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액 평형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9초

n.Dodecane-1.Decanol-1.Dodecanol 삼성분계 및 각 이성분계의 15 mbar 정합 기액평형 (Isobaric vapor-liquid equilibria for ternary and each corresponding binaries of the system n.Dodecane-1.Decanol-1.Dodecanol at 15 mbar)

  • 박소진;이태종
    • 에너지공학
    • /
    • 제2권3호
    • /
    • pp.308-314
    • /
    • 1993
  • 15mbar 정합하에서 n.dodecane-1.decanol-1.dodecanol 혼합물의 삼성분계 및 각 이성분계의 기액평형 데이타와 비점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기액평형 데이타는 g$^{E}$ 모델식 인 Margules, van Laar, Wilson, NRTL, UNIQA 식에 의해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성분계 데이타는 Redlich-Kister의 적분법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삼성분계 데이터 역시 McDermott-Ellis에 의한 two-point consistency test에 의해 질적으로 검토되었다. 이성분계의 기액평형 데이타 중에 n.dodecane-1.decanol계 만이 공비점을 보였다.

  • PDF

공기/구름의 상호작용에서 물질전달 한계속도의 중요성 (Importance of finite rate inter-phase mass transfer in gas/cloud interaction)

  • 임종포;조석연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3-84
    • /
    • 2001
  • 액적화학은 SO4$^{-2}$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OH와 HO$_2$ 라디칼 생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존 기상 광화학반응에 액적화학을 추가하여 산성비 모사를 하여왔다. 그러나 액적화학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기액간의 물질전달을 포함하여야 하고 액적화학반응속도와 기상화학반응속도가 크게 다름으로써 수치적 풀이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는 기액간의 평형 및 시간 분리 등의 가정을 사용하여 액적화학 반응 추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여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수치단순화의 정확도를 평가하려 한다. (중략)

  • PDF

PRSV 상태방정식을 이용한 고분자 수용액 계의 기액 평형 (Vapor-Liquid Equilibria in Aqueous Polymer Solutions using a PRSV Equation of State)

  • 임영민;김미경;김기창
    • 산업기술연구
    • /
    • 제22권A호
    • /
    • pp.241-248
    • /
    • 2002
  • In this work, we calculated the vapor-liquid equilibrium of aqueous polymer solutions by using PRSV equation of state combined with $G^{ex}$ mixing rules(HVO, MHVL, MHV2, LCVM). From the comparison of calculated results with experimental data obtained from literature, we found that calculation results by using MHV1 mixing rule have showed small range of error than HVO, MHV2 and LCVM mixing rules. Calculation results by using the combination of MHV1 mixing rule and UNIFAC-FV model have showed the best result for selected aqueous polymer solutions.

  • PDF

Head Space Analysis에 의한 n-Dodecane-1-Decanol, n-Dodecane-1- Dodecanol과 1-Decanol-1-Dodecanol계의 등온 기액 평형 (Isothermal vapor-liquid equilibria of n-Dodecane-1-Decanol, n-Dodecane-1 -Dodecanol and 1-Decanol-1-Dodecanol systems by Head Space Analysis)

  • 박소진;강용;이태종;최명재;이규완
    • 에너지공학
    • /
    • 제2권2호
    • /
    • pp.225-230
    • /
    • 1993
  • n-dodecane-1-decanol, n-dodecane-1-dodecanol 및 1-decanol-1-dodecanol계 의 14$0^{\circ}C$ 등온 기액평형 데이타를 static method로써 Head Space Gas Chromatography (H.S.G.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액상의 비이상성을 고려하여 계산된 활동도계수는 Margules, Van Laar, Wilson, NRTL g$^{E}$ 모델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구하였으며, Redlich-Kister의 열역학적 일치성 시험을 통해 데이타의 신빙성을 확인하였다. 측정한 이성분계중 n-dodecane-1-decanol계는 최소 공비점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Head Space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한 MTBE-Methanol, MTBE-n-Heptane, n-Heptane-Methanol계의 기액평형 (Vapor-Liquid Equilibria for the Systems of MTBE-Methanol, MTBE-n-Heptane, n-Heptane-Methanol by Using Head Space Gas Chromatography)

  • 이주동;이태종;박소진
    • 공업화학
    • /
    • 제5권4호
    • /
    • pp.706-713
    • /
    • 1994
  • $45^{\circ}C$$65^{\circ}C$의 등온하에서 MTBE-methanol, MTBE-n-heptane, methanol-n-heptane 각 이성분계에 대한 등온 기액 평형 데이타를 head space gas chromatography(H.S.G.C.)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이들중에 MTBE-methanol계와 methanol-n-heptane계에서 최소공비점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methanol-n-heptane계에서는 불용영역의 존재로 인한 불균일 최소공비점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실험 데이타들은 과잉 Gibbs 에너지 모델에 합치시켜서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Redlich-Kister의 적분법에 의한 열역학적 일치성 시험도 수행하였다.

  • PDF

기액계면의 경계층 두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undary Layer Thickness at a Liquid-Vapor Interface)

  • 최순호;송치성;최현규;이정혜;김경근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86-1091
    • /
    • 2004
  • The boundary layer is a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 of a liquid-vapor interface since it governs the heat and mass transfer phenomena across an interface. However, the thickness of a boundary layer is generally micro- or nano-sized, which requires highly accurate measurement devices and, consequently, costs the related experiments very high and time-consuming. Due to these size dependent limitations, the experiments related with a nano-scaled size have suffered from the errors and the reliability of the obtained data. This study is perform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a liquid-vapor interface, by using a molecular dynamics method.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other studies if possible. Although other studies reported that there existed a temperature discontinuity over an interface when the system was reduced to micro- or nano-sized, we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uch a temperature discontinuity.

  • PDF

수정된 Carnahan-Starling 상태방정식을 이용한 혼합냉매의 물성계산 (Estimation of Thermodynamic Properties of Refrigerant Mixtures Using a Modified Carnaha-Starling Equation of State)

  • 김민수;김동섭;노승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2189-2205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혼합냉매의 열역학적 물성치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하여 척력 과 인력항으로 된 간단한 형태의 상태방정식을 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순수성분에 대한 열역학적 물성치 자료와 혼합냉매에 대한 기액평형상태 자료를 이용하여 혼합물에 대 한 열역학적 물성치를 보다 더욱 정확하게 예측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혼합냉매에 대한 상태방정식과 이상기체 상태의 비열자료를 기초로 열역학적 관계식을 이용하여, 압력-엔탈피, 온도-엔트로피 관계를 공식화하며, 혼합냉매에 대한 열펌프 및 냉동사이클 해석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한다.

혼합냉매의 열역학적 물성치 추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Theromodynamic Properties for the Non-Azeotropic Refrigerant Mixtures)

  • 김민수;김동섭;노승탁;김욱중;윤재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337-1348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Peng-Robinson 상태 방정식을 기본으로 하여 먼저 단일 성분의 냉매에 대한 열역학적 물성치를 구한 뒤 그 정확도를 검증하고, 동일한 형태의 상태식 과 적절한 혼합 법칙을 통해 혼합냉매의 기액 평형 상태와 냉동 및 열펌프 사이클 해 석에 필요한 엔탈피와 엔트로피 등의 열역학적 물성치를 추산하고자 한다.단일 성 분의 냉매로서는 R13B1, R22, R12, R152a, R114를 택하였고, 혼합냉매로서는 앞의 단 일성분 냉매를 혼합한 것 중에서 그 기초적인 실험 자료가 아미 알려진 R13B1/R114, R22/R114, R12/R114 R152a/R114, R13B1/R152a 및 R13B1/R12를 택하였다. 이는 추후 상이한 냉매를 단일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대응상태의 원리를 사용한 열물성 계산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정온하에서 Ethanol/3-methyl-1-butanol계의 기-액평형치 추산 (The Prediction of Vapor-Liquid Equilibrium Data for Ethanol/3-methyl-1-butanol System at Constant Temperature)

  • 이준만;박영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055-2061
    • /
    • 2013
  • 청정대체 에너지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바이오 에탄올의 경제적 생산은 고유가 시대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분리공정에서 성공적인 정류탑의 설계에는 정확한 기-액 평형치가 이용된다. 2성분 Ethanol/3-methyl-1-butanol 계에 대하여 정온하 즉 50, 55, 60, 65, 70, 75 및 $80^{\circ}C$에서 2성분 기-액평형측정치를 측정하고, 그 측정치를 이용하여 기액평형치를 추산하는 추산식을 이끌어 내었다. 측정치와 추산치를 비교 검토한 결과 ${\pm}0.0005$, ${\pm}0.0022$의 범위 내에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Glycerol-물 계에 대한 등압 기액평형의 측정과 상관관계 (Measurements and Correlations of Isobaric Vapor-Liquid Equilibrium for Glycerol-Water Systems)

  • 노선균;강춘형
    • 공업화학
    • /
    • 제8권6호
    • /
    • pp.893-900
    • /
    • 1997
  • 기상 재순환 평형조를 사용하여 대기압 이하의 여러 압력에서 glycerol-물 계에 대한 기-액 평형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고려한 이성분계는 비등점 차이가 매우 큰 성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비등점의 차이가 큰 혼합물의 경우, 순수한 성분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물리적 특성은 실제 혼합물의 특성과는 매우 다르므로 정확한 혼합물의 특성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비등점이 높은 성분의 액상농도가 증가하면 혼합물의 비등점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실제공정의 효율적 운전을 위해서는 비이상성 혼합물의 상평형에 관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측정한 기-액 평형 데이터는 UNIQUAC 모델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상관관계 시킬 수 있었다. 또한, 데이터의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열역학적 건전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