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준점

검색결과 5,795건 처리시간 0.032초

RFID를 이용한 국가기준점 원격 모니터링 웹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emote Mornitoring Web System for National Control Points using RFID Tags)

  • 오윤석;이영균;박재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237-249
    • /
    • 2007
  • 우리나라에는 전국적으로 약 22,000개의 국가기준점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국가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준점 성과표가 필요하며, 국가 주요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산 정상과 같은 야외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시설이 없는 상태에서 현장점검을 통해서만 관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준점 표석에 부착할 수 있고, 국가기준점이 설치된 환경을 고려한 특수 RFID 태그를 제작하였으며, CDMA 통신이 가능한 PDA기반 모바일 Web 시스템과 국가기준점 관제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기준점 정보를 현장에서 파악할 수 있고, 국가기준점 관리자가 기준점의 관리 상태 및 사용 이력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전국에 산재해있는 국가기준점 정보를 누구나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정보의 변화에 따른 빠른 대응이 가능하며,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이다. 향후 유비쿼터스 사회가 도래하면 위치정보의 중요성이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일반인의 위치정보 확인이 용이한 RFID를 이용한 국가기준점은 측량전문가와 같은 기준점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유용할 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위치기반 부가서비스 창출할 수 있을 것이며, 절대위치 정보 제공 측면에서도 중요한 국가 인프라가 될 것이다.

  • PDF

GPS에 의한 삼각점 성과의 정확도 분석 -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 (Accuracy Analysis of Triangulation Result for the Stable Decision Making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 -Focusing on Changwon city in Gyeongnam-)

  • 임현석;홍성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732-735
    • /
    • 2011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 삼각점의 GPS 데이터를 활용하여 오차수준 및 지역적인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봄으로써 향후 지적세부측량을 위한 지적기준점측량 수행 시 보다 정확한 성과가 산출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토지조사사업 당시 설치된 삼각점의 경우 삼각점 자체의 자연적 인위적 이동이 없을 경우 대부분 삼각점의 성과가 안정적으로 나타나므로 지적기준점 성과결정시 기지점으로 사용할 삼각점은 토지조사 당시 설치된 삼각점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안정적인 성과로 제시된 삼각점을 기준으로 하여 지적기준점의 성과를 결정할 경우 향후 지적기준점이 망실되어 재설치 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측량성과를 유지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NFC 지적기준점과 지적정보어플리케이션 적용에 대한 효용성 분석 (The Efficiency Analysis of using NFC Cadastral Control Point and a Cadastral Information Application)

  • 김성준;이종달;김성훈;배재열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1-39
    • /
    • 2014
  • 현재 IT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정보제공 방식 및 활용성이 점차 진화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통한 실시간 정보제공 및 활용 측면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다. 최근 기준점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와 제공을 위한 정보제공 방안들이 연구 및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 동구에 설치 활용되고 있는 QR코드 지적기준점을 개선한 NFC 지적기준점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적용해 보았다. 또한 기존 기준점을 이용한 측량 방식과 NFC 지적기준점을 이용한 측량 방식을 비교 및 시험하여 두 방식에 대한 효용성을 분석해 보았다. 두 방식의 적용결과 외부환경에 따른 손상과 활용성 측면에서는 NFC 지적기준점이 장점이 있으며 특히 인식방식에 따른 편의성 측면과 인식률 및 인식속도에서는 NFC 방식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QR코드 지적기준점과 NFC 지적기준점 정보를 함께 적용 가능한 지적정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기존 기준점 성과를 이용한 측량방식과 비교한 결과 지적정보 어플리케이션이 현장답사 시간이 절약되고 기준점 성과 정보취득 시간이 짧고 간편해 효용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 후 정부차원의 통합적인 지적기준점 관리와 정보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된다면 전국의 지적기준점 및 관련 정보를 통합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효과적인 정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복자유망조정에 의한 평면기준점좌표의 결정 (Determination of Planimetric Control Coordinates by Repetative Free Network Adjustments)

  • 유복모;권현;표명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07-113
    • /
    • 1995
  • 일반적으로 측지망 최적화의 목적은 측지망의 형상과 관측계획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측지망의 형상은 일정한 것으로 간주하고, 측지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정점의 선택과 조정방법에 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국가기준점을 구성하는 측지망의 조정계산은 조정기준점의 선택과 조정방법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든 점을 고정하지 않는 자유망조정 방법에서 조정기준점으로 선택한 기준점좌표를 고정시켜 자유망조정을 반복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조정점으로 사용한 기준점의 오차를 점검하여 오차가 큰 기준점은 미지점으로 간주하고 반복조정하므로써 조정망의 신설점의 좌표를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조정계산 방법을 시뮬레이션 망에 적용한 결과, 조정점으로 선택한 기준점의 성과에 대한 오차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오차가 큰 조정기준점을 제외하므로써 조정망의 오차를 줄여 신설망의 좌표를 최적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국가기준점망의 순차 조정이나 국가기준점을 이용한 공공측량 등에 이 방법을 적용하므로써 조정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적기준점과 연계 활용을 위한 도시기준점의 지적좌표 성과산출 분석 -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Results of Cadastral Coordinate Computation of Urban Control Point for Connection to Cadastral Control Point -A Case Study of Changwon-si of Kyungnam-)

  • 홍성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27-13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적기준점과 도시기준점을 연계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창원시를 대상으로 세계측지계 성과로 고시된 창원시 도시기준점(32점)의 GPS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시기준점에 대한 지적좌표 성과를 산출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3가지 서로 다른 계산 S/W를 이용해 지적좌표를 산출하고 이를 기존 도시기준점 고시 성과와 비교한 결과 현행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오차의 허용범위 이내로 분석되어 지적측량에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실무에서 안정적인 활용 위해 현행 도시기준점 고시 성과를 직접 지적측량에 이용하기 보다는 새로이 지적성과를 산출해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역 삼각점에 대한 사전 정밀한 성과점검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계산 S/W는 삼변망조정계산 S/W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변블록에서의 움직임 특성을 이용한 부화소 단위 고속 움직임 예측 방법 (A Fast Sub-pixel Motion Estimation Algorithm Using Motion Characteristics of Variable Block Sizes)

  • 김대곤;김송주;유철중;장옥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D)
    • /
    • pp.560-56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H.264 동영상 표준의 가변 움직임 블록을 위한 고속 움직임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움직임 예측은 H.264의 비디오 코딩 과정에서 가장 많은 연산량을 차지하는 중요한 처리과정이다. 움직임 예측과정에서 정수배 화소 단위에서의 탐색에 비하여, 부화소 단위까지의 움직임 추정은 실제 움직임 벡터를 찾아낼 수 있지만, 이를 구하기 위한 계산량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기준점으로부터 $\pm1$ 화소 내에서 두 번째로 작은 오차 값이 있는 특성 및 부화소 단위의 화소 보간 특성을 이용하여 움직임 추정 과정에서 탐색점을 줄임으로써 연산 처리 속도를 증가시키고, 계산의 복잡도를 줄이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정수 화소 단위에서의 가장 작은 SATD를 갖는 점과 참조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PMV를 비교하여 기준점을 정한 후, 기준점 주위의 8개의 화소 위치 가운데 두 번째로 SATD값이 작은 점을 찾아 해당 방향으로 1/2 화소 단위의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였고, 1/4 화소 단위에서도 1/2 화소단위에서 두 번째로 SATD가 작은 점 방향으로 움직임 추정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JM에서 사용한 고속 움직임 예측 알고리즘에 비해 PSNR값에 큰 변화가 없고, 움직임 벡터 예측 시간 면에서 약 18%의 시간을 줄이는 결과를 보였다.

  • PDF

정사영상과 DTED Level 2 자료에서 자동 추출한 지상기준점의 IKONOS 위성영상 모델링 적용 가능성 연구 (Application Possibility of Control Points Extracted from Ortho Images and DTED Level 2 for High Resolution Satellite Sensor Modeling)

  • 이태윤;김태정;박완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03-109
    • /
    • 2007
  •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부터 수치고도자료와 정사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센서모델을 수립해야 한다. 센서모델 수립에 필요한 지상기준점은 실측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사영상과 위성영상 간의 정합을 통해서 얻은 지상좌표와 그에 대응하는 높이를 Digital Terrain Elevation(DTED) Level 2 자료로부터 추출하여 IKONOS 위성영상 센서모델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점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기준점으로 IKONOS 센서 모델을 수립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이로부터 추출한 기준점이 IKONOS 위성영상의 센서모델 수립에 적합한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서 사용된 DTED Level 2는 공간해상도가 약30m이고, 절대 수평 정확도는 원형오차로 23m(WGS84 기준)이하이고 절대 수직 정확도가 평균해수면 기준으로 18m 이하인 수치고도모델이다. 정합에 사용된 기존 정사영상의 공간해상도는 1m이다. 본 연구에서는 DTED와 정사영상을 이용해서 추출한 기준점으로 수립한 IKONOS 센서모델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실측 기준점을 검사점으로 했을 때 수립된 모델의 독립적 성능은 약 $4{\sim}5$ 픽셀 정도였다. 또한 수치고도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실측 기준점으로 생성한 수치고도모델과 육안으로 비교했을 때 서로 유사함을 알 수 있었으며, DTED 자료를 기준으로 산출한 높이 RMS 오차는 약 9 m였다. 이 결과로 보아 DTED Level 2와 정사영상을 이용해서 추출한 기준점이 IKONOS 센서 모델 수립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진동시험구제어를 위한 기준입력 스펙트럼의 결정 (Determination of Reference Input Spectrum for the Control of Fixture in Vibration Testing)

  • 김준엽;정의봉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영남대학교, 20 May 1994
    • /
    • pp.158-163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진동테이블의 가속도스펙트럼에 대한 치구 위의 제어점 및 시험물부착점들에서의 가속도스펙트럼을 실제 진동시험조건에서 낮은 진동레벨로 측정한 후, 측정된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기준스펙트럼과 시험물 부착점들에서의 스펙트럼의 창를 최소화하기 위한 진동테이블(armature table)에서의 가속도스펙트럼 및 제어점에서의 기준스펙트럼을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의 원리를 적용하여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방법은 시험규격에서 정해진 기준스펙트럼으로 제어할 경우와 제안된 기준스펙트럼으로 제어할 경우, 시험물부착점들로 전달되는 스펙트럼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간단히 예측할 수 있으므로 제안 전.후 결과를 쉽게 비교, 확인할 수 있고 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하므로서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제안된 기준스펙트럼을 랜덤진동제어의 기준스펙트럼으로 사용하므로서 시험규격에 정해진 기준스펙트럼을 가능한 정확히 시험물에 전달할 수 있고, 시험물부착점들에서의 과대시험 또는 과소시험을 최대한 줄이므로서 보다 정확한 진동시험을 수행할 수가 있다.

  • PDF

지문 정합을 위한 특이점 추출과 직교 좌표 생성 (The Creation of Orthogonal Coordinate and The Extraction of the Singular Point for Fingerprint Matching)

  • 최진호;나호준;김창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상)
    • /
    • pp.314-317
    • /
    • 2003
  • 지문을 이용한 개인 인증 절차는 지문 형태 별로 구분하는 분류(classification) 과정과 본인임을 확인하는 정합(matching)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문의 분류와 정합을 위해서는 기존 연구들이 지문의 특징점 수와 방향성의 흐름 패턴에 의존한다. 본 논문에서는 방향성의 흐름 패턴을 이용한 중심점 추출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추출된 중심점 정보는 현재 구현되어진 특징점 추출 정보와 연계해 정합을 위한 기준점으로 활용한다. 기준점을 축으로 생성되어진 직교좌표는 지문 영상의 상ㆍ하, 좌ㆍ우 위치 이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시켜줌으로써 지문 정합의 정확도를 높여준다.

  • PDF

Renovation of Korean Geodetic Control Points

  • Choi, Yun-Soo;Kwon, Jay-Hyoun;Hong, Chang-Ki;Lee, Ji-Su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401-41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측지기준점의 개선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개선의 내용은 기준점의 구조와 정확도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였으며, 구조의 경우 3차원 기준점으로 변화하면서 정확도, 포함 정보, 그리고 기준점의 위계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정확도의 개선은 위성측지 기술의 발달과 정밀지오이드를 기반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기준점의 개념은 위치뿐 만 아니라 중력, 환경정보와 같은 다양한 공간정보를 포함하여 전반적인 정보의 분석이 가능한 점이 강조되었다. 또한 RFID와 CDMA 기술을 이용한 공간정보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모든 노력으로 한국의 측지망은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이러한 개선이 측지 기준점의 역할과 미래의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