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지식

Search Result 6,26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echnological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in Large-Scale Facility-Intensive Steelworks

  • Jung, Kyung-Hee;Lee, Sang-Kyu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6 no.3
    • /
    • pp.358-37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일관제철 공정의 철강산업과 같은 대규모 기계설비 집약적 산업 환경에 적합한 기술지식 경영시스템에 대해 고려하고자 한다.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철강업체의 전략적 기술경영은 핵심기술에 대한 지식경영 활동과 연계될 때 비로소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철강업체의 지식경영은 암묵적 혹은 형식적 제철공정 기술지식의 창출, 획득 및 공유 등의 활동을 통해 활성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철강산업 현장의 기술지식 관리대상으로 조업설비 프로세스 및 무형 지식자산의 범위를 정의하고, 일관제철 공정의 핵심기술 로드맵에 따라 기술지식 경영활동에 적합한 계층적 지식경영 조직구조를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제철공정 노하우 등과 같이 암묵적 기술지식을 획득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기술지식 획득 방법론을 수립하고 이를 기초로 인터넷에 기반을 둔 제철공정 기술지식 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PDF

과학기술 지식흐름 연계 네트워크 분석

  • Park, Hyeon-U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205-230
    • /
    • 2009
  • 기술지식으로서의 특허가 과학지식으로서의 과학논문을 많이 인용하면 할수록 과학지식과 기술지식의 상호작용이 많다고 해석할 수 있고, 또한 인용까지의 평균시차가 짧으면 짧을수록 과학지식과 기술지식의 확산속도가 그만큼 빠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과학논문과 특허를 대상으로 과학집약도가 높은 기술분야, 여러 학문분야를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는 기술분야, 그리고 여러 기술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학문분야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특허가 다른 특허에 인용되는 관계를 통해 피인용특허의 기술분야와 인용특허의 산업분야에 대한 연계 매트릭스를 구성함으로써 기술지식이 파급 연계되는 산업분야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과학기술 지식의 연계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어떤 유형의 지식이 기술혁신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지, 어떤 기술 분야가 과학적 지식을 가장 역동적으로 활용하는지, 그리고 산업계의 요구와 가장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학문분야는 어떤 분야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Technological Capability in the R&D Institutes (연구개발조직의 지식경영활동이 기술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Bong, Sun-Hark;Lee, Sa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71-176
    • /
    • 2004
  • 지식경영 관점에서 볼 때 기업의 기술혁신활동은 지식창출의 비중이 가장 높은 기업활동이며, 서로 다른 영역의 지식 통합이 중요한 지식경영 활동이다. 따라서 연구개발조직의 기술혁신 활동은 지식 경영 이론을 통하여, 잘 설명될 수 있는 분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여 기술혁신과정의 지식경영활동이 기술능력 축적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기존문헌의 분석을 바탕으로 기술혁신과정에서 발생하는 5가지 지식경영활동과 지식경영활동의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이후 지식경영활동과 기술능력의 향상 정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식공유, 지식활용, 결과성찰 세 가지 지식경영활동이 기술능력 증가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결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Technological Regime, Knowledge Spillover and Innovation (산업의 기술체제 특성이 지식전파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 Hong, Jang-Py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8 no.2
    • /
    • pp.147-174
    • /
    • 2010
  • This paper aims to analysis sectoral innovation patter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Sectoral innovation system approach proposed that the specific pattern of innovative activity and knowledge spillover in an industry can be explained as the outcome of different technological regimes. Technological regime is defined by the particular combination of technological opportunities, appropriability of innovations, cumulativeness of technical advances and properties of the knowledge base. Based on a sample of 2,882 firms in manufacturing sector,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estimat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firm's product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Results of the analysis provide considerable support to the hypothesis that firm's product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are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underlying technological regime. In the industry based on the tacit and specific knowledge, firm's product innov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This paper also shows that high stability in the ranking of innovators are related to high degrees of cumulativeness and appropriability.

  • PDF

포털의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기대한다!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10 s.161
    • /
    • pp.102-117
    • /
    • 2006
  • 지식정보화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지식과 정보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으며 IT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지식의 기술 기반화, 정보 환경화를 가져왔다. 인터넷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필요한 정보들은 지식 검색서비스를 이용해 찾는 것이 일상화 되었다. 이에 검색기술환경의 변화에 따른 지식검색서비스의 등장과 일상화 추세를 통해 지식의 개념과 특징, 지식검색서비스의 체계를 살펴보는 것은 지식 정보화 사회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arch on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Performance (정보탐색이 신제품개발 과정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 Shim, Duksup;Ha, Seongwook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1 no.4
    • /
    • pp.109-127
    • /
    • 2020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arch on new product development (NPD) process and performance with a sample of 82 NPD projects in 5 firms. The information search is consisted of general sources, internal sources, and external sources. The performance is consisted of technological and market performance. Findings show that information search from internal sources increases the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NPD team, and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increases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The technological and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increases its technical performance respectively. Only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increases its market performance. Overall, the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NPD team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internal sources and its technical performance.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and its technical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and its market performance. There is no other significant mediation relationships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es and the performance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한국제조업의 산업간 기술지식구조와 흐름에 대한 분석 : 특허자료를 활용한 클러스터분석을 중심으로

  • Yun, Byeong-Un;Lee, Uk;Park, Jong-Yong;Park, Yong-Tae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2a
    • /
    • pp.178-201
    • /
    • 2004
  • 경제의 패러다임이 지식의 확산과 공유가 경제 성장의 주요한 요소로 대두되는 지식기반경제로 변화하게 되고, 융합 기술(fusion technology)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학제간(inter-disciplinary) 연구나 기술개발이 활발해지면서, 각 산업이 타산업과 맺고 있는 특정한 연계구조에 대한 분석은 정부의 기술정책이나 기업의 기술전략 수립에 필수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산업간 지식흐름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은 산업간 협력(collaboration)의 형태나 파급효과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기술 혁신을 촉진하기위한 혁신 클러스터(innovative cluster) 형성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집약적 장비에 체화된 유형자원의 간접적 지식 확산이 아닌, 특허 인용의 명백한 지식 흐름을 활용하여 한국 제조업의 지식 흐름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클러스터를 나누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특허 인용 정보가 존재하는 미국특허청(USPTO)의 자료를 이용하며, 여기에서 도출된 한국 특허의 인용관계를 통해 한국 제조업의 네트워크 및 클러스터를 생성하였다. 즉, 특허 분류를 산업 분류에 매칭(matching)시킴으로써, 특허의 인용관계를 각 특허가 속한 산업간의 지식흐름으로 변환하여 산업간 연계 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 산업의 지식 클러스터를 생성함으로써 클러스터간 지식 흐름을 분석하고, 각 클러스터의 기술적 특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산업의 지식흐름을 미국특허청에 출원된 한국 특허를 활용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제기될 수 있는 해외 기술 시장으로의 전략적 차원의 출원에 의한 자료의 편중성문제와 지식흐름의 절대량이 아닌 상대량을 통해 클러스터링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자료 활용의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비체화 지식의 흐름을 특허인용관계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클러스터를 나누어 산업간 연계구조와 기간에 따른 변화 양상을 조명하며, 각 클러스터의 특성을 다양한 지표(indicators)로부터 설명했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술혁신을 위한 국가 차원의 산업정책이나 기술개발과 관련한 기업의 기술전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mpariso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지식경영시스템의 비교)

  • 차용출;최재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905-912
    • /
    • 1998
  • 최근 급속하게 기업 또는 다른 조직 경영자의 관심을 끄는 지식경영은 그 개념에 대한 바른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소프트웨어 공급자와 컨설턴트에 의해 지식경영시스템의 구현 붐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업은 이미 개발한 정보시스템을 가지고 단순한 형태의 지식경영을 시도할 수있으나 성공적인 지식경영을 위해서는 적합한 요소기술의 통합으로 효과적인 지식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식경영 요소기술의 주된 기능이 무엇이며 어떠한 지식경영을 가능하게 하는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경영시스템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해 지식경영의 인프라스트럭뒤가 되는 지식경영시스템의 주용한 요소기술을 비교·평가한다.

IS 부서 구성원의 직무기술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

  • 장활식;이용탁;서재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337-356
    • /
    • 1997
  • IS 구성원의 직무수행에 요구되어 지는 지식이나 기술의 유형을 크게 기술적 지식/ 기술과 기업업무 지식/기술, 그리고 시스템 지식/기술로 대별될 수 있다. 이를 세분화하면 기술적 기술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기업업무 기술은 업무과정, 관리적, 사회적 기술로, 시스템 기술은 문제 해결과 개발방법의 하위 차원으로 유형화 할 수 있다. IS 구성원의 직 무 지식/기술은 직무만족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구성원이 지각하는 직무만족의 정도에 따라 조직몰입에는 정의 관련성을, 그리고 이직의도와는 부의 관련성을 가지게 된 다. 이는 IS 부서의 성과제고를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 PDF

지식정보분야 국제 표준화 기관의 동향

  • Choe, Yeong-Jin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9
    • /
    • pp.60-65
    • /
    • 2002
  • 지식 정보의 생산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수집 및 생성, 가공, 관리, 검색하는 기술과 지식정보와 지식 정보간의 연동, 지식정보와 이용자간의 유통 등의 지식정보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을 상호 호환할 수 있도록 이에 관한 적절한 지침 및 표준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