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온저감효과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cale of Green Spaces and Decreasing Air Temperature (녹지의 규모와 기온저감효과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윤용한;배병호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0 no.1
    • /
    • pp.10-19
    • /
    • 2002
  • In order to investigate relation between park scale and temperature decrease in and near parks,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observed and was analyzed in four parks of different scales. 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decrease and ratio of green coverage was also analyzed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Lower temperature was observed in and near the parks and larger cooling effect was implicated near the larger park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green coverage ratio lends the decrease of the temperature in the parks. The degree of the temperature decrease var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coverage.

Study on How Different Types of Land Use Around Green Belts Influence on the Effects of Temperature Decrease within Green Belts (녹지주변의 토지이용형태가 녹지내의 기온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

  • 윤용한;조계현;백승엽;김승태;김원태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17 no.1
    • /
    • pp.45-5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different types of land use around green belts affect temperature decrease effects. For this, temperatures within and outside of green belts were measur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analyzed the land cover status and temperatures within green belts, temperature decrease effects and the range of effects around green bel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rees and temperature decrease effects by way of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areas of the high temperature within green belts were formed on paved surfaces, whereas areas of low temperature were formed around forests or water surfaces. In addition, deviation was bigger in the highest temperature than the lowest one for areas of Leeward around green belts, but in general, there was a tendency that temperature became low near to green belts. As for the relation between land cover rate and temperature, what was effective to temperature decrease included forests, pasture and water surface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emperature decrease varied depending on increase or decrease of land cover rates. As for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t land use types around green belts on temperature decrease effects, the Shakuzi Park showed relatively stronger effects than the Ageomaruyama Park.

Air Temperature Decreasing Effects by Restored Urban Stream (복원된 도시 하천에 의한 기온저감효과)

  • Lee, Kyoo-Seock;Shin, Dong-Hoon;Kim, Jae-Cheol;Lee, Sang-Hwa;Lee, Hyo-Jin;Jin, Wencheng;Zheng, Haiya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9 no.1
    • /
    • pp.75-81
    • /
    • 2010
  •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된 도시하천의 기온저감 효과를 파악하고자 2007년 6월 1일부터 2008년 5 월 31일까지 10분 간격으로 서울시 강남구의 양재천 및 그 주변지역의 기온을 관측하였다. 관측 값 은 관측지점의 일중 기온변화와 관측 자료들 중에서 연 평균 기온이 가장 높은 숙명여고 (SM) 와 양 재천 주변 두 지역(YW와 YT)의 기온차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7년 6월 15일 22:50에 숙 명여고와 양재천 두 지점의 기온차가 $7.7^{\circ}C$로 가장 크게 관측되었으며 이때 기상상태는 바람이 없고 맑고 개인 날씨이었다. 또한 일 중 기온 저감효과는 낮보다는 밤에 뚜렷하였으며 관측 기간 중 숙명 여고 (SM)에서 열대야 현상이 13일로 가장 많이 나타난데 비해 양재천 (YW와 YT)은 4일로서 열대 야의 특성인 도심지 최저기온 상승을 하천이 억제함으로써 하천의 기온저감효과가 확인되었다.

The cooling effects of a paddy field area during 2006 summer (2006년 여름철 논에 의한 기온저감효과)

  • Kwon, Sung-Il;Kim, Jin-Soo;Park, Jong-Hwa;Oh, Kwang-Young;Song,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28-63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여름철(2006년 7월 15일${\sim}$9월 30일) 동안 서로 다른 토지피복형태(논, 밭, 도시녹지대 및 도시주택지)에서의 기온변화 특성을 비교하여 논에 의한 기온저감 효과를 파악하였다. 혹서기 동안 총 3회(2006년 8월 3일, 11일, 15일)에 걸쳐 논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기온을 실측한 결과, 논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기온이 상승하였으며, 170m 지점에서의 기온은 논 지점보다 14시에는 $2.3^{\circ}C$, 22시에는 $1.8^{\circ}C$, 익일 06시에는 $1.3^{\circ}C$ 높게 나타났다. 혹서기 동안 논, 밭, 녹지대, 주택지에서의 열대야 완화효과를 비교해보면, 논이 열대야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5^{\circ}C$이하로 낮아지는 평균시각은 논이 22.36시, 밭이 24.0시, 녹지대가 2.2시, 주택지가 2.3시로 나타났고, 이 시각으로부터의 평균 지속시간은 논이 7.7시간, 밭이 7.3시간, 녹지대가 4.3시간, 주택지가 1.0시간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균 일최저기온은 논이 $23.1^{\circ}C$로서 밭과는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녹지대보다 $0.9^{\circ}C$, 주택지보다 $3.0^{\circ}C$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논과 밭에서의 기온저감효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기온저감효과가 식생피복상태에 의해 크게 좌우되기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논과 밭에 의한 기온저감효과의 메커니즘은 파악되지 않았으나, 이는 다양한 논지대 및 밭지대를 대상으로 열수지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구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자로서는 제방 마루의 토지이용 및 식생구조, 하도의 식생유형, 하도주변 토지이용, 하안(bank) 형상 및 구조, 수종 및 구조, 하도 및 하안 특징 및 구조 등으로 선정, 검토하였다. 이상의 하천교란과 관계되는 지표를 선정하여 물리적, 생태적 조사 및 교란평가기법(안)을 개발, 제시하였다.EX>)를 보였으며, 그 중 3명에서는 혈역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잔여단락이 있었다. 결론: 급성 심근경색증 후 심실중격 결손은 수술위험도가 높은 질환이지만, 수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하고 조기에 심실중격 결손부의 infarct exclusion 술식과 함께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수술 및 중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출물 투여로 저하되었으나 NC군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간 중 중성지질 함량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용량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으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용량 병합투여한 HC-PBH군만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및 간 중의 지질 함량 변화는 정상식이를 급여한 NC군과 NC-PB군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하면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투여 시에만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고용량 병합투여 시 효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하였으며, 이는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을 포함한 여러 생리활성물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은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증가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은 감소시켰고, HDL-콜레스테롤과 인지질 함량은 증가시킴으로써 지방간 및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hr/g$, 섭취 7일중 $8.123\;{\mu}g/hr/

  • PDF

Comparative Study of Maximum Temperature Condition in Green Space (녹지 조건에 따른 최고기온의 비교연구)

  • 윤용한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15 no.4
    • /
    • pp.181-186
    • /
    • 2001
  • In this study, we observed air temperature to make clear that land coverage condition and forest form has a certain relationship to air temperature in a day in various green space. And with revolution analysis, interpreted relationship of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green space, of land coverage rate and air temperature, of volume of tree and temperature. With this experimental result, propose green plan, taking into consideration lower effect of air temperature. In this result lower zone is formed in forest and water area, higher zone is done in paved surface and barren ground. And arbor+subarbor area, water area sur-rounded forest and small river is formed relative lower air temperature. In my opinion to promote efficiency lower air temperature area, it is need to make water area surrounded forest, to make forest form lower air temperature 2∼3 layer forest. Lower air temperature effect is in order of arbor, subarbor, shrub and is proportioned increasing of tree.

  • PDF

Evaluation of temperature change by development phase in Gwangju area using the ENVI-met model (ENVI-met 모형을 이용한 광주 지역의 발전 단계별 기온변화 평가)

  • Sungshin Yoon;Munseok Lee;Yumin Kim;Chulsang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0-190
    • /
    • 2023
  • 습지, 호수 및 강 등을 포함하는 수체는 증발 및 비교적 높은 열용량을 통하여 주변 기온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효과는 수체의 크기, 형태, 그리고 깊이 등 수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난다. 대부분의 경우 수체는 주변 기온을 저감시키지만, 특정 경우 반대로 기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불러온다. 아울러, 같은 수체라도 수체 주변 지역의 구조나 형태, 그리고 기후 조건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대부분 연구자는 수치해석, 원격탐사 기법, 혹은 관측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경험적으로 수체마다 기온변화 효과를 달리 평가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는 대부분 국외에서 수행되어왔으며, 강, 하천, 그리고 호수 등이 주로 연구되어왔다. 탄소저감 및 높은 기후조절 효과를 가지는 습지는 물을 포함하고 있어, 당연히 수체로 취급될 수 있다. 습지의 다양한 기능 중 기온조절 효과는 습지의 가치 및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반드시 연구되어야 한다. 국외의 경우, 관련 연구가 수행된 바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관련 연구가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수체의 기온조절 효과는 수체의 특성, 주변 지형의 특성, 그리고 기후 조건 등에 영향을 받음으로 국외 연구 결과들을 국내 습지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습지에 대한 평가가 달리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습지의 기온조절 효과를 평가하고자 광주호 습지를 대상으로 ENVI-met 수치해석 모형을 사용하여 그 지역의 여러 가상의 발전시나리오를 구축하고 모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주호 습지의 기온저감 효과는 약 2km 정도까지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 규모는 기후 조건 및 주변 지형의 특성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 PDF

Influencing Degree to the Air Temperature of Stratification in the Urban Green Space (도시녹지의 계층구조가 기온에 미치는 영향)

  • 윤용한;김원태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16 no.2
    • /
    • pp.107-114
    • /
    • 2002
  • In this study, We measured air temperature in a vegetated area to investigate if stand types and height affect air temperature. With the measured data,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ir temperature vs. ground cover type, vegetated area, stand structure, stand density, and tree volume by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paved area and open field have higher air temperatures than the vegetated area and water-related areas. Among the stand types, the stand with overstory and sub-overstory showed relatively low are temperature. The stand with overstory had lower air temperature than the stand with sub-overstory. Increasing stand density was effective for lowering air temperature.

Temperature Lowering Effects Varied by the Arrangement and Types of Vegetation (녹지의 배치와 식재형태가 열환경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

  • 윤용한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17 no.4
    • /
    • pp.165-172
    • /
    • 2003
  • Temperature lowering effects varied by the arrangement and types of vegetation The effects of the arrangement and types of vegetation on lowering temperature have shown following results. 1) The temperature range of a vegetation shows that a higher temperature was recorded near urban towns while lower temperature was observed around the vegetation area and small streams.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rangement of a vegetation and the temperature indicates that the lower temperature area matches with each vegetation area. Streets between vegetations and the lower end of the wind area have also lower temperature. 3)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vegetationstreets and the temperature indicates that the lower temperature area has been observed not only at the streets of the lower end of the wind but at the streets in-between streets as well. Even when there's no vegetation area from which the wind blows, inter-vegetation streets showed the lower temperature. 4) With land coverage ratio and the temperature, the increase of planted areas, grass areas, and water level have positive effects on lowering the temperature while bare areas increase it. 5) From arbor to sub-arbor, the increase of tre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owering the temperature of nearby area.

Urban Air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Central Business District and Suburban Hill Footslope Village (도시상업업무중심지구와 산기슭마을의 기온차)

  • Zheng, Hai-Yan;Jin, Wen-Cheng;Lee, Kyoo-Seoc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4 no.1
    • /
    • pp.67-76
    • /
    • 2011
  • 도시화로 인해 도심지와 도시외곽간의 기온차가 더욱 심해지는 열섬현상은 폭염과 더불어 도시민의 쾌적한 삶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이를 저감하기 위한 노력이 시행되고 있다. 도시 기온은 도시의 지형적 특성, 도시 수체의 규모와 위치 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도시외곽에 산림이 존재하는 도시에서는 이들 지역과 도심지와의 기온차이를 측정하여 바람길을 이용한 기후응용도시계획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허나, 아직 국내에서는 이들 기온 차에 대한 특성을 조사한 연구가 많지 않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강남 지역을 대상으로 도심지 상업업무중심지구 두 곳(GNS, SLS)과 도시외곽 산기슭 마을 두 곳(YGD, GPT) 간의 기온 차를 2008년 4월 14일부터 2009년 4월 13일까지 1년간 관측한 자료를 대상으로 일 변동, 계절별 변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관측 기간 동안 YGD는 연평균기온이 GNS보다 $2.8^{\circ}C$ 낮았으며 열대야는 GNS, SLS가 16일인데 비해 GPT는 2일, YGD는 하루도 관측되지 않아 도시외곽의 산림이 도시기온 저감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omparison of Thermal Effects of Different School Ground Surface Materials - A Case of Yooljeon Elementary School- (학교운동장 피복물질 간의 온열효과 비교 - 율전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 LIM, Joong-Bin;YU, Jinhang;LEE, Ju-Yeol;LEE, Kyoo-Seoc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8 no.2
    • /
    • pp.28-44
    • /
    • 2015
  • Granite soil has been used traditionally as a school playground surface. Natural turf has also been used in some schools. Recently artificial turf has come into common use instead of granite soil or natural turf. Artificial turf playgrounds are used at 174 schools in Seoul, Korea. More than 3,500 artificial turf fields are installed in the United States. Because of the increase of artificial turf usage,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he estimation of artificial turf effects to environment. Compared with artificial turf material effects such as characterization of substances released from material, and recognition of volatility of heavy metal in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air or the percolating rainwater -, less studies for thermal effects of artificial turf playground have been done. Especially, the corresponding studies in Korea are few.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thermal effects of artificial turf on school playground between natural turf and granite soil. In this study, air temperature and Predicted Mean Vote (PMV) were compared in three scenarios b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Additionally, the results were validated through a field measurement. Air temperature decreasing effects by natural turf are greater than those by artificial turf and granite soil at 14:30 on 20th, July 2011. It shows the same decreasing effects at 23:30. However, the difference is less than that of daytime. PMV differences between natural turf and the other two surface covers are large at daytime while those are much less at nighttime. Consequently, air temperature and PMV of artificial turf are the highest among three school playground surface pav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