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둥축소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초

기둥축소량 보정을 위한 기둥의 최적그루핑기법 (The Optimal Column Grouping Technique for the Compensation of Column Shortening)

  • 김영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141-14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기둥축소량 보정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유사한 축소 경향을 보이는 기둥들을 동일 그룹으로 묶는 기둥의 최적그루핑기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기둥의 최적그루핑은 무감독학습에 의해 입력데이타의 패턴을 스스로 분류할 수 있는 코호넨의 자기조직화 형상지도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코호넨 네트워크는 두 개의 입력뉴런과 분류할 기둥그룹 개수만큼의 출력뉴런으로 구성된다. 입력뉴런에는 기둥축소량의 정규화된 평균과 표준편차가 입력되며, 출력뉴런에는 각 기둥이 속하게 될 기둥그룹이 출력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실제 축소량 해석이 수행된 두 개의 건물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적용결과 동일 그룹으로 분류된 기둥들은 서로 인접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기둥그룹끼리는 교차하지 않는 등 유사한 축소 경향을 보였다. 이로부터 본 연구의 기둥축소량의 최적그루핑 알고리즘은 충분한 실무적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고층 건물의 기둥축소와 지진하중에 대한 구조적 영향 (A Column Shortening on High-Rise Building and Structural Effect under seismic load)

  • 정은호;김희철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59-68
    • /
    • 1997
  • 대도시에서 초고층 건물의 필요성은 구조 기술자에게 새로운 문제를 안겨주었다. 기둥축소의 효과는 설계 및 시공에 있어 특별한 주의를 요구한다. 기둥의 축소는 칸막이, 마감, 그리고 설비체계와 같이 수직하중을 지탱하도록 고려되어 있지 않은 비구조적인 요소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각 기둥의 축소량 차이는 주위의 슬래브 및 보와 같은 부재들을 경사지게 한다. 축소량을 예측하는 목적은 부등 축소량의 차이를 미리 보정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부동 축소량에 의한 주구조부재의 영향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자중으로 인해 초지 수직변위를 갖는 52층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지진하중을 적용하여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각 수직구조요소에 대한 축소량은 전산화된 기둥축소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예측되었으며 지진하중으로 인한 축소량이 보정된 구조물과 보정되지 않은 구조물 사이의 응력을 조사하였다.

  • PDF

초고층 내력벽식 구조물의 기둥축소량에 대한 확률론적 예측 및 현장계측 (Probabilistic Prediction and Field Measurement of Column Shortening for Tall Building with Bearing Wall System)

  • 송화철;윤광섭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01-108
    • /
    • 2006
  • 초고층건물에서 발생하는 부등축소량은 기둥과 코어를 연결하는 보와 슬래브에서의 부가응력을 유발하거나 파티션과 커튼월의 균열과 같은 문제 등을 유발하므로, 부등축소량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둥축소량의 예측 및 보정이 정확히 이루어져야 하며, 구조안전성과 사용성의 관점에서 시간변화에 따른 초고층건물 기둥축소량의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기둥축소량에 영향을 주는 콘크리트의 재료물성치 중 콘크리트강도, 크리프계수, 건조수축계수 등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확률론적 해석을 이용한 기둥축소량 예측을 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41층 초고층 내력벽식 구조물을 예제로 하여 몬테카를로 기법을 이용한 확률론적 축소량을 구하고 축소량의 분포도를 조사하여 신뢰수준별 기둥축소량을 분석하였다. 초고층 내력벽식 구조물예제에서 현장계측된 변형값은 해석에 의한 결과값보다 전체적으로 작으며, 확률론적으로 신뢰구간 ${\mu}-1.645{\sigma}$(신뢰수준 90.0% 하한치)이내의 값을 나타내었다.

아웃리거에 의한 부등기둥축소 감소효과 (Reduction of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 due to outrigger)

  • 신승학;김한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149-150
    • /
    • 2010
  • 본 연구는 구조물의 부등기둥축소를 감소시키기 위한 최적의 아웃리거 설치위치를 제안한다. 부등기둥축소를 줄이기 위한 아웃리거의 최적위치는 아웃리거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 가장 큰 부등기둥축소를 보이는 위치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몬테카를로 기법을 이용한 CFT 기둥축소량의 예측 (Column Shortening Prediction of Concrete Filled Tubes using Monte Carlo Method)

  • 장승우;송화철;소광호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75-84
    • /
    • 2010
  • CIT 기둥의 장기거동에 관한 기존의 연구과 실험자료에 의하면 크리프 및 건조수축계수는 외부 강관의 구속효과에 의하여 철근콘크리트 기둥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이 큰 콘크리트 강도와 특정크리프값과 작용하중을 매개변수로 하여 37층 건물의 CFT 기둥에 대한 확률론적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매개변수의 특성을 분석하고 CFT 기둥의 축소량 해석값의 예측범위를 정량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CFT 기둥축소량의 확률론적 해석을 위한 몬테카를로 (Monte Carlo) 기법을 소개하며 다중매개변수를 동시에 적용하여 매개변수의 변동에 따른 축소량의 영향을 분석하고 신뢰지수별 변동폭을 산정하였다.

  • PDF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철근의 노출길이와 수직하중에 따른 발파공수와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Correlativity with the Number of Blasting Holes Due to Exposed Length of Steel Bars and Vertical Load on Scaled Reinforced Concrete Columns)

  • 박훈;유지완;이희광;송정언;김승곤
    • 화약ㆍ발파
    • /
    • 제25권2호
    • /
    • pp.1-1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1/5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이용하여 철근의 노출길이 및 수직하중과 발파공수와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수직하중을 재하하여 철근의 노출 길이와 발파공수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또한 발파된 축소모형 기둥의 무게와 철근이 노출된 축소모형 기둥의 무게를 발파공수와 비교하였다.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시험결과로부터 철근의 노출길이 및 수직하중을 바탕으로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발파공수를 산정할 수 있으며, 이를 축소모형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례를 통한 초고층 건물 기둥의 부등축소량 예측 및 시공오차 보정

  • 송진규
    • 전산구조공학
    • /
    • 제10권1호
    • /
    • pp.62-69
    • /
    • 1997
  • 본 고에서는 고층건물의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의 진행에 따른 기둥의 (장기)변형을 정확히 예측하고 이를 시공중에 보정하도록 함으로써 비구조요소의 강도와 사용을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론은 실험적 통계치를 기초로 한 약산해법으로서 실무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52층 RC 건물에 대한 적용 결과 기둥에 발생하는 축소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탄성변형이며, 건조수축의 효과가 가장 미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년 이상의 장기 변형이 지속될 경우 크립변형의 영향이 탄성변형에 비해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층의 RC건물인 경우 기둥간 부등축소량의 최대치(=최대 시공오차)는 중간층 근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고층 건물에서 철골철근콘크리트(SRC) 기둥의 축소량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Shortening for Steel-Reinforced Concrete(SRC) Column in the High-Rise Buildings)

  • 정은호;김점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36-42
    • /
    • 2004
  • 철골철근콘크리트(SRC)가 초고층 건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SRC 구조부재에 대해 축소량 예측을 위한 도구는 철근콘크리트에 대한 재료적인 특성만으로 구성된 이론식을 적용하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고층 건물의 기둥 축소량을 계산하는 기존의 방법에 대해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의 진행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SRC 구조부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초고층 건물의 기둥축소에 대한 실측자료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는 전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RC 구조부재에 대해 기둥 축소량을 계산하였다. 끝으로 측정자료와 해석자료를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측정자료와 해석자료는 매우 근사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기존의 방법은 SRC 구조부재를 사용하는 초고층 건물의 기둥 축소량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될 것으로 사료된다.

평균을 이용한 고층건물의 부등 축소량 보정기법 (Average Correction for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

  • 박성우;최세운;박효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588-591
    • /
    • 2010
  • 건물의 수직부재는 시공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축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기둥축소 현상이라고 부르며 원인으로는 탄성, 비탄성, 환경적 요인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각 수직 부재에 걸리는 하중의 종류와 크기, 그리고 처한 환경 등이 다르므로 부재별로 축소량에 차이가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건물은 여러 가지 피해를 입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부재인 기둥과 전단벽의 축소량을 예측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예측된 축소량을 보정하는 기법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되었던 기존의 부등 축소량 보정 기법의 한계에 대하여 지적하고 새로운 보정기법인 평균을 이용한 부등축소량 보정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보정기법의 효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같은 예제에 대하여 기존의 방법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한 결과들을 비교, 정리하였다.

  • PDF

초고층 건물에서 콘크리트의 장기거동이 부재내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ng Term Deformation of Concrete on Internal Member Forces of Tall Buildings)

  • 신승학;김한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297-30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해석, 시공단계를 고려한 해석, 시공단계와 장기거동을 고려한 해석의 3가지 해석방법을 사용하여 수평부재의 설계에 적합한 해석방법을 제안하였다. 80층의 2D 구조모델에 3가지 해석방법을 적용하여 각 해석방법에 따라 부등축소량, 수직부재에 작용하는 축력, 수평부재의 단부에 작용하는 내력의 해석결과를 얻어 비교하였다. 또한 부재의 내부에서 철근과 콘크리트의 하중분담율의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을 알아보았다. 해석결과 시공단계에 의한 영향은 수평부재에 작용하는 축력과 부등축소량 예측, 부재 내력 해석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장기거동의 효과는 기둥축소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만 수직부재의 축력, 수평부재의 내력에는 변형만큼의 영향은 보이지 않는다. 시공시의 보정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장기거동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지만 부재의 단면설계의 목적으로는 제외되어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