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억체계

Search Result 15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Meta-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Cognitive-Linguistic Tests : Focused on Normal Aging, MCI, and Dementia (메타분석을 통한 주·객관적 인지-언어 평가 간 상관성 연구 : 정상 노년층, MCI, 치매 환자를 중심으로)

  • Lee, Mi-S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11
    • /
    • pp.7414-7423
    • /
    • 2015
  • Subjective cognitive-linguistic complaints in older adults contribute to the diagnostic and prognostic investigation of MCI or dementia. However, the utility of subjective test for predicting cognitive-linguistic decline is controversial. Few domestic studies have included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tests systematically. The current study analyzed 26 studies published since 2000, and the effect sizes of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wo tests were computed.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subjects ranged from 26 to 657. Subjective tests included the self-report 75.4% and the informant-report 24.6%. In objective tests, memory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followed by global cognition, and language, etc. As a result of meta-analysis, self-report test had the predictive value for dementia, and informant-report test contributed to discriminate among 3 groups. In the elderly group, self-report test was correlated with reasoning, and informant-report test with memory and language. In MCIs, self-report test predicted several abilities including language, and informant-report test signaled the future decline of domains like global cognition. Two types of subjective tests in dementia also represented memory, language, and global cognition accurately. This study provides evidence-based information to support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tests for cognitive-linguistic ability in 3 groups.

Analysis of Summative Evaluation Objectives in Middle School Biology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기초한 중학교 생물 영역 총괄 평가 문항의 목표 분석)

  • Kim, Yoon-Hee;Yoon, Ki-Soon;Kwon, Duck-Kee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4 no.1
    • /
    • pp.164-17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objectives infered from questions of summative evaluation by analyzing those objective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1,711 questions of midterm and final examinations collected from 25 middle schools were analyzed to classify objective of each ques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rom the analysis of objectives in the knowledge dimension, the assessment of factual knowledge was most prevailing(67.6%) in the biology summative evaluation.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memory assessment was most dominant(76.1%). Thus, the main objectives of evaluation leaned toward particular classes in the Bloom's revised taxonomy,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on the weights of evaluation areas. Second, the level of the objectives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of middle schoolers, as their cognitive level improves with grade. In fac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ree grades in characteristics of objective taxonomy.

  • PDF

A Study on in Influence on the Memory-Based Judgement and Purchase Intention upon Temporal Distance and Prior Kowledge in Preannouncing Strategy (시간적 거리와 사전지식에 따른 프리어나운싱 전략이 기억에 근거한 판단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 Han, Kwang-Seok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3 no.1
    • /
    • pp.99-118
    • /
    • 2014
  • This study is a product launch strategy Preannouncing companies associated with temporal distance( in the near future/ distant future) and prior knowledge level(high knowledge/ low knowledge), the memory - based judgments(Global product judgment/ Discrete product judgment) and the purchase intention appear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pirical verification of what was discriminatory. The study, first, Preannouncing main effect of temporal distance on judgments rememb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urchase intention and consistent global product judgment is more discrete product judgment were higher awareness, purchase intention is higher. Second, Preannouncing high level of product knowledge in global product judgment showed that compared to discrete product judgment. In addition, low levels of knowledge than a discrete product judgment that global product judgment and purchase intention shown that a high level of consumer knowledge through systematic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road leads to higher purchase attitude. Third, Preannouncing according to the temporal distance and level of knowledge about the interaction effect results in the near future in terms of the high level of knowledge consumers global product judgment was higher than the discrete product judgment. On the other hand, a low level of knowledge of conditions in the distant future, consumers are more discrete product judgment recognized global product judgment showed that high.

  • PDF

A Study on Uniform of ISDN/PSTN Subscriber Telephone Number for the Service Improvement (서비스개선을 위한 ISDN/PSTN 가입자번호 통일화에 관한 연구)

  • 박광채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1 no.2
    • /
    • pp.113-122
    • /
    • 1994
  • In this paper, We analyze and inspect the problem of our country PSTN subscriber telephone number and suggest the ISDN/PSTN subsciber numbering plan in the future. Expecially, when you eastablish plan to change present telephone number system to ISDN telephone number system, public goverment and public office which has many calls have to be given a same number that many people want and being easy rememberance thoughout the country. Therefore we think that it is saving hours and reduce lost calls. As concrete action of convert plan it must be made consistent numbering plan when the numbering reorganization is carried out in Korea before T-time. If a partial is not carried out, it should be given when the telephone number is newly-organized or the big buliding and goverment and public office eastablich RSS individually. At that time chaos will be minimized.

  • PDF

A Study on the North Korean Library on the Base of the Relation Between Library and Society (도서관과 사회의 관계를 통해 보는 북한도서관 연구)

  • Shin, Eun-Jung;Baek, Jin-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4.08a
    • /
    • pp.247-252
    • /
    • 2004
  • 도서관은 ‘인간의 기록지식을 사회적 기억으로서 체계있게 조직하여 제공하는 사회기관’으로, 도서관과 사회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유기적인 관계이다. 세라(Jesse H. Shera, 1903-1982)는 문헌정보학계의 교육자이며 철학자이며 이론가로, 도서관이란 무엇인가를 사회적 측면에서 깊이 연구한 학자이다. 이러한 세라의 도서관과 사회의 유기적 관계를 설명한 사상을 중심으로 북한도서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도서관과 사회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고, 이에 대해 북한사회와 북한도서관이 갖는 관계는 어떠하며 북한만이 갖는 특수성은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북한도서관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JungGanBo Input System (정간보 입력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박주연;허기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435-440
    • /
    • 2001
  • 컴퓨터에 의한 음악의 처리가 점차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여 감에 따라 음악의 신속, 정확한 입력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서양의 음악을 악보화, 악보의 자동 인식에 관한 연구는 1960년대 후반부터 시작하여 지금은 다양한 악보를 인식하고, 악보를 미디로 변환하는 등 여러 부분에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전통음악을 우리 나라 악보인 정간보로 출력하는 시스템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세종 때부터 사용되었던 우리 나라 악보인 정간보에 대해 이해하고 컴퓨터를 통해 정간보를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또한 사용자가 보다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형태로 제공하였다. 제안하는 정간보 이력 에디터 시스템 구현으로 우리 음악을 정간보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정간보 데이터 베이스(Data Base)가 구축이 되면 국악의 신속한 정보 검색이 가능하다. 향후 정간보 시스템이 체계화되면 우리 음악을 서양의 악보화로, 악보를 미디로 등의 변환이 가능하며 음악 애호가들은 약간 기억나는 악절을 기준으로 곡을 작곡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yllabic Processing and Latter Perception in Korean Word Recognition (II) (한글 단어재인에 있어서 글자처리와 낱자의 지각 (II))

  • Kim, Jung-Oh;Kim, Jae-Ka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2.10a
    • /
    • pp.423-433
    • /
    • 1992
  • 낱자 또는 음절들을 매우 짧게 제시하고 차폐로 지운 후 두 낱자 중하나를 선택하는 과제 (Reicher, 1969)를 사용하여 음절 맥락에서 낱자 지각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과 그 배후 지각과정들을 검토하였다. 자모 조합유형이 음절 내 낱자의 정체 파악에 체계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었고, 예상과는 달리 음절 내의 낱자들이 단독으로 제시되는 낱자 보다 잘 파악되지 않는 음절열등효과가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세 실험 결과들을 상호작용활성화 모형과 초보지각자-기억자 모형에 비추어 논의하였다.

  • PDF

개방형 혁신을 수용하는 초연결사회 인프라

  • Gang, Seon-Mu;Kim, Jong-Won;Lee, Jae-H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4
    • /
    • pp.10-19
    • /
    • 2014
  • 미래인터넷 연구가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 8년차에 접어들고 있다. 초기에 미래인터넷의 실체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과 clean-slate로 갈 것인지 evolution을 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된 것으로 기억된다. 현 시점에서 그 때 상황을 되돌아 보면 어떤 생각들이 그나마 유사하게 맞는 것이었는지 알 수 있어 흥미롭기까지 하다. 본고에서는 이런 미래인터넷이 태동해서 논의되었던 필요성들을 사물인터넷 혹은 만물인터넷 중심의 초연결사회의 관점에서 조망해 본 후에, 실제적으로 이런 사회를 대비하여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중요한 인프라요소 및 구축 방향을 모색한다. 이를 ICT 인프라 차원에서 다시 바라보면 최근 구축과 운용의 중심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급속하게 전환되는 큰 변화가 본격화하고 있다. 즉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초연결에 기반한 서비스 실증을 개발/운영 병행체제 (DevOps: Developers & Operators)를 통해 신속하고 실질적으로 가능케하고 산업발전을 지원하는 인프라를 통한 개방형 혁신이 가시화되고 있다. 정리하면 본고에서는 미래인터넷으로 시작된 네트워크 인프라의 변화와 현재 현황을 살펴보고 어떤 방법론과 체계에 의하여 빠르게 발전하는 초연결사회의 요구사항을 수용하면서 서로 협업할 수 있고 경제발전을 견인하는 인프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A Space-Efficient GM with Overlapping Pointers and Data (포인터와 자료를 중복하여 공간 효율을 높인 G-machine)

  • Park, Hong-Yeong;Han, Tae-Suk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8 no.8
    • /
    • pp.593-602
    • /
    • 2001
  • G-Machine은 주어진 표현식을 그래프 축약을 통해석 계산한다. 이러한 축약 과정은 표현식을 그래프로 표현하기 위해 많은 그래프 공간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회 노드 장소에 자료를 중복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G-Machine에서 필요로 하는 그래프 공간을 절약하며, 이를 위한 새로운 추상기계인 poGM(Pointer Overlapped GM)을 제안한다. poGM에서는 필요한 곳에만 상대 주소를 사용하여, 그래프 내부 노드와 단말 노드 모두에서 그래프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기억 장소 재활용 체계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의 결과벤치마크 프로그램에서 GM보다 총합 사용량은 평균32%, 최소합은 평균 47.6% 적게 사용하였으며, 수행 시간은 평균 30% 빠르게 수행되었다.

  • PDF

組織体における知蕙と経驗の伝承 - デジタル化時代における我が國の記錄管理實態と今後の課題 -

  • 호판 용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2 no.2
    • /
    • pp.192-204
    • /
    • 2002
  • 정보기술혁명에 의해 대량의 정보와 지식이 다양한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지금, 기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창조하고, 인류 기억의 보고의 풍부한 전승을 꾀하여, 이것에 의해 사회의 진보와 발전에 공헌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디지털 시대에 기록관리의 역할이 광범위하게 논의되어야 하며, 다면적으로 검토, 연구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이 필름 전자매체에 관계없이, 기록관리시스템을 도입하고 장기에 걸쳐 유지관리하지 않으면 아니 되었다. 지금까지는 민간기업이나 각 관청에서 일시적으로 기록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하였으나, 대부분 일시적으로 활용하였을뿐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시행하여 온 기관이 적은 실정이다. 앞으로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기록관리시스템의 구축과 유지가 더욱 더 필요한 것이다. 또한 기록관리에 대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본 한국 중국 등 극동아시아지역에 있어서의 기록관리학회가 긴밀한 협력관계에 구축하고, 기록관리의 보급과 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목표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