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상현상번호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Model Performance based on Observation Methods using Naked-eye and Visibility-meter (머신러닝을 이용한 안개 예측 시 목측과 시정계 계측 방법에 따른 모델 성능 차이 비교)

  • Changhyoun Park;Soon-hwan Le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4 no.2
    • /
    • pp.105-118
    • /
    • 2023
  • In this study, we predicted the presence of fog with a one-hour delay using the XGBoost DART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Andong, which had the highest occurrence of fog among inland stations from 2016 to 2020. We used six datasets: meteorological data, agricultural observation data, additional derived data, and their expanded data. The weather phenomenon numbers obtained through naked-eye observations and the visibility distances measured by visibility meters were classified as fog [1] or no-fog [0]. We set up twelve machine learning modeling experiments and used data from 2021 for model validation. We mainly evaluated model performance using recall and AUC-ROC, considering the harmful effects of fog on society and local communities. The combination of oversampled meteorological data features and the target induced by weather phenomenon numbers showed the best performance. This resul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naked-eye observations in predicting fog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Prediction of water level in sewer pipes using LSTM algorithm (LSTM 알고리즘을 활용한 하수관로 수위 예측)

  • Lim, Heesung;An, Hyunuk;Lee, Hyojin;Song, Inhyeok;Lee, Y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17-117
    • /
    • 2022
  • 범지구적인 기후변화로 인하여 도시유역의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기상이변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시지역의 침수 등의 자연재해 증가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수도의 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면 문제가 없지만 이상기후로 인한 기록적인 폭우에 의해 침수가 발생하고 있다. 홍수 및 집중호우와 같은 극치사상의 발생빈도가 증가됨에 따라 강우사상의 변동에 따른 하수관로의 수위를 예측하고 침수에 대해 대처하기 위해 과거 수위에 따른 수위 예측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에서 제공하는 서울시 하수관로 수위 현황 자료를 활용하여 하수관로 수위 예측을 확인해 보았다. 대상자료는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위치한 하수관로 수위 자료로,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에서 제공하고 있는 2012년 ~ 2020년 25개 구 데이터 중 가장 누락데이터가 적은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수관로 수위 예측에는 딥러닝 알고리즘RNN-LSTM 알고리즘을 활용하였으며, RNN-LSTM 알고리즘은 하천의 수위 예측에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 바 있다. 하수관로 수위 예측에 앞서 1분 단위로 수집된 수위 데이터를 5분 평균, 5분 스킵자료, 10분 평균, 10분 스킵 등 비교를 위해 데이터를 구분하여 학습에 활용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해 하수관로 수위값 변동이 심한 1주일을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는Google에서 개발한 딥러닝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인 텐서플로우를 활용하였으며, 하수관로 수위 고유번호 25-0001을 대상으로 예측을 하였다. 학습에는 2012년 ~ 2018년의 하수관로 수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모형의 검증을 위해 결정계수(R squar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