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상감시

Search Result 254,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Evaluation of Land Surface Model Ensemble GLDAS for drought monitoring (가뭄감시를 위한 지면모델 앙상블 GLDAS의 활용성 평가)

  • Park, Junehyeong;Kim, Moon-Hyun;Park, Hyang Suk;Kim, Yeon-Hee;Kim, Baek-J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27-227
    • /
    • 2016
  • 일반적으로 가뭄은 신뢰성 높고 활용이 쉬운 강수량 자료를 활용하여 판단되고 있으나, 복합적인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증발산량, 토양수분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수문기상정보들은 관측자료의 자료 확보기간이 통계 분석을 하기에 짧거나, 시공간적 대표성 부족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면모델이 대안으로 널리 활용중이나, 이를 실제로 가뭄에 활용한 응용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NASA의 전지구지표자료동화체계 GLDAS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산출물을 활용하여 지면모델 기반의 수문기상정보를 국내 가뭄감시 연구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LDAS 프로젝트를 통해 제공되는 다중모델 기반의 증발산량, 토양수분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가뭄판단 지수에 적용하여 성능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GLDAS 산출 정보가 가뭄판단에 있어 발휘하는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본원에서 구축할 지면 모델 앙상블 시스템의 가뭄감시정보 산출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 PDF

Introduction of Hydrometeorological Drought Monitoring System (수문기상 가뭄정보 시스템 소개)

  • Kim, Min Ji;Oh, Tae Suk;Kang, Hye Young;Baek, Moonhee;Park, Cheol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17-317
    • /
    • 2019
  • 기상청에서는 시스템 이용자의 편의와 자료의 활용 증진을 위해 분리되어 있던 수문기상과 가뭄정보를 하나로 통합하여 '수문기상 가뭄정보 시스템(https://hydro.kma.go.kr)을 2017년 8월 1일부터 운영하고 있다. 본 시스템은 일반국민과 물관리 유관기관(회원)을 대상으로 관측, 수문기상 감시 예측, 기상 가뭄분석 전망으로 나눠 정보를 생산하여 서비스가 제공하고 있다. 수문기상 서비스는 관측 강수량(기상청, 유관기관), 기상청 위성 토양수분량 및 증발산량 자료와 레이더 관측 자료(Radar AWS Rainrate, RAR)를 GIS 기반 유역단위별(4대강권, 대권역, 중권역, 표준유역단위)로 관측 정보를 제공하며, UM(3km), 멀티모델앙상블, 레이더(MAPLE), 유역강수지수자료들로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메타정보를 통해 유역별, 관측소별 상세조회가 가능하여 원하는 유역 또는 관측소를 선택 시 GIS지도에 위치가 표시되며 선택 지점의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가뭄 정보는 기상 가뭄 예보 정보와 가뭄 감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기상 가뭄 예보 정보는 매주 금요일에 발표되고 있는 기상 가뭄 예보 1개월 전망과 매월 10일경 관계부처(행정안전부, 기상청,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합동으로 발표하고 있는 가뭄 예 경보 3개월 전망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GIS 기반 행정구역 및 유역별로 나눠 여러 가지 가뭄지수(표준강수지수, 표준강수증발산지수, 강수평년비, 유효가뭄지수)를 활용하여 기상 가뭄 감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가뭄 감시 현황 정보는 다양한 형태(시계열, 가뭄지수 조회 및 다운로드, 분포도 비교)로도 확인할 수 있으며, 강수량분석 통계(누적 강수량, 강수량 순위, 무강수일수) 정보를 제공한다. 그 밖에 관측 자료(강수량 분포도, 토양수분량, 증발산량 등), 월별 언론모니터링 자료 등을 제공하고 있다. 향후 수문기상과 가뭄 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안정적인 물관리를 지원하고 자료의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제고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수문기상 가뭄정보 시스템으로 거듭나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다.

  • PDF

군 우주기상 지원을 위한 기반 연구

  • Choe, Ho-Seong;Jo, Gyeong-Seok;Kim, Yeon-Han;Lee, Jae-Jin;Gwak, Yeong-Sil;Hwang, Jeong-A;Choe, Seong-Hwan;Jo, Il-Hyeon;Park, Yeong-Deuk;O, Su-Yeon;Jo, Jeong-Won;Lee, Bong-U;Kim, Bom-Si-Nae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25.5-26
    • /
    • 2009
  • 인류의 활동 무대가 우주공간으로 확대됨으로써 우주기상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조치가 요구됨에 따라 우주기상에 대한 감시 및 예 경보 업무가 필요해 졌다. 미국은 이미 우주기상 감시와 예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해양대기청(NOAA), 미 공군(USAF), 항공우주국(NASA), 내무부(DOI), 에너지부(DOE), 과학재단(NSF)이 연합하여 1996년 국가우주기상 프로그램(National Space Weather Program)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특히 정부연구 기관인 NOAA 산하 우주기상예보센터(Space Weather Prediction Center; SWPC)와 미 공군 기상국(AFWA)은 우주기상 자료 생산, 수집, 자료 센터 운용, 연구 지원 및 예 경보 업무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관련 자료 및 정보의 교환 등 매우 밀접하게 상호협력하고 있다. 최근 정부는 과학기술 7대 중점투자 분야별 중점육성후보기술로서 우주감시체계개발기술을 포함한 국가과학기술기본계획(577전략)을 수립 발표하였으며, 대한민국 공군은 향후 우주군 창설을 목표로 우주전력 기반체계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국방부는 2012년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에 대비한 독자적인 작전지휘능력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며, 미래의 한국군 독자적 네트웍 중심 전장(NCW: Network Central Warfare)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미 공군의 "우주기상작전센터"와 같은 우주기상 예 경보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군의 독자적 우주작전능력 확보를 위한 우주기상 예 경보 체계 구축 방향을 제시하고자 사전기반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내용으로 우주기상에 대한 개요 및 우주기상의 변화에 따른 국내외 영향을 조사하고 국내외 우주기상 예 경보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미공군의 우주기상 활용 상태를 점검하여 한국 공군을 위한 우주기상 예 경보 체계 구축 및 인력과 기술 확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ion concentration at Korean rural area. (우리 나라 청정 지역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농도 특성)

  • 차주완;윤용훈;최재천;김정식;방소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320-321
    • /
    • 2000
  • 기상청 기상연구소에서는 기후변화 및 대기질 감시를 위한 충남 안면도(위도36$^{\circ}$.32', 경도 126$^{\circ}$.19')에 지구대기감시관측소를 설치하여 상시적으로 우리나라 청정지역에 대한 대기질을 관측하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청정대기지역에서 대기질 특성을 관측함으로서 도시 지역과 차이를 밝혀 우리나라 청정지역에서의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변화를 항상 모니터링하고 또한 도시 기후의 변화를 감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 하고자한다. (중략)

  • PDF

기상 이변 감시의 첨병, 통신해양기상위성 개발 사업

  • 최성봉
    • Aerospace Industry
    • /
    • s.87
    • /
    • pp.18-21
    • /
    • 2005
  • 과학 기술의 발전은 인류문명을 크게 발전시켰지만 수천, 수만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자연재해는 해가 갈수록 늘어만 가고 우리는 그 앞에 무릎 꿇어야 하는 운명을 맞이하고 있다. ''재앙''이라고 까지 불리우는 자연재해는 예방과 예보가 가장 중요할 수밖에 없는데 그로 인해 세계 각국의 통신해양기상위성 기술은 날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본격적인 통신해양기상위성 개발 사업에 착수했다.

  • PDF

통합관리시스템 운영개선방안

  • Kim, Dong-Tae;Kim, Hak-Seok;Yu, Sa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10-313
    • /
    • 2013
  • 서남해 해역의 집약관리시스템, 기상신호표지시스템, 원격감시제어시스템 등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관리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대책을 마련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PDF

A Case Study of High Concentration and Seasonal Characterization of Atmospheric $CO_2$ measured at Anmyon-Island. (안면도에서 측정된 $CO_2$농도의 계절적 특성 및 고농도 사례 연구)

  • 김정식;최재천;윤용훈;차주완;방소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231-232
    • /
    • 2000
  •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gation : WMO)에서는 추진하고 있는 지구대기감시(Global Atmosphere Watch : GAW)계획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기상청에서는 안면도 위치한 기존의 배경대기관측소를 2000년 8월부터 지구대기감시관측소로 개칭하고 업무의 추진을 강화하고 있으며 온실기체는 CFCs, CH$_4$, $N_2$O의 경우 1998년 4월부터, $CO_2$는 8월부터 연속 관측을 실시하고있다. (중략)

  • PDF

System Networking for the Monitoring and Analysis of Local Climatic Information in Alpine Area (강원고랭지 농업기상 감시 및 분석시스템 구축)

  • 안재훈;김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01.06a
    • /
    • pp.61-64
    • /
    • 2001
  • 대관령 인근 고랭지는 표고가 높아 여름철에도 서늘하여 오래 전부터 씨감자와 호냉성원예작물의 주산지로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저온기후자원을 이용하여 농업활동이 이루어지는 고랭지는 산지의 특이한 지형조건 때문에 날씨변화가 심하고 이에 따른 작물피해가 잦다. 기상청 자동기상관 측장치(automated weather station : AWS)가 일부 지점에 설치되어 있으나 기온과 바람 강우량만이 관측되고 있어 농업적인 이용에는 한계가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