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본생명소생술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응급 의료 정보-성인 심폐 소생술(1)

  • 이동필
    • 건강소식
    • /
    • 제22권6호통권235호
    • /
    • pp.24-26
    • /
    • 1998
  • 응급의학은 여러 가지 질환이나 외상, 사고 등의 원인으로 생명이 위독한 상태에 있는 긴급한 사람을 신속히 진단하고 치료하는것이 주 역할이나, 때로는 사람이 사망하였을경우 이를 다시 살리는 이른바 심폐소생술을 시행함으로써 죽은 사람을 살리는 일도 취급한다. 이러한 행위를 심폐소생술이라 일컫는 이유는, 사람이 죽으면 심장이 멎고 폐를 통한 호흡이 중단되므로 호흡과 심장박동을 인위적으로 다시 소생시켜 주는 시술이기 때문이다. 심폐소생술에는 기본심폐소생술과 전문심폐소생술로 구분한다.

  • PDF

기본인명구조술(1)-심폐소생술

  • 이희택
    • 건강소식
    • /
    • 제31권10호통권347호
    • /
    • pp.32-33
    • /
    • 2007
  • 기본인명구조술은 의식이 없는 환자를 발견한 후 구조를 요청하고 기도유지, 구조호흡, 흉부압박을 시행하는 심폐 소생술의 초기단계이다. 이번 호에는 심정지가 의심되는 환자를 발견하였을 때의 행동요령과 심폐소생술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심정지의 발생은 예측이 불가능하며 심정지가 발생한 후 4~6분이 경과하면 치명적인 뇌손상이 발생하므로 환자가 발생한 현장에서부터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함으로써 폐와 심장의 기능을 유지하고, 뇌의 생리학적 사망을 연장시켜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환자발견 현장에서 빠른 시간 내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응급의료 선진국에서는 현장에서의 빠른 응급처치로 인해 20%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4%에 불과하다.

  • PDF

진정법을 준비하는 치과의사의 자격요건 : 기본생명구조술과 전문심장구조술 (The Qualification of Dentist for Sedation : BLS and ACLS)

  • 김종빈;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0-86
    • /
    • 2015
  • 진정법을 시행하는 치과의사는 반드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환경을 갖추어야 한다. 2010년 치의학회에서 발간한 진정법 가이드라인에서 진정법을 준비하고 책임지는 치과의사는 기본생명구조술과 전문심장구조술 자격을 유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한심폐소생협회가 2004년부터 기본생명구조술 및 전문심장구조술을 위한 Provider, Instructor 양성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저자는2014년에 이 과정들을 이수하면서 과정에 대한 소개와 경험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기존 교육이 응급의료를 담당하는 사람들에게 초점이 맞추어 졌기에, 향후 치과의사의 특수성에 보다 적합한 교육 과정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자기효능 증진 기본생명소생술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심정지 고위험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 (Evaluation of a Self-efficacy-based Basic Life Support Program for High-risk Patients' Family Caregivers)

  • 강경희;이인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81-1090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Self-efficacy-based Basic Life Support (SEBLS) program for high-risk patients' family caregivers on cardiac arrest. The SEBLS program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Bandura's self-efficacy resources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Liaison Committee on Resuscitation's '2000 Guidelines for CPR and ECC'. Method: The effect of the SEBLS program on emergency response self-efficacy and emergency response behavior such as BLS(Basic Life Support) knowledge and BLS skill performance was measured by a simulat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subjects were38 high-risk patients' family caregivers(20 experimental subjects and 18 control subjects) whose family patients were admitted to a general hospital in Incheon, Korea. Result: 1. Emergency response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EBLS program than in the control subjects. (t=8.3102, p=0.0001). 2. For emergency response behavior, BLS knowledge (t=5.6941, p=0.0001) and BLS skill performance (t=27.8281, p=0.0001)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al subjects than in control subjects. Conclusion: A SEBLS program can increase emergency response self-efficacy and emergency response behavior, and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high-risk patient's family caregivers. Long-term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lasting effects of the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