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상기후정보

Search Result 51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ssessment of climate disaster vulnerability of Gangwon-do based on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 기반 강원도 기후 재난취약성 평가)

  • Lee, Hyeon Ji;Jeung, Se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35-335
    • /
    • 2022
  • 남한상세 기후변화 전망보고서(2021)는 2100년대 강원도 강수량이 현재보다 19% 증가하고, 평균기온이 현재보다 6.5℃ 상승할 것으로 공표했다. 강원도는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으로 분리돼 기후 차이가 분명하다. 기상청 ASOS 데이터(1986~2020)를 이용해 기후 특성을 확인한 결과 영동지역 강수량은 1,463mm, 평균기온은 10.5℃, 상대습도는 66%로 분석됐고, 영서지역 강수량은 1,307mm, 평균기온은 11℃, 상대습도는 68%로 분석됐다. 영동지역 강수량이 영서지역 강수량보다 약 156mm 더 많으며, 이는 영동지역에서 큰 규모의 우심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강원도 평년 우심 피해 현황을 살펴본 결과 영동지역은 5회(피해액: 62억 원), 영서지역은 24회(피해액: 62억원)가 발생했다. 이는 미래로 갈수록 더 심해질 것으로 판단되며, 이런 기상 재난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원도 기후 재난취약성을 평가했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 위험성, 기후변화 민감도,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표를 활용해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선정했다. 기후변화 위험성 지표는 홍수(CWD, Rx5day, R30mm), 가뭄(CDD, SU, TX90p), 폭염(SU, TR, TN90p), 한파(ID, TX10p, FD)로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ETCCDI 지수에 적용했다. 기후변화 민감도와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표는 국가통계포털, 강원통계정보, WAMIS에서 자료를 수집해 선정했다. 또한 재난취약성 지표를 4단계(Very Low, Low, High, Very High)로 구분했다. 홍수 취약성 평가 결과 2090년대 원주시, 춘천시, 횡성군이 Low에서 Very High로 단계가 격상됐다. 가뭄 취약성 평가 결과 2090년대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이 Very Low에서 Very High로 단계가 격상됐다. 폭염 취약성 평가 결과 2090년대 삼척시, 태백시, 영월군이 Very Low에서 Very High로 단계가 격상됐다. 한파 취약성 평가 결과 삼척시, 태백시, 영월군이 High에서 Very Low로 단계가 격하됐다. 고로 강원도는 기후 재난취약성 평가 결과에 따른 미래 기후변화를 대비하고,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복원력 관점 기후 재난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Using spatial data and crop growth modeling to predict performance of South Korean rice varieties grown in western coastal plains in North Korea III. Evaluation of site-specific adaptability of South Korean cultivars (공간정보와 생육모의에 의한 남한 벼 품종의 북한 서부지대 적응성 예측 III. 품종별 지역적응성 평가)

  • 한상욱;김희동;김영호;정유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73-76
    • /
    • 2002
  • 남한 벼 품종들의 북한 서부지역 적응성을 평가하고자 11개 품종의 유전적 특성을 갖도록 모수가 조정된 벼 생육모형 CERES-rice를, 선행연구에 의해 생성된 496개 재배구역별 일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30년 간씩 구동함으로써 각 재배구역의 품종별 기후학적 적응성을 평가하였다.(중략)

  • PDF

Changing Trends of Climatic Variables of Agro-Climatic Zones of Rice in South Korea (벼 작물 농업기후지대의 연대별 기후요소 변화 특성)

  • Jung, Myung-Pyo;Shim, Kyo-Moon;Kim, Yongseok;Kim, Seok-Cheol;So, Kyu-Ho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5 no.1
    • /
    • pp.13-19
    • /
    • 2014
  • In the past, Korea agro-climatic zone except Jeju-do was classified into nineteen based on rice culture by using air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unshine duration etc. during rice growing periods. It has been used for selecting safety zone of rice cultivation and countermeasures to meteorological disasters. In this study, the climatic variables such as air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unshine duration of twenty agro-climatic zones including Jeju-do were compared decennially (1970's, 1980's, 1990's, and 2000's). The meteorological data were obtained in Meteorological Information Portal Service System-Disaster Preventio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temperature of 1970s, 1980s, 1990s, and 2000s were $12.0{\pm}0.14^{\circ}C$, $11.9{\pm}0.13^{\circ}C$, $12.2{\pm}0.14^{\circ}C$, and $12.6{\pm}0.13^{\circ}C$, respectively. The precipitation of 1970s, 1980s, 1990s, and 2000s were $1,270.3{\pm}20.05mm$, $1,343.0{\pm}26.01mm$, $1,350.6{\pm}27.13mm$, and $1,416.8{\pm}24.87mm$, respectively. And the sunshine duration of 1970s, 1980s, 1990s, and 2000s were $421.7{\pm}18.37hours$, $2,352.4{\pm}15.01hours$, $2,196.3{\pm}12.32hours$, and $2,146.8{\pm}15.37hours$,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in Middle-Inland zone ($+1.2^{\circ}C$) and Eastern-Southern zone ($+1.1^{\circ}C$) remarkably increased. The temperature increased most in Taebak highly Cold zone ($+364mm$) and Taebak moderately Cold Zone ($+326mm$). The sunshine duration decreased most in Middle-Inland Zone (-995 hours). The temperature (F=2.708, df=3, p= 0.046) and precipitation (F=5.037, df=3, p=0.002) increased significantly among seasons while the sunshine du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F=26.181, df=3, p<0.0001) among seasons. In further study, it will need to reclassify agro-climatic zone of rice and it will need to conduct studies on safe cropping season, growth and developing of rice, and cultivation management system etc. based on reclassified agro-climatic zone.

Utilization Evaluation of Numerical forest Soil Map to Predict the Weather in Upland Crops (밭작물 농업기상을 위한 수치형 산림입지토양도 활용성 평가)

  • Kang, Dayoung;Hwang, Yeongeun;Yoon, Sanghoo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3 no.1
    • /
    • pp.34-45
    • /
    • 2021
  • Weather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as it affects the price, production, and quality of crops. Upland crops are directly expos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because they are mainly grown in mountainous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ccurate weather for upland crop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12 forest soil factors to interpolate the weather in mountainous areas. The daily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were collec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between January 2009 and December 2018. The Generalized Additive Model (GAM), Kriging, and Random Forest (RF) were considered to interpolate. For evaluating the interpolation performance, automatic weather stations were used as training data and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s were used as test data for cross-validation. Unfortunately, the forest soil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to interpolate the weather in the mountainous areas. GAM with only geography aspects showed that it can interpolate well in terms of root mean squared error and mean absolute error. The significance of the factors was tested at the 5% significance level in GAM, and the climate zone code (CLZN_CD) and soil water code B (SIBFLR_LAR) were identified as relatively important factors. It has shown that CLZN_CD could help to interpolate the daily average and minimum daily temperature for upland crops.

Analysis of Climate Change Sensitivity of Forest Ecosystem using MODIS Imagery and Climate Information (MODIS NDVI 및 기후정보 활용 산림생태계의 기후변화 민감성 분석)

  • SONG, Bong-Geun;PARK, Kyung-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3
    • /
    • pp.1-1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nsitivity of forest ecosystem to climate change using spatial analysis methods focused on 6 national parks. To analyze, we constructed MODIS NDVI and temperature of Korea Meteorologic Administration based on 1km spatial resolution and 16 days. And we conducted time-serie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MODIS NDVI and temperature. A most sensitive region to climate change is Jirisa National Park(r=0.434) and Seoraksan National Park(r=0.415), there is the highest mea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sensitivity of forest ecosystem varied according to habitat characteristics and forest types in national park. In Abies koreana of Hallsan Nation Park, temperature has raised, but NDVI has decreased. these results will be based data of climate change adaption policy for protecting forest ecosystem.

Development of Climate Analysis Seoul(CAS) Maps Based on Landuse and Meteorogical Model (토지이용도와 기상모델을 이용한 서울기후분석(CAS)지도 개발)

  • Yi, Chae-Yeon;Eum, Jeong-Hee;Choi, Young-Jean;Kim, Kyu-Rang;Scherer, Dieter;Fehrenbach, Ute;Kim, Geun-Ho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1
    • /
    • pp.12-25
    • /
    • 2011
  • It is needed to preserve good effects and to prevent bad influences on local climate in urban and environmental planning. This study seeks to develop climate analysis maps to provide realistic information considering local air temperature and wind flows. Quantitative analyses are conducted by CAS for the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stagnation of cold air, wind flow and thermal conditions by incorporating GIS analysis on land cover and elevation and meteorological analysis from MetPhoMod - a mesoscale weather model. The CAS helps The easier analysis and assessment of urban development on local climate. It will contribute to the better life of the people in cities by providing better understanding of the local climate to the urban space planners.

Utilization Evaluation of Water Level Data for Agricultural Reservoir Flood Analysis (저수지 홍수분석을 위한 저수위 자료의 활용성 평가)

  • Lee, Jaenam;Shin, Hyungjin;Lee, Jaeju;Kang, M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83-383
    • /
    • 2019
  • 우리나라는 전국에 약 17,500여개의 크고 작은 농업용저수지가 있으며, 이 중 약 89%는 설치된 지 40년이 지나 노후화가 이뤄지고 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 영향으로 홍수피해가 대형화되고 있어 농촌지역의 홍수재해 발생시 저수지 하류부의 인명피해 및 농경지 침수피해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업용저수지의 효율적인 물관리 및 재해방지를 위해 자동수위계측기를 활용한 실시간 저수위 자료를 구축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피해를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거 홍수사상에 대한 저수지 모델링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농촌지역 풍수해 방지를 위한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하게 된다. 기상예측정보의 활용에 앞서 농업용저수지의 홍수모의가 과거 수문사상을 현실적으로 재현하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홍수분석의 검정자료인 저수위 자료에 대한 활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대상저수지는 ${{\circ}{\circ}}$농촌용수구역 내 위치한 ${{\circ}{\circ}}$저수지로 하고, 10분 단위의 저수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도별 원시자료에 대한 결측, 불량자료, 이상치 등을 검토하고, 그 결과에 대한 유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과거 홍수사상에 대한 농업용저수지 홍수모의 분석 및 검정을 통해 강우레이더 등 기상예측정보 기반의 농촌지역 홍수피해 산정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Wind Road Analysis System Using GIS (GIS를 활용한 바람길 분석시스템)

  • Park, Tae-Og;Kim, Nam-Mi;Kim, Kyung-Jong;Kim, Do-H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98-103
    • /
    • 2003
  • 환경이 하나의 도시계획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후요소인 바람을 도시계획시 고려하여, 기존의 도시계획과는 다른 관점을 제시해 주는 분석시스템이다. 기상자료 및 해당 도면의 속성자료를 토대로 GRID분석과 Kriging보간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대상지역의 온도분포 및 바람흐름, 바람통로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기후지도를 이용하여 주요 바람길을 파악할 수 있으며 대상지내 신선한 공기가 시작되는 녹지들을 추출하여 녹지계획의 핵으로 정한다. 녹지의 핵으로부터 각각의 녹지로 연결되는 바랑의 길을 분석하여 도시계획업무추진 시 바랑통로가 단절된 곳이나 단절된 계획이 있는 곳을 파악한다. 그리고 바람통로를 위해서 보존할 곳과 올바른 바람을 유도할 곳 등을 생성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열섬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대구시를 대상지로 정하여 Landsat TM영상을 활용 도시의 열섬현상을 분석하고 시스템을 통해 제작된 기후지도를 활용한 열섬 현상 저감방안도 모색하였다.

  • PDF

A Hydrometeorological Time Series Analysis of Geum River Watershed with GIS Data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GIS 자료 기반의 금강유역 수문기상시계열 특성 분석)

  • Park, Jin-Hyeog;Lee, Geun-Sang;Yang, Jeong-Seok;Kim, Sea-Wo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3
    • /
    • pp.39-50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climate change effects by performing several statistical analyses with hydrometeorological data sets for past 30 years in Geum river watershed. Temperature, precipitation, relative humidity data sets were collected from eight observation stations for 37 years(1973~2009) in Geum river watershed. River level data was collected from Gongju and Gyuam gauge stations for 36 years(1973~2008) considering rating curve credibility problems and future long-term runoff modeling. Annual and seasonal year-to-year variation of hydrometeorological component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The results show precipitation has the strongest variability. Run test, Turning point test, and Anderson Exact test were performed to check if there is randomness in the data set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have randomness and relative humidity and river level data have regularity. Groundwater level data has both aspects(randomness and regularity). Linear regression and Mann-Kendal test were performed for trend test. Temperature is increasing yearly and seasonally and precipitation is increasing in summer. Relative humidity is obviously decrea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future water resources management technique development plan.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and Land use change on Water Resources in Han River (기후변화와 토지피복변화를 고려한 한강 유역의 수자원 영향 평가)

  • Kim, Byung-Sik;Kim, Bo-Kyung;Kwon, Hyun-Han;Yoon, Seo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29-933
    • /
    • 2009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IPCC(2001)는 "기후변화"라는 요소가 기온 증가, 강우강도 및 빈도 변화와 이들로 인한 증발산의 변화, 유출량의 시 공간적 변동을 초래하여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 및 안정적인 공급에 어려움을 증대시킬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미래 기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IPCC 권장 시나리오인 SRES(Special Report in Emission Scenario)기반의 GCM(General Circulation Model)과 RCM(Regional Circulation Model)을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고해상도 자료를 생산함으로써 국부지역에 대한 지형학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RCM 모형을 이용한 연구가 국외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권현한 등, 2008). 본 연구에서는 미래 한강 유역의 수자원 변동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CA-Markov Chain 기법으로부터 토지이용변화를, 기온과 강수자료을 독립변수로 이용한 다중 회귀식으로부터 미래 NDVI를 추정하고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RegCM3-지역지후모형으로부터 축소기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KMA RCM 50set 기후변화시나리오를 SLURP 모형에 입력하였다. 2001년부터 2090년까지 총 90년에 대한 한강 유역의 미래 유출모의를 실시한 후 각 댐별 과거와 미래 유출량을 월별로 비교하고 이들의 유황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