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술판매

검색결과 1,145건 처리시간 0.038초

6 시그마를 활용한 PC 상가우수점 노트PC 판매비중 개선 사례 (A Improvement Case of Notebook PC Sale in PC Store Using Six Sigma)

  • 하승수;안영수;황인극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65-368
    • /
    • 2008
  • 일반적으로 6 시그마 적용사례는 제조분야 중심으로 연구 발표되는 경우가 많고, 판매나 마케팅 분야의 적용사례는 찾기 힘들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S전자의 전문상가에서 판매되는 노트북의 판매비중을 높이기 위해 6 시그마를 적용하여 노트북의 판매비중을 높이기 위해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 PDF

RFID ODS 연동 e-Commerce 자동화 모델 (An Automated e-Commerce model based on RFID ODS)

  • 김태상;이긍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19-522
    • /
    • 2007
  • 최근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웹을 통한 전자상거래가 점차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웹 기반전자상거래를 위한 문서교환의 표준화 연구는 여러 기업의 참여 하에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나 아직까지 전자상거래의 일부 절차는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가장 활발한 전자상거래형태인 오픈마켓을 통한 중계판매에서 상품제조업체, 판매업체, 오픈마켓(중계판매업체) 간의 전자적 상품정보(e-Catalogue)교환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런 이유로 오픈마켓을 통한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업체는 상품정보를 직접 수집하거나 가공하여 이를 오픈마켓에 등록한다. 실제로 이러한 상품정보 교환 과정에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비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RFID ODS 기술과 ebXML 기술을 활용하여 상품제조업체와 판매업체, 판매업체와 오픈마켓 간의 상품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

  • PDF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한 재활용 분리기 (Recycling Separator Using Image Processing Technology)

  • 장준범;김동진;박산희;조다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28-231
    • /
    • 2020
  • 본 논문은 기존의 분리수거 시스템에서 판매가 가능한 재활용을 편리하게 판매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재활용 분리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게/카메라/모터 센서 등을 통해 재활용 분리기를 제어하고 라즈베리 파이와 서버 간 통신을 통해 알맞은 금액을 산출하여 현금으로 반환해준다. 둘째, 사용자가 판매하려는 재활용을 특정 물건으로 딥러닝 시키고, 해당 물건의 평균 추정 무게를 구축하여, 재활용의 인식 오류를 줄인다. 제안된 시스템은 IoT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현대 사회에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전연령층을 대상으로 재활용품 분리 및 판매의 수고로움과 번거로움을 줄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동차 대리점 영업사원의 개인역량이 자동차 판매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김미회;배병윤;전기석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9-92
    • /
    • 2018
  • 영업사원들은 자동차산업에서 유통시스템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자동차라는 상품의 특성상 고객들은 구매의사 결정과정에 있어 높은 수준의 정보와 지원을 요구한다. 영업사원들은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결정과정을 돕는다. 따라서 자동차 영업사원의 개인적 역량은 자동차 판매 성과를 높이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자동차 영업사원의 개인역량과 판매성과 사이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역량을 1) 판매기술 전문성 2) 영업사원의 태도 및 고객과의 관계형성 3) 감성활용 4) 감성조절 네 가지의 독립변수로 구분하여 종속변수인 판매성과와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와 문헌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였으며 경기도와 강원지역의 자동차 대리점에 근무하는 영업사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부된 유효 설문지 268부는 통계 프로그램 SPSS WIN24.0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자동차 영업사원의 개인역량의 요인으로 판매기술 전문성과 감성활용은 영업사원의 판매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태도 및 관계형성과 감정조절이 판매성과에 정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개인역량은 영업사원을 채용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 PDF

소프트웨어 온라인 판매 기술 연구 (A Study on Software On-line Sells)

  • 윤우성;김태윤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419-422
    • /
    • 2000
  •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의 구매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현재 전자 상거래에 이용되는 대부분의 상품은 하드웨어가 주를 이루고 있다. 소프트웨어의 온라인 판매는 물류비용이 없고 수익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불법 복제 문제 때문에 현재 전자 상거래에서는 기피상품으로 취급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권 관리 기술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의 불법 복제를 막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 온라인 판매 기술을 소개한다.

  • PDF

정보의 제공은 판매자에게 도움이 되는가? 전자상거래에서의 판매 보조 도구 효과성 실증 분석

  • 박재상;유병준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3-146
    • /
    • 2021
  • 전자상거래는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기술적 발달과 함께 COVID-19로 촉발된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다시 한번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소상공인들을 비롯한 판매자들은 전자상거래에 참여하여 판매를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오프라인 상거래와는 달리, 온라인에서의 판매는 디지털 데이터를 비롯하여 정보통신(IT)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용이한 특징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판매자를 돕기 위해 개발된 판매 보조 도구가 실제로 온라인에서 판매자들의 실적을 돕는지 알아보고, 이에 따라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사는 판매자의 판매를 어떤 방식으로 도와 성공적으로 플랫폼을 운영할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적인 경제 효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에서 판매자에게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도구들이 제공되어 이를 사용할 경우에 판매액(매출)를 비롯한 다양한 성과 측정 척도에서 유의미한 개선이 이루어지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엄밀한 분석을 위해 성향점수매칭법과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판매자들의 데이터를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 전자상거래 판매자에게도 유효한지 실증적으로 알아보고, 나아가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사에게도 경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이미지 기반의 특징점 정보를 이용한 제품 검색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t Search Service using Feature Point Information based on Image)

  • 김석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0-26
    • /
    • 2019
  • ICT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 보급의 활성화로 온라인 마켓을 통해 다양한 제품을 구매하는 구매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보관 및 배송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보관기관이 짧은 식자재의 경우도 온라인을 통해 구매가 가능함으로써 오프라인 판매만을 수행하는 상가의 경우 매출이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오프라인 판매만 수행이 가능한 소규모 상가에서 전문적인 판매 지식 및 판매망이 없어도 구매 서비스를 통해 광고 효과 및 주문, 배달이 가능한 통합 솔루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에 대한 이미지 검색을 통해 효율적으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등록된 제품 판매처가 추가적인 광고가 없어도 효율적으로 판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