안전성을 크게 위협하게 된다. 따라서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을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하고 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줄눈부의 하중전달특성을 보다 엄밀히 반영할 수 있는 해석모델이 정립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체계적인 유지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줄눈부의 거동을 다우얼바의 연결작용, 골재 맞물림작용 및 타이드키 작용으로 구분한 후, 포장체의 특성에 따라 이들의 영향을 포장슬래브의 구조해석에 선택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도록 해석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포장슬래브의 거동평가를 위하여 Winkler 기초모델 및 탄성지반 위에 놓인 판이론을 적용하였으며, 4절점 사각형 유한요소를 사용하여 줄눈요소의 강성 매트리스를 전 해석과정에 반영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해석결과를 Huang의 수치예에 비하여 Arlington 실험값에 더욱 근접된 경향을 보이므로 매우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복합재료로 만들어진 단순지지 샌드위치 슬래브 교량의 파괴강도해석 (Failure Strength Analysis of Simply Supported Sandwich Slab Bridges made by Composite Materials)

  • 한봉구;김세원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77-8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료로 만들어진 단순지지된 샌드위치 슬래브 교량의 설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거더나 가로보를 포함한 대부분의 교량시스템에서 교량 상판은 특별직교이방성판으로 거동한다. 이러한 단면을 갖는 시스템은 Navier 해법이나 Levy 해법 형태와는 다른 경계조건 또는 불규칙한 단면을 갖게 되어 해석적 해법을 얻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석하기 위하여 유한차분법이 이용되었다.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교량을 설계하기위하여, 단면은 가장 경제적이면서 응력에 유리한 폼코어 형태를 채택하였고, 응력을 산출함에 있어서는 유한차분법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복합신소재 특수기술자의 실험을 기초로 질량이 증가에 따른 파이버의 인장강도 감소를 나타내는 공식을 도출하였다. 이 공식으로부터 치수 증가에 따른 인장강도 감소량을 구 할 수 있다. 파괴강도는 Tasi-Wu의 파괴강도이론을 이용하였다. 파괴강도해석은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장강도의 감소를 고려하여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