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개발과제

Search Result 2,02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dvanced Materials Technology in Auto Industries (자동차 산업의 신소재기술)

  • 조원석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5
    • /
    • pp.351-360
    • /
    • 1994
  • 최근, 자동차에 대한 사회적 요구로서는, 기존의 안정성, 또는 노령 및 여성 운전자의 증가에 따른 운전의 용이성 확보 등과, 부가해서, 지구 환경문제 개선이라는 과제에 집중되고 있다. 지구 환경문제로서는, 여러가지를 열거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 자동차와 직접 관련되는 것은 "지구의 온난화," "오존층의 파괴," "산성비," 또는 "자원의 재처리화" 등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들의 해 결을 위해서 업계는 대체 에너지 차량의 개발, 기존 차량의 연비 개선, 부품 및 차량의 리사이 클링 기술개발 등에 총력 질주해야만 한다. 이들 과제의 많은 경우가 재료기술이 직접 관련되어 있으며, 어느 과제도 재료 문제와 연관되어 있지 않은 것은 없다. 이 글에서는 연비개선을 위한 경량화, 저공해 차량의 개발, 리사이클 기술 개발 등 총체적 환경 문제 대응을 위해서 재료기술이 어떠한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지 살펴보기로 한다.대응을 위해서 재료기술이 어떠한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 PDF

연구개발 종합관리시스템 도입 사례

  • 손권중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2.02a
    • /
    • pp.53-58
    • /
    • 2002
  • S사 연구소는 과제 차질율 감소와 과제 사업화율의 증대를 위해 기존 연구개발 프로세스의 분석을 통하여 신프로세스를 설계하였고 연구개발 업무에 대한 표준을 재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997년 9월 1일부터 과제 종합관리 시스템(SAP PS/DMS)을 전면 도입하여 적용하였다. 4년 6개월이 지난 현재 당시 도입된 신프로세스는 완전 정착단계에 있으며, 해외 연구소(유럽, 일본)를 포함한 Global R&D 체계를 구축하였다.

  • PDF

밸브 제조산업에 있어서 종합공정관리 모듈 개발

  • 이달상;이춘근;김태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7.10b
    • /
    • pp.229-239
    • /
    • 1997
  • 지방중소기업의 애로기술을 지역대학의 우수한 인력과 자원을 활용하여 현지 업체 가 해결할 수 없는 기술을 지도하고 지원하여, 지방공과 대학이 당해 지방소재 중소기업의 공동 연구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산학연 공동 기술개발 지역 컨소시엄 사업이 통상산업부의 지원하에 많은 학교와 지방 중소기업이 현재 진행중이거나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 개발 과제는 산,학,연 지역 컨소시엄 개발 과제로서 96년 초부터 시작되어 97년 6월중에 완료 예정으로 현재 모든 테스트가 완료되고 현업 업무와 병행 가동 중에 있다. 그리고, 이 연구 개발 과제는 밸브 제조 산업을 중심으로 한 생산 공정 관리와 기타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Module 간에 데이터공유와 Interface에 중점을 두고 개발하였으며, 특히 공정 관리에서 Job Schedule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표준 모델을 정립하는데 중점을 두고 개발하였다.

  • PDF

이슈분석 - 산업부, 에너지 분야 기술개발.인력양성.국제공동연구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모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58
    • /
    • pp.60-65
    • /
    • 2015
  •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에너지 분야 기술개발, 인력양성, 국제공동연구 등의 사업에 1,600억 원 규모를 신규 지원키로 하고 지원대상과제를 지난달 9일 공고했다. 특히 정부가 최근 가장 집중하고 있는 에너지신산업 분야 모델 기술 개발 및 인력양성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하는 내용이 담겨 있어 관심이 간다. 미래 전력산업 분야를 좌우할 기술개발에 대한 지원이 눈에 띄게 확충된 만큼 관련 산 학 연에서 발 빠르게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 PDF

Deveopment of the interface between EV & Grid, and development of the prototype of monitoring and control (차량/전력계통 연계 인터페이스 및 모니터링/제어장치 시제품 개발)

  • Song, Tack-Ho;Jeong, Mun-Gue;Han, Seung-Ho;Kim, Cheol-Woo;Im, You-Se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934-935
    • /
    • 2011
  • 전력연구원에서는 "그린카용 충전스탠드 기술개발" 과제를 통하여 차량/전력계통 연계 인터페이스 및 모니터링/제어 장치 시제품을 개발 하였다. 본 과제는 지경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정부과제로써, 2009년 5월부터 2011년 5월까지 2개년에 걸쳐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그린카용 충전스탠드 기술개발" 과제를 통해 수행한 차량/전력계통 연계 인터페이스 및 모니터링/제어장치 시제품 개발 내용을 1,2 차 년도로 각각 구분하여 소개하였으며, 차량/전력계통 연계 인터페이스 및 모니터링/제어장치 시제품을 개발에서 중요하게 도출된 것이 무엇인가를 고찰하여 보았다.

  • PDF

Development of Road-map Distribution Technology Based on the Technology Characteristics (배전기술 속성에 의한 배전기술 체계도 작성)

  • Kim, Byeong-Ki;Park, Dae-Su;Rho, Dae-Seok;Lee, Sun-K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167-16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기술개발 방향 및 기술속성에 의해 분류된 새로운 분류법에 의한 기술체계도를 제시한다. 지금까지 배전기술개발 분류는 중장기연구개발 계획을 근거로 하여, 3개의 기술개발 분야로 분류되어 왔으나, 이 방법은 광범위한 기술개발 분야의 분류로 상호간의 중복되는 분야가 발생하거나, 새로운 기술 분야에 대한 기술 분류의 어려움이 상존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술의 전개방향과 속성을 기준으로 배전분야의 최종목표와 추진분야, 주요 기술개발과제(R&D과제)로 구성된 새로운 배전기술개발 체계도를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R&D budget expenditure behavior supported by National fund - Focus on the Industrial IT R&D Program - (국가R&D지원사업의 연구개발비 집행행태 분석 -정보통신 산업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이종훈;박준범;강성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21-128
    • /
    • 2003
  • The paper analysed R&D budget expenditure behaviors of those projects supported under the Industrial IT R&B Program in 2001 and found out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scores of each project and its expenditure behavior. The study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enditure behavior between project groups with higher scores and with lower ones. Based on the findings, the paper raises a few suggestions on program management techniques to increase outcome of the program.

  • PDF

A Design of u-Learning Profile for Content Adaptation (콘텐츠 적응화를 위한 U-러닝 프로파일의 설계)

  • Roh, Jin-Hong;Park, Yau-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108-1111
    • /
    • 2011
  • 최근 E-러닝 발전과 함께 U-러닝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관련 표준들이 채택되고 있다. 기존의 E-러닝 관련 기술들이 웹에 기반한 학습을 지향하였다면 U-러닝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학습자가 학습의 맥락을 이어가며 학습을 하는 것으로서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학습을 진행하여 생활의 학습화를 지원할 기술을 필요로 한다. 즉, U-러닝에서는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사용 환경에 적합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 사용 환경 맞춤형 콘텐츠 적응화 기술이 필요하다. 크게 사용 환경 맞춤형 콘텐츠 적응화 기술은 다양한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사용 환경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기술과 사용자의 사용 환경 정보를 분석하는 기술, 사용 환경에 적합한 콘텐츠를 구성하는 기술로 구성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식서비스 USN 산업원천 기술개발 과제의 세부과제인 'U-러닝 환경 표준 및 표준 명세 개발 및 검증' 과제에서 콘텐츠 적응화를 위해 연구 개발된 사용 환경 정보를 표현하는 U-러닝 프로파일에 대하여 소개한다.

전파이용 지능화를 위한 기지국 안테나 제어기술

  • 장대석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7 no.1
    • /
    • pp.32-38
    • /
    • 1996
  • 우리나라 전파 이용현황은 사회경제의 발전, 전파 이용기술의 진보등에 의하여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파이용 시스템의 기능은 다양화, 고도화 되고 있다. 1995년 현재 우리나라 무선국 수는 2,021,771국이며, 특히 육상 이동국은 1,768,260국이다. 이런 상 황에서 안정되게 주파수 공급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양적 확대 뿐만 아니라 주파수 유효 이용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본에서는 전파를 최대한 능률적으로 이용할 목적으로 1991년부터 전문 연구회를 조직하여 전파이용 지능화에 필요한 기술, 기술개발 과제, 제도상의 과제, 기술개발과 도입을 위한 대책에 관한 조사연구를 수년간 활발하게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부터 전파지원 이용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나 전파이용 지능화 기술에 관한 연구를 하지 못하였다. 외국의 전파이용 지능화 기술 개발현황을 고찰하여, 우리나라 전파 이용 지능화 기술개발의 기반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전파이용 지능화를 위하여 중점적으로 개발하여야 할 기술로서 기지국 안테나 제어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전파이용 지능화를 위한 기지국 안테나 제어기술에 관하여, 통신시스템을 요구되는 조건, 방식 및 효과, 특징 및 특성 등을 고찰한다.

  • PDF

차세대 방송 기술 연구개발 이슈 및 추진방향

  • Kim, Ji-Gyun;Jeong, Deuk-Yeong;Gang, Dong-U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1
    • /
    • pp.44-47
    • /
    • 2014
  • 미래창조과학부의 국가R&D로서 지원하고 있는 방송 기술 연구개발의 범위는 크게 콘텐츠를 제작 편집하는 방송미디어 창작 플랫폼, 방송 주파수 자원의 발굴과 효율적 사용을 포함한 방송 송수신 인프라 기술, ICT 방송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송미디어 장비 단말, 그리고 보편적인 방송서비스를 누구나 안전하게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공공복지방송 및 재난방송 관련 기술로 분류한다. 이 네 분야로 나누어 과제 기획위원회 활동을 통해 과제의 선택과 집중을 추진하고 있으며, 본고에서는 방송 기술의 최신 이슈와 정부 정책방향을 고려한 2015년도 연구개발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