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능성소재

Search Result 2,05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ffect of Natural Functional Mixture on the Descent of Blood Glucose Level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type I) Rats(II) (Streptozotocin 유발 제1형 당뇨 쥐의 혈당강하에 대한 천연 기능성 소재 혼합물의 효과(II))

  • Son, Dong-Wha;Kim, Dae-Gon;Lee, Su-Jin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7 no.1
    • /
    • pp.238-247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atural functional mixture(FM) on plasma BUN and lipid levels, hepatic lipid levels,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plama aminotransferase activity in streptozotocin (STZ) induced diabe1ic rats. Total cholesterol (TC) level in the diabe1ic rats supplemented with FM(70.69 mg/dL) was reduced comparing to groups without FM(87.12 mg/dL). This results caused the increase of the ratio of HDL-cholesterol to TC (42.60 to 51.49 %). However, superoxide dismutase (SOD), cytosol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GSH and lipoperoxide (LPO)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which indicated the supplementation with FM could not reduce the oxidative stress in diabetic rats. In addition, asperate aminotransferase (AST) activity in FM-diabetic rat was lower than that in diabetic group. This results showed supplementation with FM in rats could improve the hepatic function damaged by STZ-induced diabetes.

  • PDF

함수특성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포름알데히드 제거)용 마감재

  • 김병곤;박종력;전호석;이재장;장동수;강병철;최정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372-374
    • /
    • 2004
  • 최근들어 비금속광물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한 활용분야가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판상광물은 차폐(은폐)력이 매우 우수하고, 층간특성을 이용한 흡착 및 저장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판상광물의 기본의 특성에 또 다른 기능성 물질을 흡착시킴으로써 부가적인 새로운 기능성을 갖는 친환경성 건축소재를 개발하고자 천연산 인상흑연 및 견운모를 기능성 모소재로 사용하고 미립화 및 표면 환경기능화를 위하여 BMK로 흑연입자 표면을 기능화하였다. 제조된 기능성 마감재인 닥터하우스를 모르타르에 도포하여 다양한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78% 이상의 유해가스(포름알데히드) 정화제거효과 및 99.9% 이상의 항균, 항곰팡이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Case Study of a Planning Process through Developing Serious Games (기능성게임 제작을 통한 기획접근 프로세스 사례)

  • Eun, Kwang-H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6
    • /
    • pp.197-204
    • /
    • 2010
  • This study explains the planning practical training that researches the process of functional game planning approach by developing functional game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he practical training process of planning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game development jobs by developing games with proper functional materials, 'Framework of Planning Functional Game', and the verification of framework by developing functional game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functional game planning approach with the right function requires progressive/quantitative standard, which is different from typical process. Therefore, this paper is useful as reference materials of a functional game education through the cases of games developed by the progressive/quantitative approach standard.

Recent Research Trends in Eco-Friendly Materials for Solving Environmental Microplastic Problems (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친환경소재 연구동향)

  • Moon, Sung Min;Jeon, So Hui;Eom, Taesik;Shim, Bong Sup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2 no.2
    • /
    • pp.25-43
    • /
    • 2019
  •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생태오염이 심화함에 따라, 기존 난분해성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석유 기반 자원의 고갈 및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한 온난화 환경문제 등으로 기존 석유계 플라스틱 소재를 대체 보완하는 친환경 천연소재 개발의 사회적 요구는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생분해가 가능한 천연자원으로부터 다양한 물리 화학적 엔지니어링 기능성을 추가하여 플라스틱의 환경문제를 극복하려는 시도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기고에서는 나노셀룰로오스, 생분해성 고분자, 멜라닌 소재를 중심으로 친환경 기능성 천연소재의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이의 기존 합성 플라스틱 대체응용 방안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Functional Films with inorganic silica nanoparticles dispersion (실리카 나노입자를 첨가한 기능성 코팅 기술)

  • Hwang, Tae-Jin;Kim, Ho-Hyeong;Kim, Gyun-Tak;Park, Jae-Yeong;Lee, Heu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5a
    • /
    • pp.61-62
    • /
    • 2011
  • 실리카 나노입자를 분산시킨 기능성 코팅 소재를 개발하였다. 본 기능성 코팅 소재는 마그내슘 판재에 적용하여 내스크래치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최근 마그네슘 판재는 스마트 폰 및 이동통신 기기의 외장재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표면의 기계적 강도가 약하고, 특히 수분에 의한 부식이 심각하여 사용에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 나노입자가 분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을 적용하여 기계적 강도 및 내부식성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분산하는 나노입자의 크기를 달리하여 코팅층으로부터 각각 다른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유도할 수 있었다. 각 코팅 층의 특성은 연필경도, 기판 휨 각도, 그리고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등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최종적으로 휴대폰 신뢰성 평가 기법을 적용하여 상용화 적용성도 평가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Rice noodles with lotus leaf (연잎을 이용한 쌀국수 개발)

  • Woo, Na-Ri-Yah;Chung, Hae-Kyung;Kim, Ji-Hyun;Lee, Tae-R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1014-1016
    • /
    • 2010
  • 우리나라 쌀 생산량은 해마다 증가되고 있으나, 1인당 쌀 소비량은 급격히 감소되고 있는 수급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특히 충청남도는 최근 6년간 전국 쌀 생산량 1위를 차지해 오고 있어서 쌀 소비의 확대방안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취반용 쌀 소비량 확대만으로는 쌀 소비량 증대에 한계점이 있으므로,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고 기능성, 간편식으로 다양한 기호성을 지닌 쌀 가공식품 형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적합한 제품개발로 쌀을 이용한 쌀국수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쌀국수 제품개발은 쌀을 이용한 제품개발은 또다른 시도가 되어 쌀 소비촉진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능성 쌀국수 개발을 위하여 천연물 중 연잎 소재를 첨가하였다. 연잎은 차와 사찰음식을 대표하는 소재중 하나이다. 연잎에는 비타민 C와 섬유소가 매우 풍부하다. 이러한 성분은 미용식품으로써의 응용이 가능하며, 식이 섬유소는 배변작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항산화제인 quercetin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 quercetin은 플라보이드 배당체이며, 우리 몸의 세포의 노화를 유발하는 유해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것이 항산화 활성이 높은 연잎을 이용하여 고 기능성 쌀가공품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쌀가루 50%를 기준으로하여 연잎가루는 3% 첨가하였으며, 전분의 종류를 달리하여 최종 제품을 개발한 결과, texture analyser로 물성을 측정한 결과 타피오카 전분과 쌀가루 혼한 쌀국수의 물성이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도 타피오카 전분과 쌀가루 혼합 쌀국수가 소비자들의 기호도가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감자전분과 밀가루는 다소 낮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쌀제품 개발시 쌀의 가공적성 및 기능성 소재의 첨가 비율 확립하고, 연잎과 같은 쌀국수에 첨가 가능한 다양한 기능성 소재 발굴 및 첨가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특집: 유기광.전자 소재 및 소자 기술 - 유기발광전자 소재 및 소자 기술

  • Kim, Ju-Hyeon;Gang, Jae-Uk
    • 기계와재료
    • /
    • v.23 no.2
    • /
    • pp.18-35
    • /
    • 2011
  • 공액 이중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유기 화합물을 형광체로 이용하는 유기발광 소자는 최근 모바일용 디스플레이의 사용화를 시작으로 TV, PC용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의 사용화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본 글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다양한 기능성 소재 및 발광 소재에 대하여 소개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