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능관계도

Search Result 5,23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ADL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농촌 노인들의 인지기능장애와 일상생활 활동도와의 관련성)

  • Kim, Seok-Beom;Kang, Pock-Soo;Kim, Sang-Kyu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32 no.1
    • /
    • pp.65-71
    • /
    • 199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the elderly of rural area.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10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and older, living in a district of Kyongju City. The cognitive impairment was measur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and newly constructed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Bristol activities of dally living scale developed specifically to be used with people with dementia was used to measure ADL Results. The mean scores of both MMSE-K and K-MM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groups and by .age groups, respectively(p<0.05). The mean scores of AD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groups(p<0.01) not by sex groups. Among the 4 components of 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self care, orientation, and mobility), the mean score of the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n(p<0.01); and IADL, orientation and mobility compon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groups(p<0.01). ADL correlated well with MMSE-K (r=0.54) and K-MMSE(r=0.52) and showed higher correlation in female (r=0.73, 0.71) than male(r=0.27, 0.29). IADL and orient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MSE-K(r=0.52, 0.62) and K-MMSE(r=0.50, 0.63), respectively(p<0.01). Conclusions. In developing and establishing a care model for people with dementia in the community, both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need to be considered.

  • PDF

Performance Evaluation and Analysis of XBench Benchmark : A comparison of Pure Relational Model and Object-Relational Model (XBench 벤치마크 성능평가 및 분석 : 순수 관계형 모델과 객체 관계형 모델 비교)

  • 김재욱;신진호;이상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19-21
    • /
    • 2004
  • 현재 XML은 데이터 표현과 교환을 위한 표준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으며 다양한 응용분야에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분야에서도 XML문서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상용 DBMS에서 XML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XML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XML 벤치마크가 제안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특정 상용객체 관계형 DBMS를 사용해서 XBench 벤치마크를 순수 관계형 기능과 객고 관계형 기능을 사용하여 모델링하고 성능 측정한 결과를 보이고, 이를 통해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성능을 평가하고, 장단점을 비교 분석한다

  • PDF

A QR Code-based Smart Phone Application Supporting Digital Marketing (디지털 마케팅을 지원하는 QR 코드 기반의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

  • Park, Jong-Eun;Lee, Hong-Chang;Park, Jong-Moon;Lee, M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d
    • /
    • pp.238-240
    • /
    • 2012
  • 세계 최대 규모의 SNS인 페이스북은 사용자 사이의 관계를 맺어주는 서비스를 넘어 조직, 상표와 같은 현실의 객체를 온라인상으로 표현하는 페이지를 통해 사람들과 소셜 관계를 맺어주는 서비스를 지원한다. 페이지는 페이스북 사용자와 소셜 관계를 맺음으로써 펜 관리, 홍보 등의 목적으로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페이스북 페이지와 사용자 사이의 손쉬운 소셜 관계를 맺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마케팅을 지원하는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은 자신의 페이스북 페이지 정보를 QR 코드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사람들에 의해 배포된 QR 코드를 통해 페이지와 관계를 맺고 페이지에 관련된 글을 페이스북에 게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꿀의 기능화와 생산방법

  • 오동환
    • The Korea Beekeeping Bulletin
    • /
    • s.299
    • /
    • pp.29-37
    • /
    • 2005
  • 기능성 꿀 및 그 생산에 대하여 관심이 있다면 우선 벌과 꽃과 꿀의 등식관계(벌=꽃=꿀)를 이해하고 벌꿀의 이용역사를 고찰하여 향후 이용 변화추위에 따라 소비자을이 선호하는 꿀을 생산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인간에 대한 의학이 발달은 꿀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건강 증진 및 장수를 위한 well-being 생활의 추구에 따라 식생활도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꿀에 대한 재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수명과 관련하여 건강증진에 유익한 기능성 꿀 생산은 매우 적절한 대응전력이라고 생각한다. 기능성 꿀벌 생산하려면 꿀에 대한 성분과 특성을 이해하고 기능성물질의 탐색과 더불어 벌을 통한 생산방법을 개발하여 가치 있는 기능성 꿀을 생산하여야 함으로 기능성 꿀 및 생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솔리드 모델링의 새로운 지평

  • 김영진
    • CDE review
    • /
    • v.2 no.2
    • /
    • pp.17-19
    • /
    • 1996
  • 윈도우 95 운영체제하에서 기계설계에서의 솔리드 모델링을 가능하게 하는 SolidWorks 95라고 불리는 완전히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판매중이다. SolidWorks는 변수설계에 기초한 솔리드 모델링이며 drag-and-drop 기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솔리드에 원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하였다. 또 이 소프트웨어는 draft angles, thin-wall shells, variable radius fillets, lofts, sweeps, chamfers, revolved surface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 소프트웨어에만 있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파트의 실시간 리쉐이핑, 기능구성용 마법사, 그리고 형상 히스토리 등이다. 형상 히스토리는 개개의 모델에 대한 기능과 서로간의 관계를 수록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빨리 선택하게 할 뿐 아니라, drag-and-drop을 통하여 언제라도 다른 영역에 그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한다.

  • PDF

A study on Cancel key function and spatialization metaphor in mobile (모바일 폰에서 [이전]기능과 사용자 공간 은유에 관한 연구)

  • Seo, Kyung-Ja;Song, Hyun-Chu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059-1063
    • /
    • 2009
  • 모바일 폰의 메뉴 구조는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며 링크의 연결로 페이지 정보를 전달하거나 하부 카테고리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모바일 폰 사용자는 메뉴 조작을 통해 기능을 실행하며, 이 과정에서 선형구조, 계층형 구조, 대화형 구조, 데이터베이스 구조, 혼합구조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경험하게 된다. 사용자는 모바일 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면서 추상적 개념의 공간 인지를 구체적인 공간으로 이해하려 한다. 즉 UI, GUI에서 제시하고 있는 Label이나 방향표시를 따라 상하좌우라는 공간적 개념으로 은유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하드키 단말의 경우는 상하좌우키를 이용하여 공간을 이해했다면 최근에는 터치 및 제스처 동작 인식이 가능한 폰이 등장하면서 좌우 flick, 상하 flick 등과 같은 구체적인 행동으로 디바이스 화면에서 공간이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자의 공간 은유를 이해하기 위해 상위 depth로 이동하는 [이전] 키의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방법보다는 [취소]를 이용하여 depth를 이동하는 것이 사용자의 모바일 폰의 공간 은유 파악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기 때문이다. 둘째, [이전], [취소]라는 Label이 가지고 있는 모호성 때문이다. 모바일 폰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이전]는 전체 사용에 있어 아주 작은 요소에 불과하지만 사용자는 정해진 순서의 process에 따라 기능을 수행할 때와는 다르게 역 방향 Process를 사용하면서 모바일 폰의 구조를 이해하고 모바일 공간을 인지하는 중요한 요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으로 돌아가는 [이전]의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메뉴의 층위 구조 및 공간 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자 한다. 실험을 위해 모바일 폰을 자주 사용하고 있는 20~30대 남녀 10명의 피험자에게 전화번호부, 앨범, 문자메시지의 목록화면과 상세보기 화면을 제시한 후 마지막 상세보기 화면에서 실험에서 제시하는 제시어를 보고 어느 화면으로 이동하게 될 것인지를 예상하는 질문을 하였으며, 그러한 이유에 대해서는 인터뷰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폰 공간인지는 동일한 레벨의 단계 즉 상세보기의 경우는 수평의 관계라고 보고 있으며, 목록화면과 상세화면의 관계는 상하의 관계라고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를 인터뷰를 통해 질문하였을 때, 상세화면에서 좌우 방향표시가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높았으며, 상세보기 화면이 좌우라고 인식하면 목록화면은 상하의 관계로 이해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즉 하나의 정해진 공간인지를 통해 다른 공간을 유추하여 생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결과적으로 실제 단말에서 [이전] 기능을 상위 depth로 이동하도록 설계하였다면 [한단계위]라는 Label 또는 e번과 같은 상위의 개념을 포함한 아이콘을 사용한다면 혼란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논문에서는 [이전]라는 기능으로만 사용자의 공간 개념을 예측할 수 있었지만, 터치스크린의 등장과 함께 플릭과 같은 다양한 제스처에 의한 인터렉션이 가능한 현 시점에서 추상적인 공간은 방향성을 가진 제스처에 의해 구체적인 물리적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더욱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용자의 공간인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Label과 방향성 표시는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며, 이후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의 공간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예상된다.

  • PDF

An Evaluation of the Student Performance and Perception of the Food and Nutrition Subject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Incheon, Korea (실과의 식품영양 단원에 관한 교사 학생의 인지 및 학생의 지식, 태도, 기능간의 상관 연구 -인천직할시 공립국민학교를 중심으로-)

  • 김수자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5 no.1
    • /
    • pp.97-111
    • /
    • 1993
  • 본 연구는 국민학교 실과 과목의 식품 영양 단원에 관한 교사, 학생의 인지 및 학생의 지식, 태도, 기능 평가를 위하여 71개 인천시내 공립 국민학교 4,5,6학년 교사 510명과 12개교학생 1,7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내용을 분석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은 1)실과의 정해진 교육목표에 관한 교사의 인지정도 규명 2)식품, 영양 단원에서 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지하는 내용과 가르치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내용 규명 3)교사가 인지하는 식품영양 단원학습을 증진하기 위한 요소 4)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는 내용 5)본 단원 학습 후 학생의 지식, 태도, 기능 정도 6)지식, 태도 기능간의 상호 상관관계 규명 등이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이 인지하는 실과의 정해진 교육목표는 거의 모두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교사들이 인지하는 식품 영양 단원의 중요한 내용은 영양과 질병과의 관계, 식품위생, 식품저장 등이며, 가장 중요하지 않은 내용으로는 영양 필요량이었다. 또한, 지도에 어려움을 느끼는 내용은 영양 필요량, 조리준비, 식품구성/함유량 등이며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내용은 영양과 질병과의 관계, 식품위생, 식품저장 등이었다. 3. 교사가 인지하는 단원 학습 증진을 위한 긍정적 요소는 적합한 실습설비와 자료, 시청가자료등이었고 부정적 요소는 남교사, 실험 실습이 필요한 부분은 숙제로 미루는 것 등이었다. 4.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는 내용으로는 간단한 음식 만들기, 영양소의 기능, 영양문제 등이었고, 쥬스나 차 준비, 조리연료, 부엌용구 사용법 등은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내용이었다. 5. 학생의 학업성취 중 지식은 4학년이 식품위생, 기초식품군이, 5학년은 알맞은 조리용구, 조리원리, 6학년은 여가활용의 뜻, 올바른 예절 등이 90% 이상 바르게 답하였고 5학년의 삶은 달걀의 화학적 변화, 감자의 주된 영양 등은 60%이하였다. 6 태도 테스트 결과는 5학년이 4,6학년보다 약간 높은정도(Mn=3.653) 였으나 기능테스트에서는 4학년이 5,6학년보다 약간 낮게 (Mn=3.0) 나타났다(구체적인 것은 본문 참조). 7, 4, 5, 6학년 모두 지식, 태도 기능 간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태도와 기능 사이에는 4학년 r=.7166, 5학년 r=.5175, 6학년 r=.6796을 나타내었고 지시과 태도(4학년 r=.1546, 5학년 r=.0872, 6학년 r=.2192)와 지식과 기능사이에서는 (4학년 r=.1631, 5학년 r=.0585, 6학년 r=.2521)태도와 기능간보다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Current Research Trends on Prevalence, Correlates with Cognitive Function, and Intervention on Sarcopenia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Systematic Review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근감소증 유병률, 인지기능과의 관계 및 중재연구 동향: 체계적 문헌고찰)

  • Ahn, Soojung;Chu, Sang Hui;Jung, Hyejeong
    • 한국노년학
    • /
    • v.36 no.3
    • /
    • pp.727-749
    • /
    • 2016
  • This systematic review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sarcopenia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Studies which reported prevalence rates of sarcopenia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relationships between sarcopenia and cognitive dysfunction, or effective interventions in alleviated symptoms of sarcopenia were selected. Of 43 studies reviewed, prevalence rate of sarcopenia ranged from 2.5-42.4% in 25 studies, and 4 studies reveal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rcopenia and cognitive dysfunction. Among 12 randomized-control trials (RCTs), exercise intervention was used in 2 studies; nutrition intervention in 6; and 4 studies included both the exercise and nutrition interventions. All interventional studies reported positive effects on muscle mass, muscle strength, or physical function. However, only 6 studies met the high quality criteria of Risk of Bias, and there was no study which evaluated cognitive function as an outcome measure. Therefore,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lack of high-quality RCTs and exclusion of cognitive function as an outcome measure in the research of sarcopenia. A comprehensive and sustained system including standardized sarcopenia screening, assessments of cognitive functioning, and evidence-based intervention programs is needed in order to prevent and manage sarcopenia amongst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Correlation Between Rhythm Reproduction Task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in School-Aged Children (초등학생의 리듬 재산출 능력과 인지기능 수준 간 상관관계)

  • Oh, So-young;Chong, Hyun Ju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13 no.1
    • /
    • pp.1-18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hythm reproduction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of school-aged children. A total of 59 third grade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 iPad-based rhythm reproduction task, the Digit Span Test (DST), the 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 and a self-paced tapping task via a MIDI keyboard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cores at each stage of the iPad-based rhythm reproduction test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correlation with cognitive function test scores. This result suggests that accuracy of a simple rhythm task is correlated to speed of self-paced tapping (second). Also cognitive function may affect rhythm grouping ability. Results of this analysis for each of 20 rhythm items showed that there was a common rhythm characteristics that correlated with executive function, working memory or self-paced tapping spe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hythm ability is related to, and predictive of,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an be used as an useful parameter when examining cognitive function of school-aged children in multifaceted dimensions.

Extraction and Comprehension of Objects for Class Components Reuse (클래스 부품의 재사용을 위한 객체의 추출과 이해)

  • Han, Jeong-Su;Song, Yeong-Ja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6 no.4
    • /
    • pp.941-951
    • /
    • 1999
  • Class components in a repository require exact information representation by reason of insufficiency of various visual information through search and extraction. In this paper, we have described syntax-analysis method and viewer facilities about class components. In the components analysis, we extracted class information which consists of class_names, methods, attributes, class inheritance relationship, and graphic information. viewer represents extracted class information and creates a new class. Also, it provides facilities of reuse, insertion, and deletion. Not only Viewer represents class hierarchy diagram, and shows detail information about each class, but also it creates new classes.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Viewer using the components, inheritance, diagram information and process. And we enhanced understanding of programs through viewer, and supported prototype for class cre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