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문

Search Result 2,50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Valid Conversation Recognition for Restoring Entity Ellipsis in Chat Bot (대화 시스템의 개체 생략 복원을 위한 유효 발화문 인식)

  • So, Chan Ho;Wang, Ji Hyun;Lee, Chunghee;Lee, Yeonsoo;Kang, Jaew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54-59
    • /
    • 2019
  • 본 논문은 대화 시스템인 챗봇의 성능 향상을 위한 생략 복원 기술의 정확률을 올리기 위한 유효 발화문 인식 모델을 제안한다. 생략 복원 기술은 챗봇 사용자의 현재 발화문의 생략된 정보를 이전 발화문으로부터 복원하는 기술이다. 유효 발화문 인식 모델은 현재 발화문의 생략된 정보를 보유한 이전 발화문을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효 발화문 인식 모델은 BERT 기반 이진 분류 모델이며, 사용된 BERT 모델은 한국어 문서를 기반으로 새로 학습된 한국어 사전 학습 BERT 모델이다. 사용자의 현재 발화문과 이전 발화문들의 토큰 임베딩을 한국어 BERT를 통해 얻고, CNN 모델을 이용하여 각 토큰의 지역적인 정보를 추출해서 발화문 쌍의 표현 정보를 구해 해당 이전 발화문에 생략된 개체값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제안한 모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유효 발화문 인식 모델에서 유효하다고 판단한 이전 발화문만을 생략 복원 모델에 적용한 결과, 생략 복원 모델의 정확률이 약 5% 정도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Frame Arguments Role Labeling for Event extraction in Dialogue (대화문에서의 이벤트 추출을 위한 프레임 논항 역할 분류기)

  • Heo, Cheolhun;Noh, Youngbin;Hahm, Younggy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119-123
    • /
    • 2020
  • 이벤트 추출은 텍스트에서 구조화된 이벤트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대화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를 다루기 위해 이벤트 스키마를 프레임넷으로 정한다. 대화문에서의 이벤트 논항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문장 뿐만 아니라 다른 문장 또는 대화에 참여하는 발화자에서 발생할 수 있다. 대화문 주석 데이터의 부재로 대화문에서의 프레임 파싱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모델은 대화문에서의 이벤트 논항 구간이 주어졌을 때, 논항 구간의 역할을 식별하는 모델이다. 해당 모델은 이벤트를 유발한 어휘, 논항 구간, 논항 역할 간의 관계를 학습한다. 대화문 주석 데이터의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문어체 주석 데이터인 한국어 프레임넷을 활용하여 전이학습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정확도 51.21%를 달성한다.

  • PDF

An Investigation of Grammar Design to Consider Minor Sentence in Speech Recognition (조각문을 고려한 음성 인식 문법 설계)

  • Yun, Seung;Kim, Sang-Hun;Park,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409-410
    • /
    • 2007
  • 조각문이란 문장 성분을 온전히 갖추지 못한 문장으로 일반적인 문장과 달리 종결 어미로 문장을 끝맺지 못하는 문장을 말한다. 실험실 환경에서와 달리 실제 음성 인식 환경에서는 이러한 조각문이 비교적 빈번히 나타나므로 연속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이러한 조각문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음성 인식 문법 기술에 있어서 조각문을 반영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커버리지를 비교해 봄으로써 조각문에 대한 고려가 음성 인식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아 보았다.

What To Teach in Writing Course for Engineering Students (공대생 글쓰기 과목에서 가르칠 내용)

  • Kwon, Sung-Gyu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3 no.1
    • /
    • pp.3-16
    • /
    • 2010
  • This paper is about to research the contents of writing course to foster communication skills for engineering students. Some domestic college writing textbooks were analyzed to list the course contents. Studying 'technical writing' leads to identify the materials for both basic composition skills and technical writing skills. Then some reasons for selecting those materials and things about professors for the course as well as teaching the course are discussed. Developing proper textbook and the techniques for teaching those materials is a valuable task for the writing course.

  • PDF

Factors Affecting Science Track Choic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한국 인문계 고교생들의 진로결정 요인)

  • Myeong, Jeon-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6 no.2
    • /
    • pp.63-72
    • /
    • 1986
  • 과학교육은 학생들이 장차 과학 기술분야의 직업을 추구하도록 하는 것을 그 중요한 결실의 하나로 잡고 있다. 현재 한국은 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교육의 주요목표의 하나로 삼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보다 많은 영재를 과학 기술분야로 유치하려고 여러 가지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도 결국은 학생이 과학 기술분야로 모여들지 않으면 그 효과가 없게 된다. 그런 점에서 학생들이 어떤 이유로 과학 기술분야를 선택하는지 혹은 기피하는지 그 원인을 아는 것을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과학 및 기술분야의 직업을 갖게 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고교생의 문 이과반 선택에 있어 그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제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있다. 연구대상은 대구시내외 남 녀 고교 1학년생 109명(문과 56명, 이과 53명)이었으며 조사방법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는 학생들의 문 이과반 선택에는 장래직업, 대학전공, 적성, 학과목에 대한 능력, 흥미 선호도, 가족 및 주위의 권유 등이 주요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중 문과를 지원한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자신의 적성 이과과목에 대한 능력부족 인식, 내신 및 학력고사에서의 성적취득용이성 등 주로 자신의 내적 동기와 관련된 요인들을 들고 있는데 비해, 이과를 지원한 학생들은 밝은 직업전망, 가족 및 주위의 권유 등 외적인 동기도 큰 작용을 하고 있음을 보여 대조를 이루고 있다. 또 문과를 지원한 학생은 이과가 공부하기가 어렵고 성적을 올리기도 힘들어 이과를 기피한 경향을 보이는데 반해 이과 지원자는 문과를 기피하여 이과로 왔다는 응답은 별로 없는 점이 대조를 보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가 던져주는 시사점과 과학교육의 개선책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면서 결론을 맺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