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대가설

Search Result 49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Empirical Study on Expectations Hypothesis of the Term Structure of Implied Volatility in Kospi 200 Options Market (KOSPI 200 주가지수옵션시장에서 내재변동성 기간구조의 기대가설검정에 관한 연구)

  • Kang, Byung-Young;Min, Kyung-Tae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2 no.2
    • /
    • pp.91-105
    • /
    • 2005
  • Using Campa and Chang's Expectations Hypothesis model, We test the expectations hypothesis in the term structure of volatilities in options on KOSPI 200 by using daily dosing prices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3. In particular, it addresses whether long-dated volatilities are consistent with expected future short-dated volatilities, assuming rational expectation. Our results do not support the expectations hypothesis : long-term volatilities rise relative to short-term volatilities, but the increases are not matched as predicted by the expectations hypothesis. In addition, an increase in the current long-term volatilities relative to the current short-term volatilities is followed by at a random.

  • PDF

금융자산(金融資産) 수익률(收益率)과 기대(期待)인플레이션 - 한국금융시장(韓國金融市場)의 실증연구(實證硏究) -

  • Yu, Il-Seo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0 no.2
    • /
    • pp.137-159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금융자산, 특히 회사채와 주식이 인플레이션과 관련하여 어떠한 행태를 보이는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본다. 1976년부터 1992년까지의 기간중 채권 및 주식수익률에 피서가설이 성립하는가의 여부, 주식수익률과 기대인플레이션과 관련된 Fama의 허구성가설 및 Geske & Roll의 역인과성가설 등을 공적분관계검정 및 VAR모형의 예측오차 분산분해등을 통하여 포괄적으로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하였다. 첫째, 단순정태회귀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금융시장에서 주식이나 채권이 기대된 인플레이션이나 예상치 못했던 인플레이션에 대해 얼마나 인플레이션방어수단으로 유효한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회사채수익률의 경우 피서가설의 성립을 기각하기 어려웠다. 반면, 주식의 경우에는 피서가설이 성립될 수 없음은 물론이고, 대부분의 선진국가들처럼 기대인플레이션에 주식수익률이 만대방향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수익률을 설명하는 변수에 예상되는 산업생산증가나 통화량증가를 나타내는 변수들을 추가하여도 주식수익률과 기대인플레이션간의 부의 관계는 여전히 유의적인 것으로 남아있었다. 따라서 파마의 주식수익률과 기대인플레이션간의 허위관계가설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순정태분석에서 활용된 여러 회귀식들이 가성적회귀관계(假性的回歸關係)를 나타내는 경우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적분관계가 형성되는지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회사채수익률과 인플레이션은 공적분관계가설이 기각되지 않았으나, 주식수익률과 기대인플레이션간에는 공적분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공적분관계에 입각하여 오차수정모형을 추정한 결과, 회사채수익률의 변화는 단기적인 인플레이션의 동태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주지만, 기대인플레이션 및 예상산업생산증가률의 변화는 주식실질수익률의 단기적 동해예측에 개별적으로는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여러 변수들의 관계를 사전적으로 설정하지 않고 VAR 모형의 오차분해를 통하여 인과관제를 분석한 결과, 주식수익률과 기대인플레이션이 허구적(虛構的)인 관계가 아님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주식수익률변동은 예상산업생산증가에 의하여 어느정도 설명이 가능하고 대부분의 경제변수에 대하여는 외생적인 성격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어서, 기대인플레이션과의 인과관계에 있어서도 선행적인 위치를 지지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Expectation Change of Economic Subjects in Stock Market - Focusing on Effect of Change in Money Supply Before and After a Currency Crisis- (주식시장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기대 변화에 관한 연구 - 외환위기 전후의 통화량 변화의 영향을 중심으로 -)

  • Kim, Ji-Yeol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1 no.1
    • /
    • pp.125-148
    • /
    • 2004
  •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oney supply and the stock market. However, unlike past works, it has employed a rational expectation hypothesis and an efficient market hypothesis drawn from new classical macroeconomics and new Keynesian macro-economics, respectively. Accordingly, hypothesis 1 states that if economic subjects have rational expectation, they will immediately respond to a change in money supply. On the other hand, hypothesis 2 supposes that the expectation of economic subjects has changed after the currency crisis. This paper has first identified unit root by using the augmented Dickey-Fuller test and the Phillips-Perron test, then testing both hypotheses by employing the Johansen Procedure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for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a currency crisis.

  • PDF

An Analysis on LVC-G COTS Software Development Requirements Expectation Gap (LVC-G COTS SW 개발 기대격차 분석)

  • Choi, June-Sung;Kook, Kwang-H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5C
    • /
    • pp.365-375
    • /
    • 2012
  • LVC-G COTS SW are widely used for the military training due to several advantages. Accordingly, LVC-G COTS SW domestic developments are in demand. In this study, there are the four hypotheses in the gap between users and developers and establish the hypotheses are all correct. The first hypothesis "LVC-G associated with the COTS SW between users and developers about the requirements for the performance gap is expected.", the second hypothesis, "LVC-G associated with between users and developers for COTS SW technology gap is expected for the elements. ", the third hypothesis" LVC-G associated with the COTS SW development costs between users and developers about the expectations gap is about. ", the fourth hypothesis" LVC for COTS SW-G and related skill levels between users and developers are excited about the gap ". Every hypothesis were confirmed to be valid by interview and survey.

기술수용모형과 기술 사용자수용의 통합이론을 이용한 공공부문 BSC시스템 수용에 관한 연구

  • Gwon, Oh-Jun;Oh, Jae-In;Seo, Hyeon-Sik;Choi, Hyeong-Seop;Im, Gyo-Hyeon;Yang, Han-J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680-688
    • /
    • 2008
  • 본 연구는 최근 공공부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성과 관리시스템을 수용하는데 있어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분석으로 검증하기 위한 연구 이다. 정보시스템 형태로 구현된 BSC(Balanced Scorecard)기반의 성과관리시스템을 수용대상으로 하고 있어 Davis(1986)의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기본 틀로 Venkatech et al.(2003)의 UTAUT(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를 접목하여 연구모형으로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BSC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 중인 공공부문 기관(회사)을 대상으로 251부의 유효표본을 확보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경로분석을 통한 가설검정 결과 13개의 가설 중 9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교육훈련, 정보시스템 지원, 최고경영자지원, 개인의 혁신성은 노력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용 자들이 새로운 기술 수용에 있어서 보다 쉽게 사용 할 것으로 기대하는데 교육훈련, 정보시스템 지원, 최고경영자지원 등 조직차원의 다양한 지원과 사용자 개인의 혁신성이 요구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성과에 대한 기대의 경로분석 결과 BSC시스템 수용 요인들 중에서 최고경영자지원과 개인의 혁신성만이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부문의 실제 BSC시스템 구축에 대한 사례연구들에서도 지적된 사항이기도 하다. 한편, 노력에 대한 기대는 성과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TAM 관련연구들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공공부문 BSC시스템 수용에 있어서도 노력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성과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을 보여준다.

  • PDF

The Mutual Effect of Expectancy-Disconfirm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Shopping Mall and Tenant (쇼핑몰과 테넌트간 기대-불일치 및 고객만족의 상호 영향)

  • Park, Jin-Yong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13 no.2
    • /
    • pp.79-95
    • /
    • 2008
  •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opping mall and tenant store. Although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hopping mall in Korea, there are few academic and professional interests. Therefore, adopting expectancy-disconfirmation paradigm,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ructs of expectation, performance, disconfirmati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shopping mall and tenant store in each context. The research model also considered the mutual effect of these constructs between shopping mall and tenant store as positing the path between them. Hence, main hypotheses we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ways from the constructs of shopping mall to tenant store's and vice versa. Then, three hypotheses exploring the direction of customer's evaluation shopping mall and tenant were also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From the result of 461 mall-intercept survey, almost hypotheses were supported as expected. In the explorative approach to find direction, the path from disconfirma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tenant to disconfirma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shopping mall were supported. In addition, the path from satisfaction with shopping mall to re-visit intention of tenant store was also accepted.

  • PDF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m-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UTAUT (UTAUT에 기반한 m-learning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Song, Hyung-Cheo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7
    • /
    • pp.123-129
    • /
    • 2018
  • This study aims m-learning based on UTAUT and learners' satisfaction For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289 university students and SPSS 22.0, AMOS 21.0 were used. The result of structu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expectancy was influenced by security, diversity, economics. Second,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ffect learners' satisfaction. This research provide practical guidance in m-learning based on UTAUT amd the limltation of this research and future study are discussed. In the future, variables of m-learning based on UTAUT including the general public besides university students will be complement to analyze.

항공사-여행사 관계에서 수요환경 및 영향전략에 관한 연구

  • 박진용;김성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a
    • /
    • pp.189-213
    • /
    • 2003
  • 본 연구는 최근 수요환경의 변화를 겪고 있는 항공사-여행사 관계를 중심으로 영향력 관계, 거래 집중화, 영향전략 등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항공권 판매 시장의 수요환경은 최종고객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 변화는 항공사 유통역량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항공사의 낮아진 영향력은 여행사의 거래 집중화 경향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수립하였다. 추가하여 최종고객 중심의 수요환경 변화가 경로 구성원 상호 영향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설을 수립하였다. 즉 영향력 관계가 비대칭적인 상황에서도 수요환경이 최종고객 중심으로 전개된다면 항공사의 영향전략에 대해서 여행사는 동일한 영향전략을 수행한다는 가설을 수려하였다. 그리고 항공사의 영향력과 여행사의 거래 집중화 관계에 경로 내 영향전략 유형에 따른 조절 효과를 가설화 하였다. 결과는 대체로 기대했던 가설이 채택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강압적 전략의 사용과 관련된 두 가지 가설은 기각되었다.

  • PDF

Risk Aversion in Forward Foreign Currency Markets (선도환시장(先渡換市場)에서의 위험회피도(危險回避度)에 관한 연구(硏究))

  • Jang, Ik-Hwa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8 no.1
    • /
    • pp.179-197
    • /
    • 1991
  • 선도환의 가격을 결정하는 접근방법에는 2차자산(derivative assets)이라는 선도계약의 기본특성에 기초한 재정거래(arbitrage)에 의한 방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재정거래방식에는 선도환과 현물외환가격간의 상호관련성에 의하여 선도환가격을 이자율평가설(covered interest rate parity : CIRP), 즉 현물가격과 양국간의 이자율차이의 합으로 표시하고 있다. 특히 현물가격과 이자율은 모두 현재시점에서 의사결정자에게 알려져 있기때문에 선도환가격은 확실성하에서 결정되어 미래에 대한 예측이나 투자자의 위험회피도와는 관계없이 결정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자율평가설에 관한 많은 실증연구는 거래 비용을 고려한 경우 현실적으로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Frenkel and Levich ; 1975, 1977). 다른 방법으로는 선도환의 미래예측기능에만 촛점을 맞추어 가격결정을 하는 투기, 예측접근방법(speculative efficiency approach : 이하에서는 SEA라 함)이 있다. 이 방법 중에서 가장 단순한 형태로 표시된 가설, 즉 '선도환가격은 미래기대현물가격과 같다'는 가설은 대부분의 실증분석에서 기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SEA에서는 선도환가격이 미래에 대한 기대치뿐만 아니라 위험프리미엄까지 함께 포함하고 있다는 새로운 가설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한다. 이 가설은 이론적 모형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특히 기대치와 위험프레미엄 모두가 측정 불가능하다는 점으로 인하여 실증분석상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피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에서는 이자율평가설을 이용하여 선도환가격에 포함된 위험프레미엄에 대해 추론 내지 그 행태를 설명하려고 한다. 이자율평가설을 이용하여 분석모형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하는 것은 몇가지 근본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먼저,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이자율평가설을 가정한다는 것은 SEA에서 주된 관심이 되는 미래예측이나 위험프레미엄과는 관계없이 선도가격이 결정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자율평가설을 가정하여 설정된 분석모형은 선도환시장의 효율성이나 균형가격결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가정한 시장효율성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다시 검증하려는 것과 같다. 이러한 개념적 차원에서의 문제점 이외에도 실증분석에서의 추정상의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현물자산의 균형가격결정모형에 이자율평가설을 추가로 결합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으로 설정한 분석모형은 그 기초가 되는 현물가격모형과는 달리 자의적 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를 이용한 모수의 추정은 불필요한 편기(bias)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증분석상의 편기에 관한 문제점이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Mark(1985)의 실증연구를 재분석하고 실증자료를 통하여 위험회피도의 추정치에 편기가 발생하는 근본원인이 이자율평가설을 부적절하게 사용하는데 있다는 것을 확인 하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는 본문의 <표 1>에 제시되어 있으며 그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실증분석모형 : 본 연구에서는 다기간 자산가격결정모형중에서 대표적인 Lucas (1978)모형을 직접 사용한다. $$1={\beta}\;E_t[\frac{U'(C_{t+1})\;P_t\;s_{t+1}}{U'(C_t)\;P_{t+1}\;s_t}]$$ (2) $U'(c_t)$$P_t$는 t시점에서의 소비에 대한 한계효용과 소비재의 가격을, $s_t$$f_t$는 외환의 현물과 선도가격을, $E_t$${\beta}$는 조건부 기대치와 시간할인계수를 나타낸다. Mark는 위의 식 (2)를 이자율평가설과 결합한 다음의 모형 (4)를 사용한다. $$0=E_t[\frac{U'(C_{t+1})\;P_t\;(s_{t+1}-f_t)}{U'(C_t)\;P_{t+1}\;s_t}]$$ (4) (B) 실증분석의 결과 위험회피계수 ${\gamma}$의 추정치 : Mark의 경우에는 ${\gamma}$의 추정치의 값이 0에서 50.38까지 매우 큰 폭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특히 비내구성제품의 소비량과 선도프레미엄을 사용한 경우 ${\gamma}$의 추정치의 값은 17.51로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추정치가 1.3으로 주식시장자료를 사용한 다른 연구결과와 비슷한 수준이다. ${\gamma}$추정치의 정확도 : Mark에서는 추정치의 표준오차가 최소 15.65에서 최대 42.43으로 매우 높은 반면 본 연구에서는 0.3에서 0.5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매우 정확한 추정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모형의 정확도 : 모형 (4)에 대한 적합도 검증은 시용된 도구변수(instrumental variables)의 종류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 시차변수(lagged variables)를 사용하지 않고 현재소비와 선도프레미엄만을 사용할 경우 모형 (4)는 2.8% 또는 2.3% 유의수준에서 기각되는 반면 모형 (2)는 5% 유의수준에서 기각되지 않는다. 위와같은 실증분석의 결과는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이자율평가설을 사용하여 균형자산가격 결정모형을 변형시킴으로써 불필요한 편기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 PDF

장단기(長短期) 부채구조(負債構造)와 보통주(普通株) 수익률(收益率)의 연관성(聯關性)에 관한 연구(硏究)

  • Choi, Yong-Si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0 no.1
    • /
    • pp.141-159
    • /
    • 1993
  • 기업의 자본구조관리는 재무레버리지와 부채의 만기구조에 관한 결정에 달려있다. Modigliani-Miller(MM)이후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재무레버리지효과에 대해서만 분석을 시도하였을 뿐 부채의 만기구조효과에 대한 분석은 미진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부채의 만기구조가 보통주의 기대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검증가능한 가설을 도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MM의 가정과 장단기부채에 관한 가정을 기초로 부채의 만기구조가 짧아지면 보통주의 기대수익률이 상승한다는 가설을 유도한다. 미국기업을 표본으로 한 회귀분석 결과는 주어진 총부채비율하에서 단기부채의 의존도가 보통주의 기대수익률과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부채의 만기구조효과는 기존의 기업규모효과 (size effect)를 통제하여도 그 결과가 변하지 않는 독립된 현상으로 파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