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도협착

Search Result 10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폐쇄성 기도질환(1)

  • 심영수
    • 보건세계
    • /
    • v.43 no.12 s.484
    • /
    • pp.4-9
    • /
    • 1996
  • 기도가 협착되어서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만성폐쇄성질환, 기관지천식 등이 있으며, 기침, 가래, 호흡곤란(숨참)등이 주요 증상인데 비의료인에게는 해소천식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기침 가래가 나오고 숨이차면 해소천식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이 만큼 오용되고 남용되는 단어는 드물 것이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해수(해소의 원명)는 기침을 말하는데 해는 가래가 없이 소리가 심한 경우이고 수는 가래를 주로하는 기침을 말하며 16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천식은 숨이 찬 증상을 말하는 것으로 8가지 종류로 구분되어 있다. 따라서 해소천식은 기침가래가 나오고 숨이 찬 증상을 말하는 것으로 특정질환을 말하는 병명이 아니다. 비의료인이 말하는 천식의 경우에는 숨이 찬 증상을 말하는 것이고 의료인이 천식이라고 할 경우에는 특정 기도질환인 기관지 천식을 말하는 것이므로 서로 오해하기가 쉽다. 실제로 일간지 건강상식란에 천식을 소개하였는데 의사는 병명으로서의 기관지천식을 설명하였고 동참한 한의사는 증상으로서의 천식을 설명하여 혼란을 일으켰던 예가 있었다. 한의학에서는 예전에 기관지천식은 효천(孝喘)이라고 부르고 천식의 증상이 심하고 위중한 상황일 때에는 천급(喘急)이라고 하여 한의학에서도 구별하였는데 도리어 현대에 와서 정확성이 없어지고 모호해진 이유는 무엇일지 궁금하다. 폐쇄성기도질환은 기도가 좁아지는 기전과 기도폐쇄의 가역성(기도가 정상으로 회복되는지)여부에 다라서 가역성폐쇄질환인 기관지천식과 비가역적인 만성폐쇄성기도질환으로 구분하고 있다.

  • PDF

Extended Sleeve Lobectomy for Tuberculous Bronchial Stenosis - A case report- (결핵성 기관지 협착에 대한 확대 소매 폐엽절제술 - 1예 보고 -)

  • Kim, Dae-Hyun;Kwak, Young-Tae;Choi, Cheon-Woong;Yoo, Ji-H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43 no.6
    • /
    • pp.793-796
    • /
    • 2010
  • Tuberculosis involving the central airway occasionally results in diffuse stenosis in the distal trachea and main bronchus. When the stenosis is more limited to the main bronchus, sleeve resection can be performed with high likelihood of a good result. Bronchial stenosis limited to 2 cm is considered favorable for bronchial sleeve resection. However, a longsegment stenosis may make sleeve resection difficult or impossible, and pneumonectomy or therapeutic bronchoscopy may be performed. An extended sleeve lobectomy is a procedure to remove more than one lobe using a bronchoplasty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s to the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lung cancer were reported. We performed an extended sleeve lobectomy in a patient with tuberculous bronchial stenosis involving the right main bronchus, bronchus intermedius, right middle lobar bronchus and right lower lobar bronchus, and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s.

Treatment of Potassium Titanyl Phosphate Laser and Radiation Therapv for Tracheal Stenosis (기관 협착에서 레이저와 방사선 치료의 적용)

  • 김광택;김맹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0 no.12
    • /
    • pp.1237-1241
    • /
    • 1997
  • Tracheal stenosis is a difficult disease entity to manage. Laser ablation is one effective treatment for treacheal stenosis and can be utilized if tracheal reconstructive surgery is impossible. Potassium titanyl phosphate laser, transmitted via flexible quartz fiber, can be precisely manipulated through flexible bronchoscope under local anesthesia. We treated 7 patients with trach al and broncheal lesion under local anesthesia with KTP laser from January 1995 to July 1996. The patients included three males and four females. The age of patients ranged from 22 to 66 years with a mean of 43.7 years The etiology of tracheal stenosis in patients was stenosis after tracheostomy(3 cases), prolong inturbation in cases of sepsis(1 cases), and the recurrence of lung cancer within endobronchial lesion(2 cases). In the cases of tracheal stenosis treated with laser ablation, there were 2 cases of recurrence of stenosis at the anastomosis site after the operation, 3 cases of stenosis at tracheostomy site, and 2 cases of local recurrence of lung cancer. The site of the tracheal stenosis was the balloon site of the tracheostomy tube(3-4cm inferior to the tracheostomy site, 2-3cm superior to the carina) and the anastomosis site that were narrowed to less than 5mm(4 cases). For the stenosis lesion in the endobronchial area, there were 2 patients with a lesion at the anterior wa l, 1 patient with a lesion at the posterior wall, 2 patients with circumferential stenosis. Laser ablation time was 25.4 $\pm$5.9min and used energy was 1768 $\pm$365J. We have used KTP laser via (lexible bronchoscope without major complications. Adjuvant radiation therapy may prevent fibroblast proliferation which leads to restenosis. In three patients of restenosis after laser ablation, adjuvant irradiation started within 4 hours after laser ablation, and the radiation doses were 1500cGy given in five fraction. In patients with adjuvant radiation therapy, stenosis has not recurred

  • PDF

Reconstruction of a Large Cricotracheal Defect Using a Sternocleidomastoid Myoperiosteal Flap : A Case of Locally Aggressive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ith Tracheal Invasion (갑상선 수술 후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한 큰 기도 결손부 재건 1예)

  • Kim, Sang Min;Kim, Mi Ra;Kim, Yong-Wan;Baek, Moo Jin;Park, Jun-Ook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1 no.1
    • /
    • pp.18-21
    • /
    • 2015
  • 기관을 침범한 갑상선 악성종양을 제거한 후에 성문하부에 비교적 큰 기관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 단단문합술은 넓은 부위의 결손부를 재건하는 방법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문합부 파열, 반회후두신경마비, 재협착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증례는 기도를 침범한 갑상선 유두암종을 제거한 후 윤상연골과 기관연골의 비교적 큰 결손부를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재건한 사례이다. 55세 남자 환자가 기도를 침범한 갑상선 유두상암으로 내원하였으며 기도침범은 윤상연골(둘레의 약 30%)과 4개의 기관연골(둘레의 약 50%)을 해당하는 넓은 부위였다. 수술 전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여 주위 기관연골의 상태가 좋지 않아 단단문합술 시행 후 문합부 파열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하여 재건하기로 계획하였다. 갑상선 절제술, 경부림프절 절제술,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12일째 별다른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현재 22개월 간 기도 협착 등의 별다른 합병증 없이 지내고 있다. 흉쇄유돌근 근골막피판은 성문하부나 기관지 전외측벽의 비교적 큰 결손부를 재건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A CLINICAL STUDY ON TRACHEAL STENOSIS (기관협착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 정무권;조진생;안회영;차창일;유세영;박주철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7.05a
    • /
    • pp.13.1-13
    • /
    • 1987
  • 저자들은 1984년 12월 17일부터 1987년 2월 26일까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이비인후과 및 흉부외과에서 경험한 9례의 기관협착증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고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 및 성별분포는 여자 3례, 남자 6례이었고, 10세이하 3례, 10대 2례, 20대 2례, 40대 이상이 2례 이었다. 2) 원인은 지속적 기관내삽입관에 의한 경우가 4례이었고 1례는 선천성 혈관기형인 double aortic arch에 의해 기관이 눌리어 기도협착증상이 있었던 경우이었다. 상기관절개술에 의한 경우가 2례, 경부외상 1례, 기관내 종양 2례이었다. 3) 협착부위의 길이는 1.5cm에서 2cm까지가 4례로 가장 많았고 3cm이내가 2례, 4cm이내 1례, 6cm이내 1례이었다. 4) 치료는 보존적인 방법으로 내시경하에서 육아조직 및 반흔조직을 laser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silastic stent 혹은 Montgomery T-tube 삽입후 4주에서 6주후 제거하여 치료한 경우가 2례이었고 협착부위절제 및 단단문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6례이었다. 1례에서는 aortic arch division을 시행하였다. 5) 예후는 9례중 단단문합술을 시행한 6례 그리고 보존적 방법으로 laser를 이용한 육아조직의 제거 및 지지물삽입을 시행한 3례에서 모두 현재까지 재발은 보이지 않고 있다. 6) 기관협착의 길이가 1.5cm에서 4cm까지의 경우에는 supralaryngeal release procedure없이 단단문합술을 시행하였고 협착길이가 6cm인 1례에서는 supralaryngeal release를 하여 tension없이 문합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 PDF

후두 및 기관협착증의 유발인자로서의 위산 및 펩신의 역할에 대한 실험적 연구

  • Cho, Jae-Sik;Kim, Pan-Soo;Cho, Won; Lee,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5.04a
    • /
    • pp.93.2-93
    • /
    • 1995
  • 후두 및 기관지 협착증은 대개가 기도확보를 목적으로 후두 및 기관내에 삽관을 시행하였을 때 삽관튜브에 부착된 cuff내에 압력이 높게 되면 점막에 혈류장애가 초래되고 궤양등의 점막손상이 뒤따르며 여기에 2차감염이 초래되어 육아종과 반흔이 생기면서 결국은 협착이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손상된 후두및 기관의 점막에 산도가 강하고 소화효소가 함유된 위액이 역류되어 접촉될 경우 협착이 더욱 조장되리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액이 과연 후두 및 기관지 협착증에 관여 한 것인지를 실험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가토를 대상으로 하여 Urethan마취를 시행하고, 삽관한 다음 합성위액 pH 1.5, 3, 5 짜리 용액을 기관 내에 1시간정도 관류시킨 다음 후두 및 기관을 적출하여 점막상태의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산도가 강하고 펩신이 첨가된 합성위액으로 관류한 군에서는 성모의 파괴점막의 궤양, 부종과 염증소견 등이 심하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산도가 약할수록, 그리고 펩신이 첨가되지 않은 합성위액으로 관류한 군에서는 섬모 및 점막의 손상이나 염증 및 부종등의 소견이 경미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강한 산도의 위액이 후두 및 기관으로 역류될 경우 협착증의 발생에 깊이 관여하리라고 추측되었다.

  • PDF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ereign Bodies in the Food and air Passages (식도 및 기도이물의 임상통계학적 고찰)

  • 정해영;권평중;박성준;민양기;김중환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8.06a
    • /
    • pp.4.1-4
    • /
    • 1978
  • The foreign bodies in the food and air passages a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field of otolaryngology, and the foreign bodies in the air passages have much significance in clinical practice because they may cause sudden death. A statistical study was done on 95 cases of foreign bodies in the food and air passages who had visite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hung-Ang university from June, 1968 to April, 197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otal cases of foreign bodies in the food and air passages was 95; 89 cases (93.7%) were in the food passage and the remaining (6.3%) were in the air passage. The ratio between the food passage and air passage was about 14. 8 to 1.0. 2. In distribution by sex, 64 cases (67.4%) were in male patients and the remaining 31 cases (32.6%) were in female patients. The ratio between male and female was 2.1 to 1.0. 3. The kinds of foreign bodies in the food in the order of their frequency, were coin, gogame stone and pebble. In the air passages, the peanut and bean were most frequently found. 4. In distribution by age, 64 cases (67.4%) of all foreign bodies were found in children under 5 year old, and coin was the most common kind of foreign body. Except for meat, almost all of foreign bodies were found in children under 10 year old. 5. There was chronologically no significant tendency in incidence; the incidence, however, had decreased during recent 2 years. 6. In the location of foreign bodies in the food passage, 70 cases (78.7%) were found at the first esophageal narrowing. Meat was more frequently found at second esophageal narrowing associated with cicatrical stenosis. Almost all of foreign bodies in the air passage was found in bronchi; 3 cases were in the right side of bronchi, and 2 cases were in the left side of bronchi and 1 case was in glottic region. 7. In duration of lodgement, 50 cases (52.6%) visited our hospital within 24 hours, and 3 cases after 30 days. 8. Under topical anesthesia, 83 cases (93.3%) of the foreign bodies in the food passage were removed by esophagoscopy, by 6 cases (6.7%) failed to be removed. All of the foreign bodies of the air passages (6 cases) were removed by bronchoscopy. Among them, 5 cases under 5 years old were removed by inferior bronchoscopy through tracheostomy si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