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능성식품

검색결과 3,593건 처리시간 0.026초

해양생물자원 분야의 기능성식품 연구 및 특허 현황

  • 도정룡;박덕천;이택견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23-124
    • /
    • 2003
  • 기능성 식품(physiologically functional food)은 식품의 영양적 기능(1차) 및 기호적 기능(2차)에 더하여 식품의 생체조절 기능(3차 기능)을 주 기능으로 하는 식품을 칭하는 것으로 일상적으로 섭취 가능한 식품으로서 신체방어, 신체리듬 조절 둥의 기능이 생체에서 충분히 발현될 수 있도록 설계된 식품이다. 식품이 나타낼 수 있는 생체조절 기능에는 항암, 혈압강하, 콜레스테롤저하, 혈전저해, 당뇨예방, 노화억제 둥 다양한 기능이 있으며 이에 따라 기능성 식품은 식품과학은 물론 의ㆍ약학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는 바 예방의학의 바탕이 되고 있다. (중략)

  • PDF

기능성 발효유식품의 표면디자인 연구 (Surface Design Research of Functional Fermented Milk Food)

  • 이종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163-171
    • /
    • 2005
  • 90년대 초부터 근래에 이르기까지 많은 식품회사들은 기존의 식품범주와 연계해서 각 제품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기능성 식품들을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소비자들의 의식도 건강과 장수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조금이라도 특정한 성분과 효능이 기대되는 기능성 식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기능성의 부여 여부가 신제품 개발 전략의 중요한 포인트(Point)가 되었다. 포장디자인도 이러한 기능성식품의 개발에 편승하여 기능성 제품의 특성과 정보를 일반 소비자에게 제대로 전달하고 강하게 부각시켜야 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능성식품의 일반적인 고찰과 함께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 마시는 발효유에 대하여 각 제품이 가지고 있는 기능적 특성과 이들의 표현 전략을 분석해 봄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기능성식품의 제품정보전달방법과 차별화전략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한다.

  • PDF

벤처트렌드 읽기-안심 식품 산업의 벤처 기술과 동향

  • 박형우
    • 벤처다이제스트
    • /
    • 통권118호
    • /
    • pp.16-19
    • /
    • 2008
  • 한국인들의 먹을거리 사랑, 특히 건강식에 대한 관심은 남다르다. 특히 최근 생활수준 향상과 일련의 식품 안전성 사고로 인해 안전한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 지고 있다. 이에 따라 웰빙식품, 슬로우푸드, 로하스 등 소비자욕구와 사회적 책임론에 따라 식품산업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기능성 식품이란 무엇일까? 이는 식품과 의약품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맛도 좋고 영양도 풍부하며 안전성도 뛰어난 것들이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 산업의 기술과 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 PDF

전통 콩식품의 발효기법에 따른 기능성 증진

  • 박석규
    • 한국생명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명과학회 2001년도 제32회 학술심포지움
    • /
    • pp.87-102
    • /
    • 2001
  • 콩관련 자연 발효식품의 기능성 증진은 품질 및 저장성을 증진시키는 방안, 자연 발효조건의 제조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식품 안전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생리활성 기능을 제고하는 방안 등이 있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국내외 연구결과는 대체로 주원료의 종류와 전처리 과정, 부원료의 첨가 및 배합비율, 발효균주의 종류와 첨가방법, 발효공정의 변화 등을 통하여 기능성 증진의 효과를 획득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표에서는 우리나라 콩 발효식품 중에서 전통메주와 검정콩 청국장에 한정하여 기능성 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몇 가지의 실험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