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하부구조정책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 Analysis of Statistical Indicators on the Infrastruc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in Korea (과학기술문화 하부구조에 관한 통계지표 분석)

  • Song, Sung-Soo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6 no.2 s.12
    • /
    • pp.185-205
    • /
    • 2006
  • This article analyzes statistical indicators on the infrastructure of S&T culture in Korea. In the case of visible infrastructure, science museums, S&T programs in TV, and S&T books are not sufficiently secured except for internet. The utilization of visible infrastructure tends to be increased but in rudimentary stage. In relation to invisible infrastructure, public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T is underdeveloped, social status of S&T personnel is low compared to social importance, and participation in S&T policy of S&T personnel and citizens organization is limited. For the development of statistical indicators in S&T culture, personal, institutional, and social contexts should be much considered, surveys on the particular social groups are systematically pursued, and a white paper on the S&T culture in Korea needs to be published.

  • PDF

과학기술 혁신의 지름길은 하부구조 구축 ㆍ학제간 연구로

  • Park, Jong-S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5 s.312
    • /
    • pp.10-11
    • /
    • 1995
  • 세계화 시대 ,무한경쟁의 격랑을 헤쳐 나가려면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시스템을 효율화하고 우리의 자원과 역량을 국가경쟁력 확보에 전략적으로 투입할수 있는 과학기술정책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 PDF

CALS 구현 정책 방향

  • Kim, Cheol-Hwan
    • 정보화사회
    • /
    • s.103
    • /
    • pp.34-41
    • /
    • 1996
  • CALS 추진의 주요 목표는 수동적이고, 서류중심인 정보를 국제 공통표준으로 디지털화시켜 통합적이고 자동화된 기술정보 공유 및 전송과정의 전환이며, 이와 같이 자동화되고 통합된 모습은 통합 데이터베이스(IDB)가 될 것이다. 이러한 CALS추진에 대한 구조적인 접근은 하부구조 현대화, 업무과정 혁신, 디지털 자료 획득, 그리고 기업통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CALS 전략의 실행은 산업활동의 전 순기를 통하여 크게 하부구조 현대화, 업무과정 혁신, 디지털자료획득, 기업통합 등 4가지 요소들을 설명함으로써 가능하다.

  • PDF

The R&D paradigm for the Materials Technologies involving Environmental (한국의 생명공학 기술과 산업)

  • 현병환;조성복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 no.1
    • /
    • pp.135-151
    • /
    • 1999
  • 생명공학기술(biotechnology)은 보건·의료, 농업, 환경, 자원분야에서의 급격한 산업적 응용에 따라 21세기에는 세계경제에 막대한 파급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구조가 점점 고도화되어 한 국가의 기술능력이 산업경쟁력의 확보를 위해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미래첨단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생명공학기술에서의 성공여부는 앞으로 다가올 21세기의 국가 경쟁력 결정에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인식하에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과 전망을 살펴본 뒤 선진국의 생명공학기술 산업화 동향을 진단하고, 우리나라 생명공학산업 현황과 정부의 지원 정책을 조망한 뒤 생명공학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생명공학기술은 정부의 주도하에 산업계의 연구투자비 및 연구인력의 꾸준한 증대와 아울러 생명공학 제품도 수적으로나 판매규모면에서 큰 증가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우리나라 생명공학기술에 대한 연구는 선진국에 뒤져있기 때문에 기초연구의 역량이 부족하고, 산업계의 과감한 기술개발 투자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또한 기술개발과 상업화를 위한 기술하부구조의 구축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WTO체제의 출범에 따른 지적재산권 보호의 압력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설상가상으로 IMF체제까지 당하여 기업의 연구개발 능력은 매우 심각한 위기에 봉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명공학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인식하에 정부의 생명공학산업 활성화를 지원정책으로 연구자금, 시설 등 직접적인 지원정책 중심의 한계적 시각에서 벗어나 기업을 비롯한 기술혁신 주체간 상호작용과 기술혁신 환경조성을 위한 간접적 지원중심의 정책전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생명공학 기술혁신시스템을 재정비하기 위한 중점 개선방안으로 연구개발 투자의 확대, 기초연구 역량의 강화, 벤쳐기업형 생명공학기업의 육성, 기술하부구조의 구축, 산업계·학계·연구소간 연계·교류 시스템의 강화를 제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