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술준비레벨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적외선 검출기 개발가능성 및 대안분석 연구 (A Study on Feasibility Analysis and Alternatives for Infrared Detector Development)

  • 민성기;김철환;김경수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권1호
    • /
    • pp.1-1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analyze development feasibility and alternatives for infrared detector development in both technology and cost. Infrared Detector is core component of Thermal Imaging System and developed by ADD from 2006 10 2008 year. We got raw input data from development and technical expert, and then analyze cost and technology for development feasibility, and alternatives study. Technology level is analyzed by TRL(Technology Readiness Level) and AOA(Analysis of Alternatives) is done by development cost estimate. Estimating the development cost, we use SEER-H that is parametric cost estimating tool based on Knowledge Base. This study can help those who are related to the cost and development feasibility analysis of other weapon systems.

  • PDF

진화하는 모바일 u-health 서비스 플랫폼

  • 한동수;고인영;박성준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21
    • /
    • 2007
  • 최근 휴대전화의 확산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휴대전화를 매개로 한 새로운 u-health서비스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휴대폰을 매개로 한 u-health 서비스가 다양한 만큼 휴대전화 사업자들이 다양한 u-health 서비스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방법 또는 기술을 갖추는 것은 중요하다. 사실 서비스 관점에서는 전혀 다르게 보이는 u-health서비스들도 서비스 구조, 단위 서비스, 데이터 레벨등과 같은 관점에서 바라보면 많은 부분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발해나가는 것 보다는 각각의 서비스들에 공통되는 특징들을 모아서 공유하고 재사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플랫폼을 준비하고 준비된 플랫폼 상에서 u-health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u-health 서비스 개발을 위해 필요한 공통적인 핵심 기능들과 도구들을 제공하는 u-health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한다. 서비스 플랫폼의 주된 구성요소들은 u-health 온톨로지와 데이터 구조, 그리고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BPMS)에 기반 한 서비스 통합 프레임워크 등을 포함한다. 제안한 플랫폼은 u-health 서비스들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공통되는 특징들과 서비스들을 등록하고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안된 플랫폼의 원형을 구현한 결과, 제안하는 플랫폼은 서비스의 유연성, 접근성, 진화성, 재사용성, 적응성, 상호운용성에 장점이 있으며 u-health서비스 개발을 위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자격인정 및 인증 (Nondestructive Testing Qualification and Certification of Personnel)

  • 박익근;박은수;장홍근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0-313
    • /
    • 1999
  • 비파괴검사 기술의 레벨 향상과 안정화를 통한 시간적 재현성이 있는 비파괴검사 결과의 확보를 위해서는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자격 인정 및 인증(nondestructive testing qualification and certification of personnel)제도의 확립이 매우 중요하다. 비파괴검사 결과에 대한 유효성은 비파괴검사을 실시하는 사람의 능력이나 비파괴검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는 사람의 능력에 크게 의존한다. 1974년부터 원자력 선진국들이 중심이 되어 수행된 PISC 프로그램(program for inspection of steel components) 및 EPRI 등에서는 순회시험 (piping inspection round-robin: PIRR trial) 결과 기존 비파괴검사 방법은 모의 시험편에 있는 상당히 큰 결함도 탐지하지 못하거나 정확한 결함크기를 측정하는데 실패한 경우가 있으며, 검사자의 기량 또는 신체조건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국제표준화기구(ISO)의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기량인정 및 인증에 대한 국제규격안 DIS(draft international standard) 9712에서는 비파괴검사를 기획 실시 감독 감시 평가를 하기 위한 적절한 이론적 및 실무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기술자의 능력을 평가하고, 문서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에 의한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기량인정 및 인증에 대한 국제통합을 추진하는 동기는 제 3자에 의한 체계적인 인증시스템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나라와 새로운 NDT 방법에 대해서 인증제도를 적용할 때 세계적인 공통성을 갖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현재, 우리나라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기술자격 인증제도는 국가기술자격법에 의거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여 기술사,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의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자격과 인증에 대한 국제 통합화(안)[2]이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고 일본을 비롯한 많은 나라가 국제규격을 기초로 한 새로운 인증제도를 발족시켜 거의 시행 단계에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한국비파괴검사학회(KSNT)에서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자격인정 및 인증제도의 개선방향이 제시된 바 있고 [3], 표준화위원회에서 나름대로 준비를 하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실천단계에와 있지 못하다. 본 고에서는 최근 대폭수정 보완된 ISO/DIS 9712 국제규격(안)을 회원들에게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향후 대응방안에 관한 회원 여러분의 의견 수렴에 도움을 주고자 ISO/DIS 9712(1997)를 번역하여 제공한다.

  • PDF

쇼 학습시 병코돌고래 명음의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 (The Waveform and Spectrum analysis of Tursiops truncatus (Bottlenose Dolphin) Sonar Signals on the Show at the Aquarium)

  • 윤분도;신형일;이장욱;황두진;박태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2호
    • /
    • pp.117-125
    • /
    • 2000
  • 돌고래의 명음과 행동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1998년 12월∼1999년 2월 사이에 제주도 중문관광단지 내 퍼시픽랜드에서 사육중인 병코돌고래의 쇼 학습시 발생한 명음과 조련사의 휘슬음의 파형과 주파수 특성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쇼 시작 전 인사할 때와 준비운동을 할 때의 펄스폭은 각각 3.0ms, 5.0ms, 중심 주파수는 각각 4.54kHz, 5.24kHz, 스펙트럼 라벨은 각각 125.6dB, 127.0dB였다. 노래를 부를 때 중심 주파수는 3.28∼5.78kHz, 스펙트럼 레벨은 137.0∼142.dB였으며, 링돌리기를 할 때, 공놀이를 할 때, 점프를 할 때의 펄스 폭은 각각 7.0ms, 9.0ms, 2.0ms, 중심 주파수는 각각 2.54kHz, 2.78kHz, :1.50kHz, 스펙트럼 레벨은 각각 135.9dB, 135.2dB, 126.BdB였다. 쇼 종료시 인사할 때의 중심주파수는 5.84kHz, 스펙트럼 레벨은 122.5dB였고, 수중에서 유영할 때 명음의 중심주파수는 10.10kHz, 스펙트럼 레벨은 126.8dB였다. 병코돌고래는 각각의 행동시 마다 각각의 다른 펄스폭과 주파수를 사용하였는데 , 평 균 3kHz와 5kHz 2종의 저주파를 교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조련사 휘슬음의 주파수 대역은 스펙트럼 분석에서 제1고조파가2.5∼5.0kHz, 제 2 고조파가 7.8∼8.2kHz였는데, 이는 병코돌고래가 공기중에서는 3kHz 또는 5kHz, 수중에서는 10kHz의 명음을 발생$.$이용하고 있는 거의 일치하는 현상을 나타내 어 병코돌고래 는 수중과 공기 중에서 조련사의 휘슬음을 이해하고 응답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아울러 조련사의 휘슬음은 쇼 학습시 조련사와 병코돌고래와의 주요 의사소통 수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90.0% 와 96.0%로 높게 나타났다.및 36 cm로 넣고 순환여과식 시설 내에 실험실 규모의 적용실험을 통해 에어레이터의 효율을 조사하였는데 (Exp.2), 실험 수온 27$^{\circ}C$에서, Exp. 1에서와 동일한 3개의 수리학적 부하량에서 산소 전달률을 측정한 결과, Exp. 1에서와 같이 수리학적 부하량과 매질의 깊이의 증가에 따라 산소 전달률이 증가하였으며, 매질의 깊이가 가장 깊은 36 cm에 대해, 수리학적 부하량이 2 $m^3$/$m^2$/min 일때, 2 kg 02 kg $O_2$/kW-hr의 가장 높은 표준에어레이션효율을 나타내었다. 위의 두 실험 결과에 따라 packed column 에어레이터에서 발포스티로폼 입자를 산소전달 매질로 이용하여 산소 전달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 Cu, Y, Nb, La, Nd, Pb, Th in excess of 10 ppm. Relatively high amount of most trace elements were detected in the Hwangto. The major and minor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Hwangto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host rocks. However, their difference was in the similar range compared with the compositions of host rocks. electron acceptor triggers sensory transduction processes in B. japonicum.t the Christian rejection of the ancestor worship

  • PDF

시스템공학 및 프로젝트관리 통합프로세스의 조직 내재화를 위한 성숙도 모델에 관한 연구 (On a Maturity Model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ntegrated SE&PM Process at Organization Level)

  • 최영길;이재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25-732
    • /
    • 2016
  • 대형 복합 시스템의 개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조직에서는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를 채택하여 시스템공학(SE;Systems Engineering) 및 프로젝트관리(PM;Project Management)의 프로세스 개선과 조직 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많은 조직에서 CMMI 레벨3 인증 획득 후에 SE&PM(Systems Engineering & Project Management) 프렉티스(Practices) 그 자체의 수행에만 집중하고, 이의 조직 내 내재화에 필요한 지원환경의 구축에는 소홀한 편이다. 결과로, 그러한 조직에서 내재화를 거치지 않은 프로세스 성숙도의 경우 더 이상의 진전 및 유지는 어렵게 된다. 내재화를 달성하기 위한 선행조건으로 조직의 비즈니스에 부응하는 표준 프로세스가 정의되고, 이를 수행하는 조직원의 교육이 적절히 수행되어야 하며, 또한 프로세스 수행 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원도구가 확보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P-P-T(Process-People-Tool) 관점에서 SE&PM 프로세스에 대한 조직 내 내재화를 달성하기 위한 성숙도 모델을 연구하여 제안하였다. 제안된 내재화 성숙도 모델은 CMMI 인증을 준비하고 있거나 또는 이미 인증을 받은 조직에서 SE&PM 프로세스 내재화를 위한 조직차원의 전략과 계획을 수립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