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온 상승

Search Result 61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Effect of Temperature on Mass Mortality of the Larval Toad (Bufo bufo gargarizans) in Mangwel Pond (기온변화가 망월지 두꺼비유생 집단폐사에 미치는 영향)

  • Kim, Kgu Hwan;Ahn, Seung Ju;Kim, Su Jung;Park, Hee Ch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1 no.4
    • /
    • pp.340-346
    • /
    • 2013
  • We have confirmed the first case of mass mortality which occurred in the wild populations of larval toad, Bufo bufo gargarizans during 2007~2009 at Mangwel pond, which is a long time breeding site, and is located at the south eastern area in Daegu. We have investigated through microbiological tests the cause of mass decease of the larval toad, and detected numerous bacteria from the intestine by histological examines and cultures. The pathogen isolated from the infected larval toads has been identified as Aeromonas hydrophila, which is widely distributed in aquatic environment. However, this phenomenon of mass lethal pattern of the larval toad disappeared at the breeding pond after maintaining better water levels and low temperature in spring during breeding season in 2010. We propose that the high temperatures during the 2007~2009 breeding season resulted in lower water levels and drier conditions leading to explosive propagation of A. hydrophila in the pond which impacted the larval toad's immune function.

Climate change assessment on sustainable water supply on multi-purpose dams in Nakdong River Basin (AR5 RCP 시나리오 기반 낙동강유역 다목적댐 기후변화 대응 능력 평가)

  • Kim, Jung Min;Park, Jin Hyeog;Jang, Suhyung;Kang, Hyun woong;Ryoo, K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03-203
    • /
    • 2017
  • IPCC 5차보고서의 기후변화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연강수량은 전반적으로 증가되나, 기온상승, 강우강도 증가 및 강수일수의 감소도 예상되고 있어 극한홍수 및 극한가뭄의 위험성은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즉, 연강수량 증가에 따른 미래의 용수공급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짧은 기간 내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위험성 증가의 의미가 크며, 강수일수 감소 및 기온상승은 증발산량 증가로 실제 저수지에서 활용될 수 있는 물의 양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가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도 미래 극한가뭄의 강도, 규모 및 지속기간이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국내 용수공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다목적댐의 기후변화 대응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여 극한 물 부족에 대한 사전대응계획과 효율적 운영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내 다목적댐 저수지 운영은 홍수기(6.20. ~ 9.30.) 유입량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실제 과거에는 용수공급에 필요한 유입량의 대부분은 홍수기에 유입되었다. 그러나 지난 2015년 소양강댐과 보령댐 지역의 계절별, 지역별 강수패턴 변화와 같이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강수의 시 공간적 변동성 가속화는 다목적댐의 용수공급 불확실성이 갈수록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R5기반의 52개 기후변화 시나리오(26개 GCM, 2개의 RCP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낙동강 다목적댐 유입량을 산정한 후, 낙동강 유역 다목적댐의 기후변화 대응 용수공급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 관측자료 기반의 다목적댐 가뭄대응 저수지 운영기준은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용수공급 안정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한 가뭄대응 운영기준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Ecological Nich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환경인자에 따른 소나무림의 생태적 지위에 관한 연구)

  • Seo, Dong-Jin;Oh, Chang-Young;Woo, Kwan-Soo;Lee, Jae-Che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5 no.3
    • /
    • pp.153-160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Pinus densiflora forest distribution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Ecological niche is used as a method to quantify the position occupied in biological communities, space, influence and all ecological factors. Ecological niche breadth was analyzed on meteorological and growth factors of P. densiflora. Nine sites (i.e., Gangneung, Jeongseon, Pyeongchang, Hamyang, Bonghwa, Yeongyang, Uljin, Uiseong and Boseong) were selected to set $20m{\times}20m$ quadrat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0. The height, DBH, clearlength, crown width and basal area were measured at each quadrat and used as growth factors. In addition, the measured values from the closest weather stations of each survey area of the maximum, mean and minimum temperature, humidity and precipitation were used as meteorological factors. The ecological niche breadth of the five meteorological factors except humidity was low. It is considered that precipitation could effect on the distribution of P. densiflora forest. In particular, maximum temperature showed low ecological niche breadth less than 0.4 in most of the survey areas. However, the ecological niche breadth of the five growth factors was high in all survey areas.

Agrometeorological Analysis on the Freeze Damage Occurrence of Yuzu Trees in Goheung, Jeonnam Province in 2018 (2018년 전라남도 고흥 유자나무 동해 발생에 대한 기상학적 구명)

  • Kim, Gyoung Hee;Koh, Young Jin;Kim, Kwang-Hyung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25 no.2
    • /
    • pp.71-78
    • /
    • 2019
  • In 2018, severe diebacks have occurred on yuzu trees cultivated in Goheung, Jeonnam Province. On-farm surveys at 18 randomly selected orchards revealed the dieback incidence ranged from 7.5% to 100% with an average of 43.6%, and 56.6% of the affected yuzu trees were eventually killed. In order to find the reason for this sudden epidemic, we investigated the weather conditions that are exclusively distinct from previous years, hypothesizing that certain weather extremes might have caused the dieback epidemic on yuzu trees. Since different temperatures can cause freeze damage to plants depending on their dormancy stages, we investigated both periods when yuzu becomes hardy under deep dormancy (January-February) and when yuzu loses its cold hardiness (March-April). First, we found that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s below $-10^{\circ}C$ were recorded for 7 days in Goheung for January and February in 2018, while no occasions in 2017. In particular, there were two extreme temperature drops ($-12.6^{\circ}C$ and $-11.5^{\circ}C$) beyond the yuzu cold hardiness limit in 2018. In addition, another occasion of two sudden temperature drops to nearly $0^{\circ}C$ were occurred right after abnormally-warm-temperature-rises to $13^{\circ}C$ of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s in mid-March and early April. In conclusion, we estimated that the possible damages by several extreme freeze events during the winter of 2018 could be a major cause of severe diebacks and subsequently killed the severely affected yuzu trees.

Studies on the Reducing Methods of Cold Wind Damage of Rice Plant by Installation of Windbreak Net in the Eastern Coastal Area (동해안 냉조풍지대의 방풍망에 의한 수도의 풍해경감방법)

  • 이승필;이광석;최대웅;손삼곤;김칠용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2 no.2
    • /
    • pp.163-172
    • /
    • 1987
  •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onducted to find the effect of wind-break net on reducing cold wind damage in the eastern coastal cold wind damaged area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ice critical safe heading date was up to Aug. 10 in the eastern coastal area, which the frequency of gale Aug. 10 to Sep. 10 is high. The frequencies of westries and cold wind from sea were 25%, respectively, in this area. The effects of wind-break net on reducing wind verocity were 26.9, 34,6% with raising air temperature of 0.4-0.7$^{\circ}C$ and water temperature of 0.3-0.5$^{\circ}C$. The effect of wind-break net was up to 10 time's distance of wind-break net's height from wind-break net. The installation of wind-break inhanced to rice growth, so showed the heading date earlier by 2-5days and increased culm length, no.of panicles per hill and no. of spiklets per panicle. The yield decrease in this area was due to sterilization, poor ripening and light 1,000 grain weight. The yields showed 20-28% increase by installation of wind-break net. The effect of wind-break net was most in the installation plot with wind-break net against cold wind from sea and westries installed in the panicle formation stage.

  • PDF

Fluctuation Characteristics of Seawater Temperature Identified by Time Series Analysis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한국 남해안에서 시계열 분석을 통한 수온 변동 특성)

  • Jang, Chan-Il;Kim, Dong-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7
    • /
    • pp.893-901
    • /
    • 2017
  • In order to understand the fluctu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temperature in August, water temperature, tide level, air temperature and wind data were analyzed using a power spectrum and coherence analysis for a region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Spectrum analysis showed that the water temperature and tide level in Wando, Goheung, Yeosu, Tongyeong and Masan have peaks over a semi-diurnal period. Coherence showed that water temperature was affected by tide in Wando, Goheung, Yeosu and Tongyeong where tidal range is relatively high. In Masan and Busan, where tidal range is relatively low, however, the tide did not affect water temperature significantly. In particular, wind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lation to water temperature in Masan. Time lags were calculated from phase. In Wando, water temperature decreased 1.5 hrs after a flood tide began. Water temperature decreased 0.3 hrs after a flood tide began in Goheung and Tongyeong. In Masan, water temperature increased 3 hrs after a south wind began. Water temperature in Yeosu was affected by tide, but air temperature, tide and wind in Busan affected water temperature very little.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Variation of Soil temperature in Korea (우리나라 지중온도 변동의 기후학적 특성)

  • Kim Seoung-Ok;Suh Myoung-Seok;Kwak Chong-Heum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6 no.1
    • /
    • pp.93-105
    • /
    • 2005
  •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variation of soil temperatures in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s observation data. And the impacts of soil moisture on the variation of soil temperature were examined using observed precipitation data. The climatological averages of soil temperatures are ranged from 14.4 to $15.0^{\circ}C$ regardless of depths. And they showed an latitudinal gradient with a warm temperature at the southern region and 'U' shape as in the air temperature with a high value along the coastal region. The relatively higher heat capacity and low conductivity of soil compared to those of the air resulted in the significant delay of the maximum and minimum date with depth. As a results, soil acts as a heat source during winter while a heat sink during summer. Global warming and urban heat island have increased the soil temperatures with an average rate $0.3\~0.5^{\circ}C/10-year$ as in the air temperature during last 30 years $(1973\~2002)$. However, the warming rate is maximized during spring contrary to the winter in the air temperature. The temporal variation of soil temperatures is strongly affected by that of soil moisture through an modification of the heat capacity and heat convection. In general, the increased soil moisture clearly decreased the temporal variations and increased the deep layer soil temperatures during cold season.

다년간(2000-2008) GPS 자료를 이용한 가강수량의 연간변화경향 분석

  • Son, Dong-Hyo;Jo, Jeong-Ho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41.3-41.3
    • /
    • 2009
  • 우주측지 정밀도 향상을 위해 대류층 지연오차의 정확한 산출은 필수적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GPS 자료를 이용하여 대류층 지연오차 요인인 대기 중의 수증기량을 정확히 산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1999년부터 GPS 관측을 시작한 이래로 10년 이상의 연속 관측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2000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천문연구원의 GPS 상시관측소 5곳(서울, 대전, 목포, 밀양, 속초)의 GPS 가강수량을 산출하고 이들의 다년간 변화경향을 분석하였다. 산출된 GPS 가강수량을 라디오존데 관측값과 비교하여 신뢰도 검증하였다. 선형회귀방법을 통하여 GPS 가강수량에 대한 경향을 분석하면 관측 지역마다 기울기의 차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GPS 가강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당 기간동안 GPS 가강수량의 연간 변화량은 평균 0.20mm 증가하였고 목포의 경우 0.25mm로 가장 큰 변화량을 보였으며 서울이 0.16mm로 가장 작은 변화량을 보였다. 여름철 연간 변화량은 평균 0.32mm 증가하였고 겨울철은 평균 0.08mm 감소하였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상승하면 상대습도가 내려가 수증기의 증발이 활발해져 대기중의 수증기량이 증가한다. 최근 10년간 기상청의 기온은 매해 평균 $0.16^{\circ}C$씩 증가하였으며 대기 중의 수증기량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GPS 가강수량의 변화 경향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safety for floods according to analysis of climate change scenario and flood defense measurement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치수 대책 변화 분석에 따른 치수안전도 개선)

  • Kim, Myojeong;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43-343
    • /
    • 2017
  • 기후변화로 인하여 평균 기온 및 강수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홍수의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예측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분석하고 있으며, 현재 사용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2013년에 발간된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5차 평가보고서(AR5)에서 2007년에 발간된 IPCC 4차 평가보고서(AR4)에 사용한 SRES(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 온실가스 시나리오를 대신하여 대표농도 경로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를 사용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기온 상승률 및 강수량의 증가량, 극한 강우사상의 발생 빈도 및 발생 정도가 다르게 결정되며, 이에 따라 IPCC에서 제시하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이론의 민감도 지수가 시나리오에 따라 증가하는 정도가 다르게 산정된다. 민감도 지수의 증가는 홍수위험지수의 증가로 이어지며, 이에 따라 치수대책 변화를 분석하여 치수안전도 개선 및 수재해에 의한 위험을 대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연평균강수량, 일최대강수량과 같은 극치 강수량과 치수 대책 변화 및 치수대책변수의 현황, 치수대책변수의 개선가능범위 분석을 통한 치수안전도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김해시 지상오존농도의 변화경향과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사례연구

  • 박종길;정우식;김재석;이대근;백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32-36
    • /
    • 2004
  • 본 연구는 최근 인구와 산업체가 급증하고 있는 김해시를 대상으로 김해시.군을 통합한 1996년 이후부터 2002년까지 김해시 지상오존농도의 변화경향과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사례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김해시 대기오염농도의 시계열변화는 증가추세가 뚜렷하였으며, 최근 대기환경기준이 강화되면서 환경지정기준을 초과하기도 하였다. 계절별 오존농도의 일변화는 사계절 가운데 봄철이 가장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매년 증가하는 농도폭도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여름철의 경우 태양고도가 높고 단위시간당 일사량은 많으나, 장마와 같은 운량 증가로 인한 일사량의 감소되거나, 기온이 상승할 경우 해안으로부터 해풍이 증가하여 여름보다는 봄철에 더 높은 농도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되며, 인구와 자동차 등의 증가로 인한 배출량이 증가한 것도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기간동안 60 ppb 이상의 고농도 오존일의 총 발생빈도는 237일로 나타났으며, 매년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대기환경기준 100 ppb/hr를 초과한 날도 8일이나 되었는데, 1999년이 4일 발생하여 오존에 의한 대기오염규제지역으로 선정되었는데, 고농도 오존일은 지난 1997년 이후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겨울을 제외한 전 월에 발생하는 특징을 나타내어 오존의 저감을 위한 실천 계획 수립뿐 아니라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와 빠른 시간 내에 오존의 예.경보제를 도입 운영하는 것이 김해시민의 건강과 복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사례일 첫 번째인 5월 1일은 일 최고 기온은 그리 높은 상태는 아니었지만 광범위한 이동성 고기압에 의해 대기가 정체하고 바람이 약한 시점에 광화학반응에 의한 오존생성이 용이하였고 해안가의 높은 농도의 오존이 수송되어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였으며, 사례 2의 경우 대륙에서 이동해 오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기는 안정하고 바람이 약하여 기온이 급상승하였으며, 광화학반응에 의한 오존 생성이 용이하였다. 사례 3의 경우는 남북으로 놓여 있는 대규모 기압계 사이에 안상부 형태의 대상고기압이 놓여 대기는 매우 안정하고 바람이 약하며 때때로 기압계에 의한 바람이 불 경우 다소 강한 바람이 불어 일사량이 많은 기압계에서 광화학반응과 수소에 의한 오존생성이 용이하여 고농도 오존을 발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