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상 정보

Search Result 2,24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dvanced VTS by Weather Analysis (기상정보 모니터링을 통한 상급 선박관제)

  • Park, W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129-131
    • /
    • 2011
  • 해상기상은 재박 및 운항 선박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관제구역에서 선박 안전운항을 관리하는 VTS에 있어 기상예보 및 국지적 실시간 기상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대상선박에 대해 사전 안전조치를 취하거나 실무 관제에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해야 함이 해양사고 예방을 위해서 절대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겨울철 기압골 형성에 따라 동해안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는 북동방향으로 부터의 스웰 유입에 대해, 2011년 1월 1일 포항항에 큰 스웰 유입 당시의 해상기상에 대한 예보 및 실측 자료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고찰하고 선박관제 운용에 있어 기상정보 활용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노력 하였다. 아울러,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상세 기상정보를 선박관제 운용에 활용하고 있는 포항청 사례를 소개하여 타 항만에서도 해상기상 악화에 대비 대응할 수 있는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FPGA-based Meteorological Information Data Receiver Circuit for Low-Cost Meteorological Information Receiver System for COMS (보급형 천리안 위성 기상정보 수신시스템을 위한 FPGA 기반 기상정보 데이터 수신회로 개발)

  • Ryu, Sang-M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10
    • /
    • pp.2373-2379
    • /
    • 2015
  • COMS(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the first Korean geostationary meteorological satellite, provides free meteorological information through HRIT/LRIT(High/Low Rate Information Transmission) service. This work presents the development of data receiver circuit that is essential to the implementation of a low-cost meteorological information receiver system. The data receiver circuit processes the data unit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physical layer and data link layer of HRIT/LRIT service. For this purpose, the circuit consists of a Viterbi decoder, a sync. word detector, a derandomizer, a Reed-Solomon decoder and so on. The circuit also supports PCI express interface to pass the information data on to the host PC. The circuit was implemented on an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nd its function was verified through simulations and hardware implementation.

예보지식 기반 해양기상예보 정보 생산 및 서비스 시스템

  • Lee, Su-Hyeon;An, Ji-Hye;Jo, Hyeon-Je;Jo, Seong-Eok;Park, Su-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02-103
    • /
    • 2018
  • 해상에서의 급변하는 위험기상과 기상이변은 관련 종사자들의 생명과 재산 피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지만, 선박 안전항해의 필수적 요소인 해양기상정보의 실제적인 활용은 매우 미비한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속하고 정밀한 정보 전달을 위해 해양기상 수치모델 정보를 이용하여 전문 예보관의 예보지식에 기반한 상세 해상실황과 예보정보를 항해 및 조업선박들에게 자기위치기반으로 실시간 서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해당 시스템을 통해 해양기상예보 정보를 선박의 위치별로 실시간 제공함으로써 해상교통안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Disaster Situation Specific Tailored Weather Emergency Information Alert System (재난 상황별 맞춤형 기상긴급정보 전달 시스템 개발)

  • Yong-Yook Kim;Ki-Bong Kwon;Byung-Yun L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1
    • /
    • pp.69-75
    • /
    • 2023
  • Purpose: The risk of disaster from extreme weather events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occurrence and the strength of heavy rains and storms from continued climate change. To reduce these risks, emergency weather information customiz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users and related circumstances should be provided. Method: A first-stage emergency weather information delivery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weather information to the disaster-risk area residents and the disaster response personnel. Novel methods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to identify emergencies have been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weather reports from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disaster-related news articles has been analyzed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a pilot study using text analytic artificial intelligence. Result: The basis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 between disaster-related articles and special weather reports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a real-world applicable system based on a broader analysis of data has been suggested. Conclusion: Through direct alert delivery of weather emergency alerts, a weather emergency alert system is expected to reduce the risk of damage from extreme weather situations.

Seasonal Weather Factors and Sensibility Change Relationship via Textmining

  • Yeo, Hyun-J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8
    • /
    • pp.219-224
    • /
    • 2022
  •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has been released life-related indexes such as 'Life industrial weather information' and 'Safety weather information' while other countries'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have been made 'Human-biometeorology' and 'Health meteorology' indexes that concern human sensibility effections to diverse criteria. Although human sensibility changes have been studied in psychological research criteria with diverse and innumerous application areas,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that make data mining based validation of sensibility change factors. In this research I made models to estimate sensibility change caused by weather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validated by collecting sensibility data from SNS text crawling and weather data from KMA public dataset. By Logistic Regression, I clarify factors affecting sensibility changes.

Department of Electronics Engineering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Center, Myoungji University (유비쿼터스 기반의 기상정보 시스템에 필요한 요소기술에 관한 연구)

  • Park Bo-Hyeon;Soh Dea-Wha;Hong Sang-Jee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0 no.4
    • /
    • pp.764-768
    • /
    • 2006
  • In this paper, the importance of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system is presented. The technology on a weather information system setup which may provide the ubiquitous to the foundation is investigated. A number of crucial technology implementation of a future weather information system and the time to be realized is estimated. Based on the research on numerous literatures on the topic, in addition, the practical usage strategy of the proposed weather system is presented.

Trends in Space Weather Data Services (우주기상 자료 서비스 동향)

  • Lee, K.J.;Koo, B.J.;Jung, I.G.;Ahn, D.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3
    • /
    • pp.107-115
    • /
    • 2017
  •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서 기상 정보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정보 중 하나이다. 과학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인류의 활동 범위는 지구를 넘어서 우주 공간까지 확대되었는데, 이로 인해 우주 공간에서의 기상 정보와 같은 우주기상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우주기상은 태양으로 인해 형성되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공간에서의 전자기적 변화를 일컫는 말로, 우주 시대에 접어들면서 이에 관한 관심이 급격하게 증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국내외 우주기상 자료 및 서비스 현황을 소개한다.

내항성능 해석 기반의 선박 해양활동지수에 관한 연구

  • 최광영;김대원;송재욱;박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64-65
    • /
    • 2022
  • 내항성능 해석 기반의 선박 해양활동지수에 관한 연구는 연근해에서 활동하는 30톤이하 선박에 대해 해양기상신호표지 정보 및 내항성능 해석 정보를 이용해서 선박의 안전한 해양활동 대책을 연구하는 것이다. 해양사고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특히, 연근해 활동 소형선박의 사고가 해양사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러한 선박은 복원성 승인 및 유지 제외 선박(길이 24m 미만)으로 대부분으로 건조 시부터 폐선 시까지 해양활동에 대한 안전대책이 부족하여 사고로 인한 사망, 실종 등 인명손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선박의 해양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해양기상정보는 여러 기관별 목적에 맞게 수집되고 있으나 활용도가 떨어지고 실제 기상과 다를 수 있으며 지역 및 지형에 따라서도 기상여건이 상이하므로 현지 실시간 기상정보를 활용한 선박에 대한 적극적인 안전한 해양활동 정보 지원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파고와 풍속 및 선박의 내항성능 해석 정보를 이용하여 30톤이하 선박에 대한 안전한 해양활동 대책을 강화하고자 함이다.

  • PDF

Utilization assessment of hydrological drought outlook information based on weather forecast data (기상예보자료 기반 수문학적 가뭄전망정보의 활용성 평가)

  • So, Jae-Min;Lee, Joo-Heo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97-397
    • /
    • 2020
  • 가뭄을 전망하는 방법으로는 통계적 방법과 물리적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통계적 방법은 과거의 기상 및 수문현상이 미래에도 재현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미래 가뭄상황을 전망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예측된 결과들이 모두 과거의 경향에 국한됨에 따라 최근에 급변하는 수문기상의 특성을 고려하는데 한계가 있다(Trenberth, 1994). 물리적 방법은 주어진 초기 수문기상조건으로부터 역학적 알고리즘이 탑재된 기상 및 수문모형의 연계모의를 통하여 미래 가뭄을 전망하는 방법으로 모형에 따른 불확실성이 발생할 수 있으나 최근 수문순환의 변화를 예측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활용도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예보자료와 지표수문모형을 연계한 물리적 기반의 수문학적 가뭄전망정보를 산정하고,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기상예보자료는 기상청 현업예보 모델인 GloSea5로부터 생산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문학적 가뭄전망을 위해 MSWSI (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를 활용하였다. 수문학적 가뭄전망정보는 현재의 수문조건이 지속된다는 가정하에 예보선행시간 3개월까지 산정하였다. 2015~16년 기간에 중권역별 가뭄전망정보를 산정하였으며, 전망정보의 예측성은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금회 제시한 연구방법은 현재의 수문조건이 지속될 시 기상예보에 따른 중권역별 수문학적 가뭄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Health Index Monitoring System based on Open Hardware (오픈 하드웨어 기반 생활보건지수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구현에 관한 연구)

  • Lee, Do-Gyun;Kim, Minyoung;Cho, Jin-Hwan;Jang, Si-Woong;Jang,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409-412
    • /
    • 2019
  • 국내의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대기 오염에 관한 분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정부는 최근 IT 융합 기술의 발전에 따라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의 확산 및 고도화를 위한 기술 접목에 많은 지원과 관심을 보이며 기상청을 통해서는 국내 대기 오염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낮추기 위해 공공 데이터(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를 활용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기상청에서 운영되고 있는 장비들은 고가의 장비로써 비용 및 공간적 설치 제약이 따르며, 약 15km 범위를 한 개소로 담당하여 기상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 하드웨어 기반 소형 기상관측 장비를 활용한 기상지수 및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기상 계측이 필요한 지역의 작은 공간을 활용, 기상관측 장비를 통해 관측된 데이터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생활 기상지수 알고리즘을 토대로 해당 지역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여 사회적 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