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번역

Search Result 457,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종수 적고 번역서 의존 높은 기술과학서들

  • Lee, Seong-Su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34
    • /
    • pp.7-7
    • /
    • 1998
  • 우리나라의 경우 기술과학서 중 컴퓨터 관련서가 대종을 이루며 순수과학이 기술과학의 그늘에 가려지는 경향까지 보인다. 또 번역서가 차지하는 비중도 큰 데다 미국과 일본에 편중돼 있음도 지적된다.

  • PDF

Using Machine Translation Agent Based on Ontology Study of Real Translation (온톨로지 기반의 지능형 번역 에이전트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 연구)

  • Kim Su-Gyeong;Kim Gyeong-A;An Gi-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229-233
    • /
    • 2006
  • 기계번역(Machine Translaton, MT), 다국어 정보 검색, 의미 정보 검색 등에 대한 연구는 시소러스, 지식베이스, 사전 검색, 의미망, 코퍼스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시맨틱 웹이 등장과 시맨틱 웹 기반 기술의 발전에 따라 위 연구들을 시맨틱 웹에 적용시킬 필요성도 제안되었다. 특히 한국어 시소러스, 워드넷(WordNet), 전자 세종 사전, 가도까와(Kadokawa) 시소러스와 같은 지식베이스가 개발되었으나 활용 분야에 따라 그 구축 방법론이 다르게 적용되어, 위 연구에 효과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지식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구축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종 사전과 가도까와 시소러스, 한/일 기계 번역 사전 그리고 전문 용어 사전을 기반으로 한국어와 일본어 지식베이스를 위한 사전 온톨로지 서버를 정의하여 의미 정보를 구성하고, Semantic Web Rule Markup Language (이하 SWRL)을 이용해 구문 정보 규칙을 정의한다. 그리고 SWRL 기반 정방향 추론 엔진을 이용하여 번역에 필요한 추론 엔진을 구성하고 문장 구문형성 규칙 추론 엔진을 통해 사용자에게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장 구성 변환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현재 기계 번역이 갖고 있는 다의성, 술부 어순의 차이, 경어체 등 아직 해결해야 할 많은 부분들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서 시맨틱 웹 기반 기술과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nhancement of English-to-Korean Translation Quality by Korean Style Generation Patterns (한국어 스타일 생성 패턴에 의한 영한 번역 품질 개선)

  • Choi, Sung-Kwon;Hong, Mun-Pyo;Park, Sang-Kyu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235-24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영한 자동번역 시스템에 한국어 스타일 생성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영한 번역 품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러한 목표는 기존의 원문에 대한 번역문의 정보 전달 정확성을 측정하는 1차원적인 번역률 평가 방법에서 벗어나 번역문의 정보 정확성뿐만 아니라 자연스러움도 평가할 수 있는 2차원적인 번역률 평가방법으로써 정확성과 스타일을 동시에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2차원적인 번역률 평가 방법에 따라 스타일 생성 패턴이 적용되기 전과 적용된 후의 평가 결과는 100문자의 샘플문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스타일 생성 패턴에 의해서만 0.5%의 번역률이 향상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스타일 생성 패턴은 단순히 언어간 스타일 차이만 적용한 것이며 향후에는 신문, 일기예보, 기술 매뉴얼과 같은 특정 그룹을 위한 스타일 생성 패턴을 적용할 계획이다.

  • PDF

KoRIBES : A Study on the Problems of RIBES in Automatic Evaluation English-Korean Patent Machine Translation (특허 기계 번역에 대한 RIBES 한국어 자동평가 문제에 대한 고찰)

  • Jang, Hyeon-Jin;Jang, Moon-Seok;Noh, Han-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543-547
    • /
    • 2020
  • 자연어 처리에서 기계번역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기계번역에 있어서 사람의 평가가 가장 정확하고 중요하지만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된다. 이에 기계번역을 자동 평가하는 방법들이 많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한국어 특성을 잘 반영한 자동평가 방법은 연구되지 않고 있다. BLEU와 같은 자동평가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언어의 특성 차이로 인해 원하는 평가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특히 특허나 논문과 같은 기술문서의 번역에서는 더 많이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어의 정밀도와 어순이 평가에 영향이 있는 RIBES를 가지고 특허 기계 번역에서 영어→한국어로 기계 번역된 결과물의 자동평가에 대해 사람의 평가와 유사한 결과를 얻기 위해 tokenization 과정에서 복합 형태소 분리를 통한 평가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using Transformer (Transformer 를 사용한 영한 기계 번역)

  • Chun, Jin-woo;Koo, Jahwan;Kim, U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912-915
    • /
    • 2020
  • 최근 자연어 처리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 중 번역 기술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연어 처리 기술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seq2seq 모델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Transformer 를 통해 영어-한국어 번역기를 만드는 것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업체탐방 - 클릭큐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9 s.112
    • /
    • pp.40-43
    • /
    • 2002
  • "복잡한 번역 프로세스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CAT(Computer Aided Technology) 기술과 번역메모리(TM; Translation Memory) 축적을 통해 많은 기업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합니다. 번역을 개인의 노하우에 의존하지 않고 공유할 수 있는 '지식의 자산화'를 위해 ClickQ Travita가 개발된 것입니다." 클릭큐 이청호 사장의 얘기다. 4년간 30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해 개발한 'ClickQ Travita'를 널리 알리는 일만 남았다고 말하는 그는 ClickQ Travita는 기계번역의 한계를 뛰어넘을 휴먼번역 수준으로 올리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 PDF

FKT-DynaDic of Translation Assistance FK-Tranassis (번역 도우미 FK-Tranassis의 FKT-DynaDic 사전)

  • Choi, Min-Ok;Seo, La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509-512
    • /
    • 2003
  • 본 논문은 다국어 번역기술의 일환으로 Nlip의 불어 형태소 분석기를 기반으로 한 불-한 번역 도우미 FK-Tranassis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불-한 번역 도우미 FK- Tranassis 에서 제공되는 FKT_DynaDic 사전의 논리적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여 FKT_DynaDic 사전에서 번역가의 성향에 맞는 대역어를 제공해주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PDF

Syntactic Rule Compiler in Rule-based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규칙 기반 영한 기계번역에서의 구문 규칙 컴파일러)

  • Kim, Su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315-1317
    • /
    • 2013
  • 규칙 기반의 영한 기계번역 시스템의 구문 분석 시스템은 영어의 구문 구조를 기술하는 규칙 부분과 규칙을 적용하여 차트 파싱을 수행하는 실행 부분으로 구성된다. 구문 규칙은 문맥 자유 문법의 형식으로 기술되는데, 기술된 구문 규칙을 적용하여 파싱을 실행하는 실행 부분은 C 언어 함수로 표현되므로, 구문 규칙을 C 언어 함수로 변환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맥 자유 문법 형식으로 기술된 구문 규칙을 C 언어 함수로 변환하는 도구인 구문 규칙 컴파일러를 개발하였다. 구문 규칙 컴파일러는 자동적으로 구문 규칙을 C 언어 함수로 변환함으로써 영한 기계번역 시스템의 성능 개선 과정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구문 규칙의 생성과 수정을 용이하게 하여 번역 성능을 개선하는 작업을 지원한다.

Research about SMT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Automatic Corpus Expansion (말뭉치 자동 확장을 통한 SMT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

  • Choi, Gyu-Hyun;Shin, Jong-Hun;Kim, Young-Kil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296-299
    • /
    • 2016
  • 현재 자동번역에는 통계적 방법에 속하는 통계기반 자동번역 시스템(SMT)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학습 데이터로 사용되는 대용량의 병렬 말뭉치를 수동으로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계기반 자동번역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 다른 언어쌍의 말뭉치와 SMT 자동번역 기술을 이용하여 대상이 되는 언어쌍의 SMT 병렬 말뭉치를 자동으로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서로 다른언어 B와 C의 병렬 말뭉치를 얻기 위해, A와 B의 SMT 자동번역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존의 A-C 말뭉치의 A를 SMT를 통해 B로 번역하여 B와 C의 말뭉치를 자동으로 확장한다. 실험을 통해 확장한 병렬 말뭉치가 통계기반 자동번역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다.

  • PDF

Evaluation of the Translation Part of the Concept-based Spoke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개념기반 대화체 언어번역시스템의 번역부평가)

  • Choi, Un-Cheon;Han, Nam-Yong;Kim, Jae-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322-325
    • /
    • 1996
  • 이 논문은 개념기반의 대화체 언어번역시스템의 번역부의 평가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대상언어는 한국어와 영어로 한국어를 해석하여 영어로 번역하는 시스템이다. 개념기반 시스템은 개념을 기준으로 입력된 문장을 해석하고 그 개념을 이용하여 번역한다. 개념기반 시스템은 개념에 기반을 두기 때문에 자유로운 간투사의 사용, 빈번한 단어 생략 등의 특성을 가지는 대화체 번역에 유리하다. 시스템의 평가는 입력문에 대한 번역문의 결과가 의미적으로 어느 정도 전달되었는지를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평가한다. 현재 개발된 시스템은 여행안내 영역(domain)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개발된 시스템에 대한 평가는 대화체를 전사한 문장과 음성인식의 결과 두 가지의 입력에 대해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