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인력

Search Result 3,00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uggestion on Promoting Training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Construction Man Power (정보통신설비 시공인력양성 방안)

  • Lee, Jun-Hyu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Engineering
    • /
    • v.2 no.2
    • /
    • pp.74-84
    • /
    • 2003
  • 21세기 경제주역인 정보통신산업이 계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전문인력 수급이 전제조건이 되어야하고, 2005년까지 정부가 추진하는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사업이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도 정보통신전문인력의 확보가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인력수요가 공급보다 급속히 늘어나는 실정으로 인력부족은 갈수록 심화될 전망이며, 특히, 통신공사업은 현장, 노동집약적 산업특성으로 인하여 3D 업종으로 인식되고 있어 기술인력들의 현장 기피현상의 심화, 통신공사업 관련 기술분야에 대한 전문인력 양성기관의 부족 등으로 안정된 기술인력 확보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에 따른 공사품질저하의 악순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통신공사 관련 기술환경을 보면 기술의 고도화와 신기술의 도입이 빈번하고 그 적용기술이 다양할 뿐 아니라, 기술의 적용주기가 짧아 시장환경에 맞는 인력의 안정적 육성과 공급 및 기존인력들에 대한 신기술 재교육이 그 어느 산업보다도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에 따른 정보통신공사업의 현황과 전망을 분석하고 정보통신설비 시공전문인력의 수요현황을 토대로 정보통신설비 시공인력의 앙성방향 및 과정에 대해서 제시한다.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조기구축과 시공품질향상을 위하여 기간통신망 구축에 소요되는 중급 이상의 다기능기술인력은 기능대학을 통하여 우수한 시공전문인력을 안정적으로 양성하고, 초고속인터넷 개통인력과 구내통신설비 설치인력은 단기적인 기능인력의 재교육을 통한 양성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 PDF

지식산업시대의 여성 과학기술인력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6 s.385
    • /
    • pp.45-69
    • /
    • 2001
  • 여성과학기술인력의 중요성/우리나라 여성 과학기술인력 현황/우리나라 여성 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활용방안/여성 과학기술인력의 특성(뇌과학)/주요 선진국의 여성 과학기술인력 현황/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 PDF

CCPAK리서치-'96 정보통신산업 기술인력수급 실태조사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105
    • /
    • pp.45-58
    • /
    • 1996
  • 다가오는 21세기에 국가의 미래가 달린 정보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보화 관련 기술의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이며, 기술개발은 정보통신 기술인력의 확보에 그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고도로 숙련된 전문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 정보화의 진전에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해마다 교육기관을 통해 정보통신 기술인력이 배출되고 있음에도 기업에서는 인력 확보에 어려움으로 겪고 있는데, 이는 산업 전체의 정보화 욕구 증대에 따른 인력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도 이유가 되겠으나, 그보다는 질적인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데 더 큰 원인이 있으며, 또한 인력 수급의 체계적 관리 부족도 한 원인 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업내에서의 경력별 인력 보유 현황과 교육 기관에서의 인력 배출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 인력 수급에 따른 문제점을 밀도있게 분석하고 향후 체계적인 인력 수급 정책을 마련하는 작업이 시급한 과제라 하겠다. 이에 우리 협회에서는 향후 정보통신 분야에 대한 효율적인 인력양성 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전국 4년제 대학 및 사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96 정보통신산업 기술인력수급 실태조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요약.발췌한다.

  • PDF

건설기술인력 관리 방안

  • 이유섭;이교선;이태식
    • 월간 기계설비
    • /
    • s.35
    • /
    • pp.70-83
    • /
    • 1993
  • 건설산업에 있어서 건설기술자의 수요는 건설공사업의 면허 및 등록을 위한 기술능력의 평가기준이 되고 또한 건설공사의 관리 및 기술상의 관리를 위해 공사현장에 배치되는 기술자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건설산업의 국제화, 고도화에 따른 경쟁력 강화와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설기술인력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기술인력의 향상과 전문화를 통한 건설기술의 고도화를 도모하고 또한 건설생산활동에 있어서 원활한 수급을 위한 효율적인 기술인력 관리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술인력의 효율적 및 관리를 위해 현행 건설기술인력 활용 및 관리 제도상의 문제점 분석과 건설기술인력의 교육 및 경력관리에 대한 실태 조사를 통하여 건설기술인력의 관리 및 활용성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양성된 건설기술인력의 능력을 유효하게 발휘시킬수 있도록 환경여건의 마련과 이들을 조직화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효율적 활용을 도모할 수 있는 일련의 계획적$\cdot$체계적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나노기술 인력의 수요 현황 및 예측

  • Jo, Dae-Myeong;So, Dae-Seop;Choe, Gyeong-Hyeon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231-244
    • /
    • 2009
  • 21세기의 나노기술은 국가경쟁력을 위한 핵심 학문과 기술로 대두되었다. 우리나라는 2001년 7월에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였고, 2002년 12월에는 '나노기술개발측진법'을 제정하여 국가의 전략기술로 범정부 차원에서 집중 투자하고 있음. 그 주요 내용으로 연구개발과 인프라 구축과 인력양성 등을 3대 핵심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나노기술은 학문간, 기술간 및 산업 분야간 서로의 영역을 공유하는 다학제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는 기술로서 미래의 기술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IT, BT, ET 등 신산업과 부품, 소재 등 기존 산업의 핵심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기술로서 원천기술적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다. 그동안 국내 나노기술 인력양성에 관한 조사 또는 연구는 매년 일부 수행되어 왔으나 나노기술 인력양성의 효과적 정책수립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에는 미흡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접 설문을 통해 국내 나노기술 수요업체의 실태와 인력수요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노기술의 세부 분야별 향후 인력 수요 전망을 통계적으로 예측한 후 해당 산업의 발전에 비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하여 나노기술 인력 양성 정책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 나노기술 수요 업체의 특징 및 현황 - 나노기술 수요 업체의 인력 상황 및 미래 계획에 대한 설문 결과 - 설문 결과의 통계적 분석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미래 상황 예측

  • PDF

건설기술인력 수급계획에 관한 연구

  • 이유섭;이교선;이태식
    • 월간 기계설비
    • /
    • s.35
    • /
    • pp.56-69
    • /
    • 1993
  • 건설산업이 점차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전환됨에 따라 요구되는 건설기술인력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건설기술인력의 효율적인 수급을 위해 기술 인력의 공급량과 수요량을 예측하여 예견되는 불균형 또는 균형적인 소요량을 제시함으써 사회의 투자의사결정에 수반되는 불확실성의 감소, 경제계획수립의 기초자료, 정부의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평가, 인력 확보를 위한 교육$\cdot$훈련체계 수립, 그리고 기업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할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술인력이 수요동향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와 건설업통계조사보고서를 이용하여 건설업에 종사하는 건설업 취업자 추이, 고용구조, 건설기술의 현황을 분석하여 건설업의 종사자 및 기술인력에 대한 추이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경제요인을 고려한 건설기술인력의 수요예측모형을 제시하고 이 모형을 사용하여 2000년까지의 분야별 건설기술인력의 수요를 예측하였다.

  • PDF

현황 - 한국의 원자력 인력 양성

  • Hwang, In-A
    • Nuclear industry
    • /
    • v.29 no.7
    • /
    • pp.76-83
    • /
    • 2009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009년 올해로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였다. 지난 반세기 동안 원자력 기술 자립의 성과를 이루었으며 원자력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훈련 또한 함께 하였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원자력의 태동부터 기술 자립에 이어 기술 수출까지를 살펴보고 시기별로 원자력 인력 양성을 위한 훈련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교육센터(전 원자력연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산업 인력과 R&D 인력에 대한 교육 및 IAEA 등과 협력하에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 원자력 인력 양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으며 차세대 인력 양성을 위한 노력과 인력 양성을 위한 국제 협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A Human Resources Study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in Korea (국내 조경산업의 기술인력 현황과 수급 예측)

  • Byeon, Jae-Sang;Shin, Sa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3
    • /
    • pp.33-45
    • /
    • 2009
  • In the industry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which the core of production is manpower, the management of manpower is of utmost importance. The industry of landscape architecture, however, is highly sensitive to economic shifts and policy changes; this sensitivity renders the management of manpower-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often times difficult. Currently, this vicious circle appears to persist in the sense that the industry suffers from a lack of skilled employees, and a new body of skilled laborers from the paucity of jobs. This study, in analyzing current manpower management as well as the prospective supply and demand in the field, looks forward to the stability of the supply and demand in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nation. According to this study, the number of new skilled laborers-those who have a higher credential than that of "landscape architect-engineer"-is expected to increase by 10% per year. The number of new skilled laborers being 1,137 in 2008,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will be a new group of 1,251 skilled laborers in the field in 2009. Meanwhile, estimating that the number of current skilled laborers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is 14,783, the demand for new skilled laborers remains approximately 540. The supply of 1,251 skilled laborers outnumbers the demand of 540 by nearly 230%. Hence,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landscape architecture must be prepared to deal with this imbalance between the excessive supply and the lesser demand of skilled laborers. The issue of the excessive supply of manpower is particularly critical, because it may well undermine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y as a whole: compared to other related industries such as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for instance. With the customary validation of long work experience no longer in effect, the need for an engineer's license will keep on increasing. It is time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took this issue into full account and helped their students to be better qualified and more competent.

IT기반 융합촉진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방안

  • Hwang, Gyu-Hu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11
    • /
    • pp.42-47
    • /
    • 2008
  • 나노기술, 정보통신기술, 바이오 기술 등을 중심으로 기술융합이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인력 양성의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고에서는 지식형성측면을 중심으로, 이러한 융합기술의 확산에 대응한 융합인력양성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융합기술에 대응한 인력양성 및 활용을 위해서는, 융합기술의 진행에서 지식의 속성이 어떠한 변화를 가지는지, 또한 특정한 속성의 변화가 존재한다면 새로운 속성을 포함한 지식의 생성과 습득은 어떠한 과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는지가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IT기반 의공학부문과 양자암호체계에서의 융합연구 사례를 통해, 기술 성격과 지식 습득 전략을 검토하고, 이들 융합기술 수행과정상의 특징으로 부터 인력양성에 대한 함의를 얻고자 한다.

정보통신산업 기술인력 실태조사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86
    • /
    • pp.40-43
    • /
    • 1995
  • 우리협회는 조사전문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와 지난 '94년 10월 5일부터 10월 14일까지 16간 전국 4년제 대학 정보통신 관련학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정보통신산업 기술인력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에 정보통신관련 기술인력 현황과 인력의 수급전망을 수록한 보고서의 주요내용을 요약.발췌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