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상 데이터

Search Result 1,14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정지궤도 기상위성의 관측 데이터 전송 시스템 구성 및 기술 동향

  • Kim, Jung-Pyo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4 no.1
    • /
    • pp.74-82
    • /
    • 2006
  • 정지궤도 상에서 기상 관측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주요 기상위성의 관측 데이터의 전송 및 분배 시스템의 구성 현황 및 주요 전송 파라미터를 분석하고 현재 개발되고 있는 통신해양기상위성의 관측 데이터 전송 시스템 구성 및 채널별 주요 전송 파라미터를 제시한다. 제한된 기상 주파수 전송 대역에 대해 갈수록 고성능화 되어가는 기상 센서에 따른 대용량 기상관측 데이터 전송 및 분배를 위한 전송 방법 및 주파수 대역의 변경, 지상망 및 상업용 위성 통신망의 활용방안을 살펴본다.

  • PDF

A Preliminary Performance Analysis of the Meteorological and Ocean Data Communication Subsystem in COMS (통신해양기상위성 기상해양데이터통신계의 예비 성능 해석)

  • Kim, Jung-Pyo;Yang, Gun-Ho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 no.2
    • /
    • pp.25-31
    • /
    • 2006
  • The COMS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performing meteorological and ocean monitoring and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with meteorological, ocean and Ka-band payload in the geostationary orbit includes MODCS (Meteorological and Ocean Data Communication Subsystem) which provides transmitting the raw data collected by meteorological payload called MI (Meteorological Imager) and ocean payload named GOCI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to the ground station and relaying the meteorological data processed on the ground to the end-user stations. MODCS comprises of two channels: SD channel which formats the raw data according to CCSDS recommendation, amplifies and transmits its signal to the ground station; MPDR channel which relays to the end-user stations the ground-processed meteorological data in the data format of LRIT/HRIT recommended by CGMS. This paper constructs the architecture of MODCS for transmitting and relating the observed data, and investigates that the key performance parameters have the required margin through the preliminary performance analyses.

  • PDF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Reanalysis Air Temperature based on Mountain Meteorological Observation (산악기상정보 융합 기반 재분석 기온 데이터의 추정 및 검증)

  • Sunghyun, Min;Sukhee, Yoon;Myongsoo, Won;Junghwa, Chun;Keunchang, Ja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4 no.4
    • /
    • pp.244-255
    • /
    • 2022
  • This study estimated and evaluated the high resolution (1km) gridded mountain meteorology data of daily mean,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based on ASOS (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AWS (Automatic Weather Stations) and AMOS (Automatic Mountain Meteorology Observation System) in South Korea. The ASOS, AWS, and AMOS meteorology data which were located above 200m was classified as mountainous area. And the ASOS, AWS, and AMOS meteorology data which were located under 200m was classified as non-mountainous area. The bias-correction method was used for correct air temperature over complex mountainous area and the performance of enhanced daily coefficients based on the AMOS and mountainous area observing meteorology data was evaluated using the observed daily mean,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As a result,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RMSE (Root Mean Square Error) of air temperature using the enhanced coefficients based on the mountainous area observed meteorology data is smaller as 30% (mean), 50% (minimum), and 37% (maximum) than that of using non-mountainous area observed meteorology data. It indicates that the enhanced weather coefficients based on the AMOS and mountain ASOS can estimate mean,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data reasonably and the temperature results can provide useful input data on several climatological and forest disaster prediction studies.

Analysis of Weather News using Big Data Analytics Tools R (빅데이터 분석도구 R을 활용한 기상뉴스 데이터분석)

  • Kim, YongSu;Ban, Ch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448-450
    • /
    • 2016
  • 정보기술과 디지털 경제의 확산으로 대규모의 데이터가 생산되는 정보화시대에서 빅 데이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이를 응용하고 있다. 빅 데이터 분석도구인 R은 통계 기반의 정보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언어와 환경이다. 본 논문에서는 R을 이용하여 기상뉴스에 나타난 기상관련 빅 데이터를 분석한다. 다양한 뉴스에서 기상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어떠한 텍스트가 분포되어 있는지 빈도 조사를 수행한다.

  • PDF

The Types of Road Weather Big Data and the Strategy for Their Use: Case Analysis (도로 기상 빅데이터 유형별 활용 전략: 국내외 사례 분석)

  • Hahm, Yukun;Jun, YongJoo;Kim, KangHwa;Kim, Seunghyun
    • The Journal of Bigdata
    • /
    • v.2 no.2
    • /
    • pp.129-140
    • /
    • 2017
  • Weather acts through low visibility, precipitation, high winds, and temperature extremes to affect driver capabilities, vehicle performance (i.e., traction, stability and maneuverability), pavement friction, roadway infrastructure, crash risk, traffic flow, and agency productivity. Recently a variety of road weather big data sources such as CCTV, road sensor/systems, car sensor have been developed to solve the weather-related problems, This study identifies and defin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sources to suggest how to utilize them for car safety and efficiency as well as road management through analyzing domestic and oversea cases of road weather big data applications.

  • PDF

Development of FPGA-based Meteorological Information Data Receiver Circuit for Low-Cost Meteorological Information Receiver System for COMS (보급형 천리안 위성 기상정보 수신시스템을 위한 FPGA 기반 기상정보 데이터 수신회로 개발)

  • Ryu, Sang-M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10
    • /
    • pp.2373-2379
    • /
    • 2015
  • COMS(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the first Korean geostationary meteorological satellite, provides free meteorological information through HRIT/LRIT(High/Low Rate Information Transmission) service. This work presents the development of data receiver circuit that is essential to the implementation of a low-cost meteorological information receiver system. The data receiver circuit processes the data unit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physical layer and data link layer of HRIT/LRIT service. For this purpose, the circuit consists of a Viterbi decoder, a sync. word detector, a derandomizer, a Reed-Solomon decoder and so on. The circuit also supports PCI express interface to pass the information data on to the host PC. The circuit was implemented on an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nd its function was verified through simulations and hardware implementation.

Comparative Studies on Heating and Cooling Loads' of a Building Varied by Annual Weather Data (연도별 기상데이터를 활용한 건물의 냉.난방부하 특성 비교)

  • Lee, Ji-Hoon;Hwang, Kwang-Il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5 no.3
    • /
    • pp.265-27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a building's heating and cooling loads depending on the weather variation. Followings are the results.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speeds of standard year are bigger than those of 2006~2009. The 2006~2009's total horizontal solar irradiance is greater than that of standard year, and the direct solar irradiance of standard year is bigger in winter and vice versa in summer. As results of simulation on heating and cooling loads,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bilateral influences between maximum thermal loads and annual's. The equivalent-time operating ratio(EOR) is defined on this study to estimate the differences between year and year, and the EOR of standard year shows low value comparing to 2006~2009 years'.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Health Index Monitoring System based on Open Hardware (오픈 하드웨어 기반 생활보건지수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구현에 관한 연구)

  • Lee, Do-Gyun;Kim, Minyoung;Cho, Jin-Hwan;Jang, Si-Woong;Jang,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409-412
    • /
    • 2019
  • 국내의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대기 오염에 관한 분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정부는 최근 IT 융합 기술의 발전에 따라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사물인터넷 기반 장치의 확산 및 고도화를 위한 기술 접목에 많은 지원과 관심을 보이며 기상청을 통해서는 국내 대기 오염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낮추기 위해 공공 데이터(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를 활용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기상청에서 운영되고 있는 장비들은 고가의 장비로써 비용 및 공간적 설치 제약이 따르며, 약 15km 범위를 한 개소로 담당하여 기상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 하드웨어 기반 소형 기상관측 장비를 활용한 기상지수 및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기상 계측이 필요한 지역의 작은 공간을 활용, 기상관측 장비를 통해 관측된 데이터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생활 기상지수 알고리즘을 토대로 해당 지역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여 사회적 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Introducing the service plan of meteorological disaster·green energy data through National Meteorological Disaster·Green Energy Big Data Center (국가 기상재해·그린에너지 빅데이터 센터를 통한 기상재해·그린에너지 데이터 서비스 방안 소개)

  • Jeung, Se Jin;Lim, Su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72-72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재해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은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기후도 동남아와 같은 아열대 기후로 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후변화 전망보고서에 따르면는 우리나라의 연 강우량이 현재(1,491mm)보다 약 11% 증가(1,658mm) 하고, 연평균기온이 현재 대비 2040년대 0.7℃, 2090년대 3.1℃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후변화에 의한 여름철 기온 상승과 겨울철 기온 하강은 에너지 소비량과 소비 패턴 변화를 유발하고 에너지 수요와 공급 불일치의 원인이 된다. 이에 정부에서는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화석연료 기반의 에너지 생산에서 그린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으로 전환이 효과적이라고 공표하였다. 이어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르 통한 도전과제를 제시하였으며, 기업 및 공공기관의 RE100참여를 확대하고 활용 가능한 유망 재생에너지원을 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팀은 국가 기상재해·그린에너지 빅데이터 센터를 설립하여 정부의 다양한 이행수단의 근거 데이터를 제공하고, 민·관에서 활용 할 수 있는 그린에너지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센터에서는 침수예측데이터, 풍력, 태양광, 소수력, 수열 잠재 에너지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으며, 각 데이터에 대한 활용 및 서비스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n Spectrum for COMS User Data (COMS 사용자 데이터의 스팩트럼 분석)

  • Park Durk-Jong;Koo In-Hoi;Ahn Sang-I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386-38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2008년에 발사예정인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사용자 데이터의 스팩트럼에 대해 분석한 내용이 작성 되어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통신해양기상위성에 탑재되어 있는 기상탑재체로부터 얻은 데이터에 대해 각각 radiometric과 geometric correction을 수행 후 만들어지게 된다.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형태는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양과 전송시간으로부터 계산된 전송율에 따라 각각 HRIT (High Rate Information Transmission)와 LRIT (Low Rate Information Transmission)으로 나누어진다. 이들 데이터는 각각 QPSK (Quad-Phase Shift Keying), BPSK (Bi-Phase Shift Keying)로 변조된 후에 S-Band로 위성에서 수신한 후 별도의 데이터처리에 대한 과정이 없이 바로 L-Band로 송신하여 수신기를 갖춘 일반 사용자에게 영상 및 각종 기상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HRIT와 LRIT의 변조 및 신호 생성 그리고 현재 기본적으로 기상위성의 수신기로써 사용되는 장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처리시스템을 고려하여 구축한 후 실제 데이터수신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사용자 주파수의 간격에 대해서는 각각의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처리하는데 상호간의 간섭에 대한 영향은 무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