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업생산성

Search Result 1,64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increaing productivity of enterprise through industrial safety education (산업안전교육을 통한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 이승환;채일병;강경식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0.11a
    • /
    • pp.7-11
    • /
    • 2000
  • 기업 생산 활동의 중요한 요소 4가지를 살펴본다면 사람, 기계, 원료, 방법이라고 이야기 한다. 기업에서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종의 여러 기법등을 통하여 생산성 향상에 촛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생산성 향상만큼 중요한 것은, 기업이 생산활동을 하는데 있어 기업의 손실을 최대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느냐에 따라서 기업의 성공여부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기업에서 발생되는 손실부분중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산업재해로 인한 인적·물적인 손실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기업의 산업안전에 관한 실태를 살펴보면 인간중심의 안전관리보다는 기계중심의 안전관리가 더 우월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업 내에서 실시되는 산업 안전 교육이 기업 내에서 효율적으로 자리잡아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생산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개발방법론(PSDM)의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사례연구

  • Ju, Seok-Jeong;Hong, Sun-Gu;Park, Sun-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a
    • /
    • pp.21-31
    • /
    • 2010
  • 중소기업은 변화하는 경쟁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경쟁력확보와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IT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생산정보시스템을 도입,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중소기업 생산정보화를 위하여 시스템 개발 과정을 정형화하는 생산정보시스템의 표준화가 요구된다. 특히 중소기업, IT업체, 감리업체 등 참여 기업 간의 의사소통, 그리고 구축된 생산정보화의 유지보수를 포함한 운영지원 등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생산정보시스템의 개발 방법론 (PDSM)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기술정보화진흥원에서 생산정보화시스템개발방법론(PSDM)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가 지원하는 중소기업 생산정보화지원사업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생산정보화시스템개발방법론(PDSM)을 적용한 IT 업체의 적용사례를 통해 방법론의 활용에 따른 생산성 향상 및 작용 시 고려사항에 대해 살펴본다. PSDM은 효과적인 중소기업 생산정보를 위하여 시스템 과정을 표준화 하고 단계별 주요 활동에 대한 연구와 함께 프로젝트 범위, 일정, 비용,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WBS(Work Blockdown Structure)작성, 시스템의 신뢰성 품질, 생산성 향상을 위한 관리 항목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 PDF

Large Firms and M&A Trend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Implications for Productivity (디지털 전환 시대의 지배적 기업과 인수합병: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Young Bong Chang;YoungOk Kwon;Wooje Cho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4 no.4
    • /
    • pp.41-54
    • /
    • 2022
  • Despite the recent rapid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e have been experiencing the decline in productivity since the 2000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cline at both industry and firm levels, by looking at the emergence and growth of large firms such as Amazon, Alphabet, and Apple and M&A trends. Follow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ur results show that productivity at industry level has decreased since the 2000s. Particularly, in the period after 2011, the deterioration of allocative efficiency due to the large firms and the decline in the growth rate of surviving firms in the industry with low ratio of large firms contributed to the productivity decline. On the other hand, our analysis at firm level demonstrates that the productivity of firms that acquired IT firms improved over the entire period. While M&As have a positive impact on productivity, M&As with a demand-side motive such as market penetration and expansion of channels have a relatively larger impact than the ones for production or operation efficiency.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large firms in a specific industry, the lower the productivity of individual firms in the same industry. Overall, given that the industry's structural changes for digital transformation tends to strengthen the growth of large firms, our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of the emergence of large firms, the acquisition of IT/Non-IT firms, and motivations for M&As to firm/industry productivity.

The Effects of Venture Business Finance Supporting Programs on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Venture Firms Using Data Envelope Analysis (자료포락선분석을 활용한 벤처기업 자금지원정책의 기업 효율성 및 생산성 효과 분석)

  • Kim, Hong Kee;Yoo, Jin Man;Oh, Keun Yeob
    •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 /
    • v.38 no.3
    • /
    • pp.165-184
    • /
    • 2016
  •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the effects of venture business finance supporting programs on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venture firms, on the basis of the data envelope analysis (DEA) using data of 406 firms in the 2013 Venture Business Detailed Survey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finance supported venture firms is higher than that other venture firms.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in venture firms enjoying government supporting programs is higher than that in venture business without government supporting programs, especially in the technical progress rather than in efficiency improvement. Also the R&D supporting programs for venture firms lead to an increase in productivity. Taking the above results into consideration, government's venture supporting programs are evaluated to be effective in terms of an increase of productivity and the proper scope for fragile venture firms.

Heterogeneity in the Effects of FDI on Firms' Productivity in South Korea: A Quantile Regression Approach (외국인투자가 국내기업의 생산성에 미친 효과: 분위회귀 접근법)

  • Kim, Jaehoon;Chun, Bong Geu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6 no.1
    • /
    • pp.1-42
    • /
    • 2014
  • This study analyzes how heterogeneous across firms' productivity level the effec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on the productivity of firms in a host country are. The study uses firm level data over 2000~2009 in South Korea and takes a quantile regression approach to estimate FDI's heterogeneous effects on the invested firm ('direct effects') and other domestic firms in the industry to which the invested firm belongs ('intra-industry spillover effects'). Majo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In manufacturing sector, FDI has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he invested firm. In addition, the higher the quantiles of firms' productivity level are, the larger the positive productivity effects are. FDI also has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ra-industry spillover effects on domestic firms in low quantiles of productivity while it has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or insignificant spillover effects on those in high productivity quantiles. In service sector, on the other hand, Sufficient evidence is not found that FDI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r intra-industry spillover effects. Taken together, the study suggests that FDI has heterogeneous effects on the productivity of firms in host country, depending on the firms' productivity level and sector.

  • PDF

Determinants of Productivity Change in Export Manufacturing Firms : Focusing on Innovation (수출제조기업의 생산성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혁신활동을 중심으로)

  • Hwang, Kyung-Yun;Koo, Jong-Soon;Hwang, Jung-Hyun
    • Korea Trade Review
    • /
    • v.41 no.4
    • /
    • pp.61-9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ources of productivity change in export manufacturing firms. After estimating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 panel regression was used to calculate the source of productivity change. Upon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f this field, six variables were selected as explanatory variable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355 export manufacturing firms operating from 2009 through 2015 are as follows: First, both innovation activity and total assets had a positive impact on productivity change. However, employment cost intensity, equity ratio, and current ratio had a negative impact on productivity change in export manufacturing firms. Second, innovation activity and intangible assets had a positive impact on productivity change, but employment cost intensity, selling expense intensity, and equity ratio had a negative impact on productivity change in large export manufacturing firms. Third, innovation activity had a positive impact on productivity change, but employment cost intensity and equity ratio had a negative impact on productivity change in small and medium export manufacturing firms. Fourth, intangible assets had a positive impact on productivity change, but employment cost intensity, selling expense intensity, and current ratio had a negative impact on productivity change in export manufacturing firms listed on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Fifth, innovation activity and total assets had a positive impact on productivity change, but employment cost intensity and equity ratio had a negative impact on productivity change in manufacturing firms listed on the Korean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 PDF

The Effect of Productivity on Firm's Energy Consumption: An Empirical Analysis of Productivity Dilemma (생산성이 기업의 에너지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생산성 딜레마 검증)

  • Cho, Sung-Taek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22 no.1
    • /
    • pp.41-60
    • /
    • 2018
  • It is widely known that the increased productivity lead to a decrease in energy consumption. The policy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is also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firm's productivity. However, the issue of productivity dilemma phenomenon is recently raised in various fields. It is phenomenon that the increased productivity rather lead to a increased in energy consumption through a rise in output. This paper analyzed the presence of productivity dilemma in korean firm using Tang et al(2015)'s theoretical model. To closely analyze, I performed the analysis using 715 firms during 2011-2015 and estimated the model using system GMM to minimize the endogeneity. The results show that total effect of productivity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efficient. It is implies that the increased productivity doesn't increase energy consumption. In other word, this paper could not identified productivity dilemma and so did in overseas investment firm and national firm cases.

Development of the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 for Small-Sized Shoe Manufacturers (중소신발생산기업을 위한 생산정보시스템 개발)

  • 이경근;윤원영;문일경;조형수;차병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71-75
    • /
    • 2003
  • 오늘날 국내기업들은 국내$\cdot$외적인 경쟁 심화와 기술혁신 및 신제품개발, 정보화시대 도래에 따른 기업정보의 중요성 중대 등 급변하는 기업 환경 속에서 유연성 있는 경영조직 및 효율적인 관리시스템 확립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및 경영효율화와 경영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정보자원의 효율적 관리 및 신속한 의사 결정 지원 등 기업내부의 경영혁신과 정보화를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여타 제조업체들에 비해 국내의 중소신발생산 기업들은 소수의 대형업체를 제외하곤 기업의 정보화 수준이 미미하며 체계적인 정보시스템 또한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중소신발생산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수주에서 자재구매, 생산, 납품에 이르는 일관된 정보 흐름을 통해 기업의 주요한 정보인 주문정보, 제품정보, 자재발주 및 입고정보, 생산계획 및 생산실적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생산정보시스템을 개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21세기로 향한 전 공장자동화 (Total Integrated Factory Automation For $21^c$ vision - 미래로 향하는 기업의 망원경과 현미경의 철학)

  • 이종운
    • 전기의세계
    • /
    • v.41 no.5
    • /
    • pp.20-31
    • /
    • 1992
  • 논문의 내용에서는 21세기 초일류 기업을 위한 신경영기법의 종합적 접근방법을 논하고자 하였으며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는 기업의 생산 시스템을 세계수준급으로까지 발전시키는 비젼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IFA란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법론이요, 생산방법의 개량이요, 인간을 위한 융통성 있는 생산 시스템이라고 했다. 하지만 그 생산방식에 인간중시, 인가존중의 휴면정신이 외면 당한다면, 그것은 결코 진정한 의미의 TIFA라고 말할 수 없다. TIFA란 생산현장, 산업근로자들의 신념과 긍지까지 현미경적 시각으로 발견, 연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진정한 TIFA란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과학과 기술, 인간과 경영의 하모니로 시작되는 유연하고도 융통성 있는 생산 시스템이라고 정의한다.

  • PDF

외국인투자기업(外國人投資企業)의 생산성효과(生産性效果) 분석(分析)

  • Kim, Seung-Je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1 no.3_4
    • /
    • pp.215-272
    • /
    • 1999
  • 외국인투자 유치를 통해 국내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외국인투자가 한국의 산업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실증연구가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기업데이터를 이용하여 외국인투자의 생산성효과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소유기업의 노동생산성이 높다. 둘째, 외국인투자의 생산성 파급효과는 양(+)의 효과를 가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즉, 생산성 파급효과가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은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우선 외국인투자기업이 선진기술 및 경영노하우를 전수할 능력을 가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외국인투자를 유치하는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인 선진기술 및 경영노하우 전수의 전제조건인 외국인투자기업의 기술 및 노하우 소유가 실제로 성립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지만 외국인투자가 국내산업 전반의 효율성 제고로 이어지는 데는 아직 장애요인이 존재함을 암시한다. 경쟁규율이 확립되지 않았거나 기술파급을 위한 제도적 여건이 미비한 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정책적인 시사점은 어떻게 기술파급효과를 극대화할 것인가에 집중된다. 경쟁에서 낙오한 기업의 퇴출을 확실히 제도화함으로써 외국인투자의 경쟁압력이 기업의 효율성 증가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각종 반경쟁적 관행 또는 행위를 단속할 수 있는 경쟁정책의 확립이 요구된다. 또한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산업입지정책의 효율화 등을 통해 외국인투자의 기술이전 및 확산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