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적 보안성

Search Result 2,24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전통적인 네트워크 해킹 기법과 기술적 대응방안

  • 김태훈;최호성;김성은;김주현
    • Review of KIISC
    • /
    • v.16 no.1
    • /
    • pp.75-79
    • /
    • 2006
  • 하나의 네트워크가 보안적으로 완전해지기 위해서는 외부 네트워크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뿐만 아니라 내부적 사용을 위한 다수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보안 취약점도 최소화 시켜야 한다. PC의 하드웨어적 성능 발전은 개인의 정보처리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순기능도 있는 반면 웜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보안적 문제에 노출되었을 경우전체 네트워크를 마비시킬 수 있는 치명적인 위협요소가 되는 역기능도 있다. 본고는 PC를 대상으로 하는 전통적인 네트워크 해킹기법과 이에 대한 대응 솔루션을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적 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Trends in Trustworthy Communication for the Next-Generation (차세대 신뢰통신 연구동향)

  • Kim, T.H.;Hong, J.H.;Jung, H.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4
    • /
    • pp.129-139
    • /
    • 2015
  • 현재의 인터넷은 40여 년 전에 신뢰할 수 있는 호스트 간의 통신을 기반으로 설계되어 식별성(Identity)과 기밀성(Privacy)등의 보안성에 대한 특별한 요구사항이 없었다. 추후 인터넷이 전 세계적으로 확장함에 따라 신뢰할 수 없는 호스트가 통신에 참여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인터넷의 보안 기술은 키(Key)에 매우 의존적으로 발전하여 현재 모든 인증 관련 기술과 보안 기술들은 공개키 기반 구조(Public Key Infrastructure: PKI)와 같이 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은 미래인터넷의 보안 연구에서도 여전히 반영되어 미국에서 진행 중인 eXpressive Internet Architecture(XIA)나 다른 미래 인터넷 프로젝트에서도 키 기반의 보안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통신을 의심하고 이를 감시하기 위한 기존의 인터넷 보안 기술과 달리 미래인터넷 보안 연구는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에 대한 공격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신뢰통신(Trustworthy communication)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등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차세대 보안연구 분야인 신뢰통신의 연구동향과 성과를 소개하고 장단점을 분석한다. 특히 미래인터넷의 신뢰통신 연구 중 대중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공개키를 이용한 자가인증(Self-certifying)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공개키 검증 시스템 연구 및 신뢰경로 구축 연구를 중심으로 미래인터넷의 신뢰통신 연구가 진행된 과정을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 PDF

개방형 스마트 폰 환경에서 안전한 금융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보안 시스템

  • Kim, Jin Hyung;Kim, Tae Ho
    • Review of KIISC
    • /
    • v.23 no.1
    • /
    • pp.28-34
    • /
    • 2013
  • SNS, Game, Media Play, DMB, 모바일 결제 등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의 장점으로 인해 스마트 폰 이용률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의 스마트 폰 환경에서는 오픈소스로 인하여 더욱 손쉽게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배포가 가능하여 수많은 사용자들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장점의 이면에는 악의적인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배포, 또한 용이하여 보안사고의 위험성도 존재한다. 앞으로도 스마트 폰의 취약점을 이용한 개인정보 유출 및 위 변조 공격들이 더욱 정교해지고 다양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대응할 수 있는 보안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에는 높은 보안을 제공하는 기술 도입이 더욱더 필요하다. 기존에 제안된 방식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있어 악의적인 공격에 대응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높은 보안성으로 주목받는 기술로,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기술이 있지만 아직 하드웨어적인 자원의 부족 등으로 활성화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원 제약이 있는 하드웨어 보안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보다 안전하게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A Design of Security Protocol for Mobile Agent Systems Applying the Identity-based Digital Signature Scheme (ID 기반의 디지털 서명 기술을 적용한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의 보안 프로토콜 설계)

  • 김성열;한승조;배용근;정일용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10A
    • /
    • pp.1706-1716
    • /
    • 2001
  • 이동에이전트 시스템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분산처리 환경과 이동컴퓨팅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지만, 심각한 보안문제를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D 기반의 디지털 다중 서명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의 보안문제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보안 위협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보안 위협은 적절한 보안 기술의 적용으로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여러 사용자가 공동의 메시지를 전자적으로 서명하는 보안 기술인 디지털 다중 서명(Digital Multi-signature)기법과 ID에 기반한 키(key) 분배 기법을 이용하여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의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이동 에이전트 보안 프로토콜은 키 분배 및 관리의 단순화, 인증 절차의 단순화, 에이전트 실행 플랫폼의 인증과 송수신 부인 방지 기능을 제공, 생명성을 보장, 실행 결과 데이터의 기밀성, 무결성의 보장한다. 그리고 에이전트 실해의 전 단계를 매 시스템마다 검증함으로써 변경 또는 삭제시 곧바로 탐지한다.

  • PDF

802.11b 기반의 무선랜 인증 및 보안 기술

  • 박애순;윤미영;김영진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9 no.8
    • /
    • pp.114-127
    • /
    • 2002
  • 무선랜 기술은 사설망 내에서의 무선랜 기술을 기반으로 발전해 왔다. 최근 공중망을 기반으로 무선랜 기술이 발전하면서, IEEE 802.11b(1)에서 이루어지던 인증 및 보안 기술로는 안전성을 만족할 수 없게 되었고, 여기에 사용자의 이동성 보장은 필수사항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지던 무선랜 인증 및 보안기술을 사용자의 이동성 보장을 위한 framework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인증 및 보안기술과, IEEE 802.11b 기반의 무선랜 망에서 필요한 향상된 인증 및 보안기술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기술한다. 802.11b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보안 및 인증 기술을 보다 향상된 사용자 인증, 데이터 기밀성 향상을 위하여 802.1x(2)기반으로 실현하는 인증기술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논문의 전개는 이동성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의 기본적인 인증 메커니즘인 EAP-MD5(3)기반의 challenge/response 메커니즘과, 이동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의 인증을 위한 MIP 인증 메커니즘(4-7)에 대하여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증가 및 서비스 영역의 확대로 요구되는 새로운 framework에 대하여 기술한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안전한 온라인 승인시스템 연구

  • Jin, Seung Man
    • Review of KIISC
    • /
    • v.23 no.1
    • /
    • pp.18-27
    • /
    • 2013
  • 최근 전자상거래 및 전자금융 기술이 크게 발전하면서 관련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편리성 측면의 기술발전이 빠르게 이뤄지는 반면, 안전성측면의 기술발전은 이를 지원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실제, 거래가 증가함에 따라 금융정보 등을 유출하는 등의 보안사고도 증가하고 있음이 이를 반증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보안 솔루션이 제공되었지만 보안 솔루션의 보안기능이 강화될수록 다양한 환경에서의 이용자 편의성이 저하되어 스마트폰 등과 같은 신기술 시장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전자상거래에서 발생되는 보안위협을 살펴보고 발생된 보안위협을 최소화하면서 단말기에 설치된 OS 또는 브라우저에 종속되지 않는 보안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한 보안기술은 이미지를 이용한 인증기술로서 별도의 보안 프로그램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보안기술로 인해 제한되는 서비스가 발생되지 않아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용자는 보다 안전하고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서 전자상거래 및 전자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Vulnerability analysis and Design of RFID Security Protocols (RFID 보안 프로토콜 취약성 분석 및 설계)

  • Oh, Jung-Hyun;Kim, Hyun-Suk;Choi,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497-502
    • /
    • 2006
  • RFID기술은 RF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사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한 기술이다. 하지만 RF라는 매체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환경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때문에 악의적인 공격자에 의해 사물의 의도적으로 노출이 될 수 있는 취약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의 보안적 취약점을 보안하기 위해 RFID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보안 프로토콜의 요구가 높아졌다. RFID 시스템에서 사용될 보안 프로토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비밀성, 익명성 등 반드시 고려해야할 요구사항이 있는데, 기존에 제안되었던 RFID 보안 프로토콜들은 이러한 요구사항들을 모두 완벽하게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RFID 시스템 프로토콜 모델을 제시하고, 정형기법을 사용하여 보안적 문제점들을 확인한 후,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설계한 효율적인 RFID 보안 프로토콜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설계된 보안 프로토콜의 보안성을 정형기법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검증을 실시하였다.

  • PDF

IP 기반의 PPVPN(Provider Provisioned Virtual Private Network) 기술

  • 이승형;윤재우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9 no.8
    • /
    • pp.89-100
    • /
    • 2002
  • 본 고에서는 Peer모델 PPVPN 기술인 BGP/MPLS를 비롯하여, 현재 IETF의 PPVPN WG에서 논의되고 있는 IP기반의 여러 가지 PPVPN 프로토콜들의 기술적 특징 및 장단점을 비교하고, 이들의 연구동향 및 발전방향에 대하여 분석한다. 3계층의 IPSec VPN은 확장성이 부족한 단점을 가지며, 2계층 MPLS VPN의 확장성을 개선한 BGP/MPLS는 보안성 및 범용성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PPVPN 프로토콜의 기술적 특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각 기술들을 융합하거나 기존 기술을 개량하는 등의 다양한 제안 및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VPN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켜 줄 필요성과 네트워크 운용의 효율화를 통한 사업자의 수익증대 측면에서 기존의 IP PPVPN 기술들은 향후에 지속적인 개선과 발전이 예상되며, 이는 본 고에서 논의하는 바와 같이 확장성, 보안성 등의 특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다.

A Study Certification and Accreditation Process of Application Systems (응용체계 보안성 평가.승인 절차에 관한 고찰)

  • 김종기
    • Review of KIISC
    • /
    • v.8 no.4
    • /
    • pp.47-62
    • /
    • 1998
  • 응용체계 보안성 평가. 승인 제도는 정보시스템의 보안성에 대한 품질보증을 위한 핵심적인 수단이다. 응용체계는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지라도 운영환경과 이용목적에 따라 보안 요구사항을 달이함으로 적절한 수준의 보안성을 확보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응용체계의 보안성을 평가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론을 절차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평가. 승인 절차에 있어서 핵심적인 고려사항을 기술하였다.

  • PDF

Formal Modeling for Security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Formal Verification Tool for Safety Property (보안시스템의 정형화설계 및 안전성 검증 도구 개발)

  • ;;;;;Dmitry P. Zegzhd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3.12a
    • /
    • pp.533-537
    • /
    • 2003
  • 보안 시스템의 안전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형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보안 시스템에 대한 이론적인 수학적 모델을 정형적으로 설계하고, 보안 속성을 정확히 기술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 시스템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한 보안모델의 구성요소와 안전성 검증방법을 설명한다. 그리고 보안모델을 설계하고 안전성을 분석하기 위한 SEW(Safety Evaluation Workshop)의 전체 구조와 SPR(Safety Problem Resolver) 정형검증도구의 검증방법 및 기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