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능성 소화불량증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6초

기능성 소화불량증 (Functional Dyspepsia)

  • 송경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1호
    • /
    • pp.3-8
    • /
    • 2016
  •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우리나라 성인인구의 7.7%가 이환되어 있는 흔한 소화기 기능성질환이다. 주요 증상은 불편한 식후 충만감, 조기 포만감, 상복부 통증, 상복부 쓰림이다. 이런 증상들이 증상을 설명할 만한 기질적인 문제 없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대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다른 소화기 기능성질환(위식도역류질환, 과민성 장증후군, 변비)과 공존할 때 더욱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다른 소화기 기능성질환과의 공존을 '중복 증후군'으로 칭한다. 중복 증후군 환자에서 불안, 신체화장애, 불면 등의 정신건강의학적인 문제가 보다 흔히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진료의는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다른 소화기 기능성질환이 공존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기저 정신건강의학적 문제를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위약효과는 40% 안팎으로 매우 큰 편이며, 위약대비 효과가 증명된 위장관 운동촉진제는 네 가지이다. 간혹 이러한 위장관 운동 촉진제의 장기간 투약은 비가역적이거나 치명적인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처방의사는 위장관 운동촉진제의 가능한 부작용과 연관된 위험인자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병적 위산역류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드물지 않으며, 위산분비억제제는 많은 부분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위장관 운동촉진제 만큼 효과적이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심리특성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 김진성;배대석;이광헌;서정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244-254
    • /
    • 1999
  • 1998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영남대학교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을 내원한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90명의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신과 외래 환자 64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다면적 인성검사와 질병행동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면적 인성검사를 통한 비교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군과 정신과 외래환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유사한 성적분포를 보였다. 양군에서 건강염려증, 우울증, 히스테리 척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질병행동 설문지를 통한 비교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군이 정신과 외래환자군보다 질병집착심과 정서적 혼란 소척도에서 성적이 낮게 나왔으며, 다른 소척도들은 비슷한 성적분포를 보였다. 다면적 인성검사 성적을 이용하여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를 중다변인 군집분석한 결과, 정신과 외래의 신경증환자와 같은 집단<집단 1>, 정상인과 같은 집단<집단 2>, 신경증적 경향이 심한 집단<집단 3>으로 나눌 수 있었다. 분류된 집단들 간의 다면적 인성검사 성적 비교에서, 신경증적 경향이 심한 집단<집단 3>은, 건강염려증, 우울증, 히스테리, 강박증, 정신분열증 등의 소척도 점수가 높게 나왔다(P<.05). 신경증적인 경향이 심한 집단<집단 3>의 질병행동 설문지 결과를 보면 다른 집단들과 정서적 억압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 즉, 건강염려증, 질병집착심, 심리적 대 신체적 관심, 정서적 혼란, 부정, 자극과민성 등의 척도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집단 3>처럼 심한 신경증적인 질병행동을 보이는 군은 정신의학적 접근이 도움을 줄 수 있는 집단이다.

  • PDF

한방치료가 위 미주신경 활성 저하와 유문부 기능 장애가 병발된 기능 소화불량중 환자에 미치는 선택적 효능 (A Selective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of Electroacupuncture at Zusanli(ST36), Manual Acupuncture, and Pyengwi-san in Function Dyspepsia Patients with Pyloric Valve Disturbance and Hypoactivity of Gastric Vagus Nerve)

  • 김소연;윤상협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1-199
    • /
    • 2009
  • 목 적 : 위 미주신경 활성 저하와 유문부 기능 장애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전침 및 한약의 복합처치 치료가 이 두가지 면에서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방 법 : 장음검사상 위 미주신경 활성 저하와 유문부 기능 장애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장음 지표 변화를 비교하였다. 장음지표는 % of bowel sound (%BS)와 주 주파수(dominant frequency, DF)를 사용하였으며, %BS(6인 경우를 위 미주신경 활성저하 DF ratio(식후/식 전)<1를 유문부 기능장애로 평가하였다. 환자들에게 2주간 족삼리전 침과 체침이 매일 시술되었으며 평위산 전탕액이 하루 3회 투여되었다. 결 과 : 2주간의 치료 후 DF ratio는 $0.93\pm0.06$에서 $1.06\pm0.04$으로 유의성있게 증가했으며, 10명 중 9명의 환자가 DF ratio>1의 정상치로 회복되었다. %BS 역시 $2.97\pm1.17%$에서 4.27%로 증가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3명의 환자에서 %BS가 6이상으로 정상회복되었다. 결 론 : 위 미주신경 활성 저하와 유문부 기능 장애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 대한 족삼리 전침과 일반 체침, 평위산의 치료는 미주신경 활성 저하보다는 유문부 기능 장애에 더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 PDF

소아의 만성 복통에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의 양상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children with chronic abdominal pain)

  • 엄지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7호
    • /
    • pp.655-659
    • /
    • 2007
  • 목 적 : 만성 복통으로 병원에 내원한 환아들에서 그 원인을 밝히고 Rome III 기준에 의해 진단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의 종류 및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노원 을지병원 소아과에 만성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1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 중 기질적 질환으로 진단된 경우가 20명(15.2%), 기능성 위장관 질환이었던 경우는 112명(84.8%)이었다. 기능성 위장관 질환은 기질적 질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여자에서 더 흔하게 나타났다. 기능성 위장관 질환 중에는 기능성 소화불량증(32.6%)과 과민성 장증후군(27.3%)이 가장 많았으며 2가지 종류 이상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으로 진단된 환아는 7명(5.3%) 이었다. 배꼽 주위 통증, 최근의 스트레스, 기능성 위장관 질환의 가족력, 아침 시간의 통증 등은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갖고 있는 환아 들에서 더 많이 호소하였고 야간 통증, 구토, 두통은 기질적 질환을 갖고 있는 환아 들에서 더 많이 호소하였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소아의 만성 복통의 대부분의 원인은 기능성 위장관 질환이며 특히 기능성 소화 불량증과 과민성 장증후군이 가장 많았다. 불필요한 검사를 하지 않고 효과적인 진단과 치료를 위해 신뢰성 있는 진단 기준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물모델을 이용한 MMSC(DL-Methionine Methylsulfonium Chloride)의 기능성소화불량증 개선효과 (The Improvement Effect of MMSC (DL-Methionine Methylsulfonium Chloride) in Functional Dyspepsia Animal Models)

  • 김재민;차명희;이돈행;이운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2076-2081
    • /
    • 2013
  • 본 연구는 cisplatin 및 atropine으로 유발된 기능성소화불량증 동물모델에서 MMSC의 위 배출능 및 위장관 전이 지연의 개선 효과를 연구한 후, 기능성소화불량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기능성소화불량은 뚜렷한 기질적 병변 없이 여러 가지 다양한 소화불량 증상에 의한 진단이기 때문에 치료 또한 단순하지가 않다. 대부분의 증상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음식, 스트레스 등에 의해 변화가 심하므로 임상적으로 효과 판정이 어렵고, 더욱이 위약만을 투여하더라도 증상의 호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어떠한 치료가 의미 있게 효과가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애로점이 많다. 이번 연구에 대조물질로 비교한 약물도 현재 사용되는 위장질환 치료물질로 위 배출능에서 시험물질보다 좋은 결과 값을 얻었지만, 위장관 전이 지연 개선 실험에서 시험물질 MMSC와 비교하였을 때 약물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MMSC를 투여한 그룹이 유발그룹에 비해 위 배출능 및 위장관의 전이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 시판되는 약물을 투여한 그룹보다는 그 비율이 다소 낮게 관찰되었지만 시판 약물의 고용량 투여와 비교하여 저용량의 MMSC에도 불구하고 위배출능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고용량의 MMSC투여 시 위 배출능의 개선 효과가 높게 관찰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어 향후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담즙 역류가 동반된 위 운동성 장애의 기능성 소화불량증에 대한 한방치료 경험 2례 (Two Cases of Korean Traditional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of Gastric Dysmotility Complicated by Bile Juice Reflux)

  • 윤상협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162-1171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herapeutic effects of a traditional Korean treatment on the symptom improvement and loss of bile juice in cases of functional dyspepsia of gastric dysmotility complicated by bile juice reflux. Methods: Dyspeptic symptoms, gastric motility (electrogastrography and bowel sound analysis), and gastric mucosa (gastroendoscopy) were evaluated. The treatment consisted of Banwhasashim-tang (extract) used as a herbal drug. Both ST36 electrical stimulation and simple immersion stimulation of CV11, 12, and 13 in the abdomen were also applied. Results: Dyspeptic symptoms, including a foreign body sensation in the throat, indigestion, and upper abdominal pain, were all relieved by the treatment and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and gastric pyloric function were improved. Bile juice disappeared from the gastric mucosa. Conclusion: The traditional Korean treatment was effective at relieving dyspeptic symptoms and bile juice reflux by improving the pyloric sphincter function.

기능성 소화불량증 (Functional Dyspepsia)

  • 이상인
    • 한국건강관리협회지
    • /
    • 제3권1호
    • /
    • pp.46-54
    • /
    • 2005
  • The functional dyspepsia is a complex disease reaction that ocurs due to the presence of various factors and its pathophysiology has not been clearly verified until now. This disease is diagnosed after the organic diseases are ruled out. Therefore, the main treatments are limited down to compensating for revealed symptoms through exercising the supportive care. The international prevalence of the functional dyspepsia under the Rome I criterior is approximately 25%. For the cases of Koreans, there are very omnifarious symptoms in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he medical vocabularies which describe the diagnostic standard are not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aily vocabularies, thus there would be a lot of restrictions to directly apply the Rome II criterior. However,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had decided to promote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ized Rome II criterior in order for Korea to be comparable to the clinical studies from the other nations. There should be more extensive studies to differentiate the definitions of symptom descriptions from Korea to foreign countries. The extended researches concerning the pathophysiology are highly recommended which in return, would help enabling the reliable treatment techniques for this disease.

  • PDF

기능성 소화불량증이 호전된 소양인 비수한표한병 환자 3례 보고 (A Clinical Case Report of Soyang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 오현주;홍승민;황민우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6-29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significant improvement of functional dyspepsia in 3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oyangin Spleen Cold-based Exterior Cold disease' and applied medication based on Sasang Constitutonal medicine.Methods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herbal medications, according to their own constitution. The objective outcome was measured by body composition analyzer and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GSRS), and the subjective sensation was assessed by using Visual Analogue Scale (VAS).Results The symptoms of functional dyspepsia improved remarkedly in all respects, without any side effects. Original symptoms also changed for the better.Conclusions This results show that it is available that functional dyspepsia is treated with medicine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기능성(機能性) 소화불량증(消化不良症) 환자(患者)의 식후(食後) 심하비만과 pyloric valve의 기능장애(機能障碍);장음과 위전도를 중심으로 (Postprandial Epigastric Fullness and Pyloric Valve Disturbanc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Analysis of Bowel Sounds and Electrogastrography)

  • 윤상협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69-778
    • /
    • 2007
  • Background & Object : Postprandial epigastric fullness is one of common symptoms in functional dyspepsia, but its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has still been unknown. In this study, its association between postprandial epigastric fullness and pyloric valve disturbance was studied through analysis of bowel sounds and electrogastrography. Methods : Bowel sounds and electrogastrography were recorded together for fasting 15 min and postprandial 40 min. Parameters of bowel soundincluding motility index, sound to sound interval, standard deviation of sound to sound interval, sounds per minute, % of bowel sound, sound length, intensity, dominant frequency of sounds, and postprandial / fasting ratio of dominant frequency of sounds were analyzed with a specialized program. By electrogastrography, regularity of slow waves and power ratio were obtained. Results : Significances of bowel sounds appeared in motility index (p=0.046), dominant frequency of fasting (p=0.048), postprandial (p=0.003), and the ratio of postprandial/fasting (p=0.000); those of EGG parameters were shown in postprandial regularity of slow waves (p=0.006) and power ratio (p=0.011). Conclusion : Pyloric valve disturbance was a cause of postprandial epigastric fullnes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Analysis of bowel sound might be useful in diagnosing its exist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