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상조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9초

2018년 태풍 콩레이에 대한 폭풍해일과 파랑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Storm Surge and Wave due to Typhoon Kong-Rey of 2018)

  • 권갑근;조명환;윤성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252-261
    • /
    • 2020
  • 2018년 남해안에 내습한 태풍 콩레이에 의해 발생한 폭풍해일과 파랑을 일본 기상청의 기상자료인 JMA-MSM 기상 예보 자료를 이용하여 수치모의하고 남동 해안의 항만에서 관측된 폭풍해일 시계열 자료와 비교 검증하였다. 폭풍해일과 동시에 발생하는 파랑에 대해서는 국립해양조사원과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해상 파고부이 자료 및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관측한 연안 AWAC 파고계 자료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기상자료에 따른 폭풍해일과 파랑의 정밀도를 파악하기 위해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인 JTWC에서 제공하는 best track을 이용하여 생성된 기압장과 바람장을 이용한 수치모의를 수행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정도 높은 폭풍해일과 파랑을 추산하기 위해 신뢰도 높은 기상장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국지기상 모니터링을 위한 WSN 기반 필드서버 제작 (Design of WSN based Field Server for Local Weather Monitoring)

  • 안성모;김재경;유재호;정상중;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93-500
    • /
    • 2011
  • 최근 갑작스러운 국지성 기후변화나 기상악화로 인해 다양한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해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난피해의 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국지적지역에서의 돌발적인 기후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기존의 광역 기상예보시스템에 의해서는 어려움과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소규모 센서네트워크를 활용한 국지적 기상 모니터링에 관한 방법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4 기반의 신뢰성 있는 기상데이터의 계측과 모니터링을 위한 기상 필드서버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안된 기상 필드서버는 무선통신을 담당하는 센서노드와 온도, 습도, 조도, 이슬점, 기압, 수위 등의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기상센서보드로 구성되며, 이를 통합한 필드서버를 구축하여 국지적 기상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서버 PC에서는 각각의 기상관련 정보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국지적 지형이나 지역에서 갑작스러운 기후변화를 감지하고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여 국지성 재해로부터 피해를 예방하고자 하였다.

광환경과 기상조건에 따른 야간조도 영향 분석 (An Analysis for the Night illuminance Affected on Light Environments and Weather Conditions)

  • 이재원;박인춘;최철민;김영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32
    • /
    • 2016
  • This study deals with the light environments and weather conditions affecting to the night illuminance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experiment was executed to analyze the effects on the illuminance at separate sites(Gyeryong and Pilseung) considering the different light environments. The analysis was applied to illuminance measurement from the lightmeter, which was developed for the IYA(International Year of Astronomy) 2009, in order to observe the illuminance of areal networks. The weather observations, such as the cloud cover and visibility, were used to understand the quantitative influence of the illuminance to the selected sites. The results show that the illuminance measurem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data of the operational illuminance prediction model which simply applies extinction effect for the illuminance. It shows that these differences are caused by the light environments and weather conditions for each site.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night illuminance is the output of intera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for luminous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