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업의 교육

Search Result 2,371,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보건산업 종사자의 교육훈련 참여 애로요인에 대한 분석연구

  • Gwon, Gyeong-Seop;Lee, Dae-Hyeong;Park, Geun-Yeong;Choe, Hyeon-Ju;Kim, Ju-H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55-158
    • /
    • 2018
  • 교육훈련은 기업의 인적자본을 축적하고 혁신을 자극하여 공급측면을 확장한다. 또한 기업 경쟁력 강화에 따른 임금상승과 소비증대, 투자 확대 등 총수요 확장효과도 있다. 그러나 만성적인 현장의 인력 부족, 높은 비정규직 비율 등의 특성을 안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 근로자에 대한 교육훈련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래신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는 보건산업분야 교육담당자 및 교육생을 대상으로 교육참여 애로사항을 조사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업종 및 기업규모와 관련 없이 가장 큰 애로요인은 교육에 참가할 시간부족이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병원분야가 제조업인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분야 보다 시간적 제약에 대한 지적이 많아 병원분야 인력부족 문제가 교육 참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둘째, 지방소재 기업일수록 지리적 접근성을 애로요인으로 지적하고 있어 지역 교육 및 기업 현장으로의 찾아가는 교육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셋째, 중소기업에서 교육정보 인지도를 문제로 지적했는데, 이는 교육 관련 조직이 미비한 중소기업일수록 교육정보 확보 및 사내전파가 낮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단기 다수교육과정 즉 카페테리아식 교육과정과 사이버과정을 통한 종사자들의 선택권 강화, 지역 및 기업 현장으로의 찾아가는 교육, 중소기업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정보 제공 및 사내 전파, 교육참여 우수기업과 종사자에 대한 표창 등의 유인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nterprise and Training for HRD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 (Human Resources Development를 위한 기업교육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Yoo, Ji-Chul;Kim, Kwang-Soo;Hong, Sang-Jin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12 no.4
    • /
    • pp.279-288
    • /
    • 2010
  • 지식기반 경제 사회의 진입과 더불어 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인적자원이며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야말로 기업 경영에 있어서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적자원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대부분의 기업들은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훈련의 효율적인 활용이야말로 인적자원의 개발이고, 인적자원의 개발이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교육훈련이 조직의 발전에 최우선이 되어야 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기업에 있어서 사람이 자산인데 자산을 키우기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도 기업들은 효율적인 교육 훈련에 많은 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인적자원이 기업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한 핵심요소이고 기업의 핵심인 인적자원을 개발하기 위해선 교육 훈련이 핵심이고 핵심인 교육훈련은 기업의 인적자원개발에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교육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HRD 요소들에 있어서 조직원 직무향상을 위한 교육효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교육훈련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 교육의 중요성인지, 교육 참가횟수, 교육내용 등의 사전인지가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요인으로 나와 있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회귀모형 분석을 제시하였다.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은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향상시킬까?: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을 중심으로

  • Kim, Jong-Seong;Kim, Do-Hyeon;Lee, U-Jin;Kim, S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57-6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업가지수를 활용하여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이 청소년에게 어떠한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지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을 중심으로 검증해 보는 데 있다.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의 3개 영역(인지, 사회, 정의), 9개 하위요소(혁신성, 적극적 문제해결, 대인관계, 리더십, 공감, 위험감수성, 진취성, 자기효능감, 모호함에 대한 인내)를 교육 사전-사후로 나누어 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에 참가한 고등학생의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사전-사후 대응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둘째,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구성하는 인지, 사회, 정의영역 중인지영역과 정의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마지막으로 9개 하위요소에 대해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 및 위험감수성 요소를 제외하고 7개 하위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회원사탐방 -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경영컨설팅 성마기업(주)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311
    • /
    • pp.52-60
    • /
    • 2016
  • 21세기에 기업의 운명을 결정짓는 것은 기업문화이다. 바람직한 기업문화는 훌륭한 일터를 만들기 위한 전제조건이다. 그런 까닭에 오늘날 대부분의 기업들이 각사 특성에 적합한 바람직한 기업문화 정착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성마기업(주)이 그렇다. 성마기업은 투명경영을 통해 임직원 모두 주인의식으로 무장하고 있으며 소통하는 기업문화를 갖고 있다. 또 매년 전직원이 모여서 교육을 실시한다. 성마기업은 지난 1월 13일 오후 1시부터 15일 오후 6시까지 인천광역시 소재 건설기술교육원에서 60여명의 전 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2박 3일간 직무능력 향상 교육을 실시했다. 이 교육에 예외란 없다. 본사를 비롯, 전국에 있는 현장의 모든 직원들이 참석하여 교육을 받는다. 2박 3일간 일정 중 교육시간은 약 20~24시간이며 1인당 30만원 정도(강사교, 교재, 숙식비 포함) 비용이 든다. 이 중 1인당 10만원 정도는 고용보험료로 환급받을 수 있다. 단, 교육 내용이 업무와 연관없는 과목은 환급에서 제외된다. 본지는 지난 2월호에 게재된 '2016년 성마기업 직무능력 향상 교육'에 이어 이번호에는 성마기업이 지난해 실시한 경영컨설팅의 주요 결과에 대해 게재한다.

  • PDF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 2개의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 Kim, Ga-Yeong;Kim, Do-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09-118
    • /
    • 2019
  • 기업가정신이 기업의 혁신 및 국가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기업가정신교육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Katz, 2003; Kurako, 2005). 한국 정부는 '창의인재양성'이라는 교육정책 목표로 기업가정신교육 예산이 증가시키고 있으며, 교육 대상자도 대학생 및 성인 대상을 중심에서 중 고등학생으로까지 확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가정신교육은 창업가적 스킬을 발전시키고 진로선택에 있어서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Linan, 2004), 다수의 기관에서는 저마다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정의 및 운영방식을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대학수준의 프로그램에서는 교육의 효과성을 창업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로 측정하고 있지만, 사회에 진출하기에 이른 시기인 청소년에게 그 지표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대표적인 2개의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기관의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청소년에게 적합한 효과성 지표를 제시하고, 두 프로그램의 효과성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의 발전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 PDF

Impact of Standardization Level and Education on Standardization on Performance of the Firm (표준화 교육 실태 및 표준화 교육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Noh, Yonghwi;Jeung, Wonho;Choi, Donghyu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3 no.1
    • /
    • pp.37-60
    • /
    • 2015
  • As global competition has become keener, importance of standardization has increased due to international trade between firms and countries. Since standardization provide compatibility for parts or products, maintaining a good level of standardization is one of key success factors. This paper studies impact of standardization status and educational effort of standardization on performance of the firm. Also, characteristics of the firm, industry, history, acknowledge of need for education of standardization of the firm are considered as antecedents of standardization status and educational effort on standardiz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information and technology and electronics industries. This paper found that characteristics of the firm and acknowledge of need for education on standardization have positive impact on the number of education on standardization.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 that the number of education classes and of employees participated in the class positively affect R&D performance and produ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of standardization education and competitiveness of the firm in global market.

An Analysis of Return on Investment of Corporate e-Learning Program (기업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교육투자수익률(ROI) 분석)

  • Lee, Hyu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479-48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e-learning program)의 교육투자수익률(ROI)을 산출하여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ROI 모델을 통해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교육투자수익률을 산출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투자 대비 수익을 중시하는 기업에 있어서 교육투자수익률을 분석하는 것은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투자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특정 회사의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을 산출하여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을 운용하는 모든 기업의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을 규명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투자 및 운용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Status and Efficiency of Education-Training in Korean Firm (한국기업의 교육훈련투자 실태와 효율화 방안 연구 - 국내 대기업 D사를 중심으로 -)

  • Ryu, Jangsoo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4 no.3
    • /
    • pp.83-117
    • /
    • 2001
  •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status and efficiency of education-training in Korean firm. A study on the education-training in firm is very important nowadays, but the study level on this issue in Korea is low. The study method of this paper is the case study on a high-level Korean firm in the education-training status. This study first attempted to analyze the concept and size of the education-training in firm. And then this study figured out factors that determine the efficiency of education-training. Finally, I analyzed the status and efficiency of education-training in this case firm. Unfortunately, the efficiency level of my case firm in the education-training was low, in spite of a high-level firm in the education-training status. To upgrade the efficiency level of this firm in the education-training, this firm has to resolve many tasks.

  • PDF

신입사원 교육 프로그램으로 본 대학교육의 필요점

  • Lee, Yeong-Hun
    • 대학교육
    • /
    • s.148
    • /
    • pp.81-86
    • /
    • 2007
  • 대학에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역량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하며 가시적인 성과를 보인다면, 기업도 대학교육을 위해 훨씬 더 적극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게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 대학이 더 자주 만나야 한다. 신입사원들에게 요구하는 대인관계와 협동정신을 대학과 기업이 서로를 향해 발휘한다면, 대학과 기업, 그리고 대학을 졸업한 신입사원 모두가 Win-Win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PDF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과 지원성과간 관계 연구

  • Byeon, Ji-Y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123-127
    • /
    • 2020
  • 4차산업 이래 급변하는 산업환경과 경기악화로 인해 청년실업율이 지속적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으며, 산업구조 변화로 사회에서 요구하는 진로역량에 영향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일자리창출의 새로운 동력원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다 대학 창업교육은 양적 성장세를 이어 왔고, 더불어 주요 창업지원성과라 볼 수 있는 창업자수·고용인원수·매출액 성과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 창업교육이 어떠한 질적 성장을 이루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할 것이다. 창업교육은 주로 국내 교육 및 해외교육 현황이나 일부 역량관점으로 대학 창업교육을 다루는 선행연구가 있으나 아직 역량관점에서의 창업교육에 대한 연구는 도입단계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 지고 있다. 대학에서는 실질적인 창업지원 성과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창업교육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 또한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점들을 반영한다면 사회 변화와 요구에 따라 창업교육의 양적성장에 이은 질적 고도화를 위한 다각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창업교육의 질적 측면에서 살펴보자면 유럽에서는 수년간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기업가정신역량을 국민의 전생애역량으로 인식하고 평생교육에 적용해 오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대학 별로 3~5단계 내외의 교육체계를 세우고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씽킹이나 캡스톤디자인식 등의 창업교과목과 같은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도 다소 증가하고는 있으나 주로 창업스킬 중심의 교육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대학은 창업교육을 통해 사업가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기업가를 육성해야 하는 기관이다. 그러므로 대학별 특성에 따른 교육체계의 다양성에 더하여 이제는 국내 대학 창업교육의 체계성을 높이기 위한 통합적인 접근 또한 필요한 시점이라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량관점으로 창업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실질적인 창업지원성과 간 관계를 밝혀 창업교육 고도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업가정신역량(Entrepreneurship Competence) 개념을 기반으로 4년제 창업선도대학의 역량별 창업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과 지원성과 간 연관성을 밝혀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업교육 지원체계를 고도화 함에 더하여 대학에서의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을 통하여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역량을 제고시킴으로써 실질적인 창업지원성과를 높이고,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써 사명감을 가지는 바람직한 기업가를 발굴하고 육성함에 있어 좀 더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