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관 수술

검색결과 659건 처리시간 0.019초

기관문합수술에서 PTFE(Polytetrafluoroethylene)를 이용한 협착방지에 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Prevention of Postanastomotic Tracheal Stenosis using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in Tracheal Surgery)

  • 이석열;이길노;고은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2-28
    • /
    • 2002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aim of the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an external prosthesis made of ringed Polytetrafluoroethylene to prevent Postanastomotic stenosis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extensive tracheal defects in rabbits. Materials and Methods : Thirty rabbits were used, divided into two groups of 15 animals each. Group A rabbits underwent resection of six-ring segments of the cervical trachea and tracheal end-to-end anastomosis. The Procedure used in group B was similar to that used in group A. but the tracheal anastomosis was supported by an external ringed polytetrafluoroethylene prosthesis. After six months, rabbits were killed and tracheas were resected and then compared the postanastomotic tracheal stenosis using morphometry. Results : Anteroposterior diameter, transverse diameter, cross sectional area and intra luminal perimeter of trachea was greater in group B than group A. Also inflammatory changes of mucosa and submucosa were greater in group A than group B. Conclusion : A ringed PTFE as a external stent was effective to prevent tracheal stenosis resulting from the extensive tracheal resection and tracheal reconstruction in rabbits.

  • PDF

두경부 암종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에 대한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for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of head & neck cancer)

  • 박재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9
    • /
    • 2005
  • 종격동내의 림프계는 해부학적으로 크게 3구역 즉, anterior compartment, visceral compartment, 그리고 paravertebral sulci 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 식도와 폐로부터 유입되는 visceral compartment가 종양외과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두경부 암종에서도 경부의 림프계를 거쳐 종격동의 visceral compartment의 림프계로 전이가 일어날 수 있는데, 본 연제에서는 종격동의 visceral compartment와 관련이 깊은 식도 림프계의 해부학적인 특성과 종격 림프계의 해부, 그리고 두경부 암종의 수술에서 종격 림프절 적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선천성과 악성 질환에 의한 경우는 비악성 질환에 의한 경우와 치료방침에 많은 차이가 있어 비악성 질환에 의한 기관식도루에 초점을 두고 논하고자 한다.

  • PDF

성문하부에 발생한 Granular Cell Myoblastoma 1례 (A Case of Subglottic Granular cell myoblastoma)

  • 고건성;우훈영;전병훈;장선길;김광현;노관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8년도 제12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6.2-6
    • /
    • 1978
  • Granular Cell Myoblastoma는 근육에 발생하는 극히 드문 종양으로 1931년 Ahrikossott 씨가 성대에서 발생한 것을 처음으로 보고 하였다. 호발부위는 설이며 그외 구강의 다른 부위나 후두, 기관에 생길 수 있다. 이 질환은 그 상부점막의 가성상피증식이 동반되는 수가 많으므로 악성종양으로 혼동되기 쉬운 점 때문에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저자들은 17세된 여자로서 3년간 계속된 사성을 주소로 내원하여 수술받은 성문하부의 granular cell myoblastoma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서울시 치과의원의 진료실 감염관리 및 폐기물 처리 실태 조사연구 (Study on the Infection Control and Dental waste Disposal in Dental Clinic Located in Seoul City)

  • 강재경;김은숙;김경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5-113
    • /
    • 2002
  • 치과 진료실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근원이 되는 곳은 환자의 구강이다. 구강 내에서 행하여지는 모든 진료행위는 타액과 혈액에 노출되고 그 안에 존재하는 병원성 미생물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파되어 감염성 질환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와 치과 종사자들의 감염방지를 위해 주위를 환기시키고 실천적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서울시 치과의원 100곳을 추출하여 진료실 감염관리와 폐기물 처리실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멸균준비를 위한 기구세척시 대부분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있으나(95%), 기구건조(56%), 기구포장(57%), 멸균지시테이프를 부착(24%)하는 기관은 적었으며, 대부분의 기관이 멸균기(가압증기멸균기 또는 불포화화학증기멸균기 또는 건열멸균기)를 보유하고 있으나(97%), 멸균기의 성능점검이 나 관리는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3. mirror, pincette, explorer 등의 기본기구, 외과기구, 그리고 치주기구는 90% 이상 멸균하였다. 3 표면관리에 있어서 표면소독제로 알콜을 사용하는 경우가 94.0% 이었다. 4. 폐기물 처리의 경우 사용한 주사바늘, 수술용 칼, 봉합용 바늘은 97~98%가 별도의 밀폐용기에 모아서 별도로 처리하고 있으나, 아말감 찌꺼기를 올바르게 보관하는 기관은 65% 수은 찌꺼기를 올바르게 보관하는 기관은 74% 이었다. 5. scaling 시(수술용 고무장갑+구강 마스크+보안경)을 착용하거나(수술용 고무장갑+안면 보호대)를 착용하는 사람은 37% 이었고, 보철물 연마시(구강 마스트+보안경)을 착용하거나 안면 보호대를 착용하는 사람은 25% 이었다. 6. 간염예방주사를 맞았거나 면역되어 있는 사람은 90% 이었다. 7. 마취주사바늘 제거시 손으로 뚜껑을 닫고 제거하는 경우(84%)와 주사바늘에 찔린 경험(62%)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많은 사람이 부주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환자의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과 환자에게 납방어복을 입히는 것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환자의 안전관리를 주의한다고 생각하고 있지만(98%) 실제로 환자를 보호(37%)하는 것은 아니며, 본인의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과 술자의 방어방법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주의한다고 인식(95%)하는 만큼 술자의 보호(88%)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기구의 소독과 멸균의 단계와 절차를 올바르게 적용하는 것과 표면소독제로 알콜 대체재료의 보급이 필요하고, 폐기물 처리 방법에 대한 교육을 더욱 확산시켜야 하며, 개인의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에 비해 실천이 부족하므로 특히 환자보호와 더불어 술자 등 개인보호를 위한 실천이 필요하다고 검토되었다.

  • PDF

술 전 분무한 10% lidocaine이 현미경 하의 후두 미세 수술 시 혈역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operative Sprayed 10% Lidocaine on the Hemodynamic Response during Suspension Microlaryngeal Surgery)

  • 이덕희;도현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162-169
    • /
    • 2007
  • 현미경 하 후두 미세 수술에서 10% lidocaine 술 전 분무가 혈역학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보기 위하여 대상 환자 50명을 각 25명씩 두 군으로 나누어 대조군과 10% lidocaine 분무군으로 하였다. 마취 유도 후 대조군에서는 근이완제 투여 후 3분 30초에 기관내 삽관을 시행하였으며, 연구군은 근이완제 투여 2분 후 인후두 점막과 기관내에 lidocaine 1.5 mg/kg을 분무하였고 다시 1분 30초 후에 기관내 삽관을 시행하였다.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과 심박수를 마취 유도 전에 측정하여 기준치(T0)로 삼았으며 기관내 삽관 후 1분(T1), 3분(T2), 5분(T3), 현수 후두경 거치 후 1분(T4), 3분(T5), 5분(T6), 10분(T7)에 각각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동맥압과 심박수가 기관내 삽관후 3분까지 그리고 현수 후두경 거치 후 3분까지 대조군에 비하여 10% lidocaine 분무군에서 유의하게 낮음을 보아 기관내 삽관 전 10% lidocaine 분무는 기관내 삽관과 현수 후두경으로 인한 심혈관계 자극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킴을 알 수 있다.

  • PDF

폐방선균증을 동반한 기관기관지환자 수술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Tracheal Bronchus Associated with Pulmonary Actinomycosis)

  • 김흥수;이형렬;정황규;이민기;박순규;김건일;이창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8호
    • /
    • pp.616-620
    • /
    • 2002
  • 기관기관지는 기관우측벽에서 기시하는 이상 혹은 부기관지를 말하며 재발성 폐렴, 비폐쇄성 기관지 확장증등 염증성 질환과 관련있다. 최근에 우리는 폐 방사균증과 관련된 기관기관지 1례를 경험하였다. 37세의 남자 환자는 재발성의 객혈을 호소하였고 당초 폐결핵으로 추정하여 항결핵제를 투여받았으나 임상적으로나 방사선학적으로 호전을 보이지 않았다. 우상엽 폐절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조직학적 검사에서 폐 방사균증으로 확진되었다. 술 후 환자는 3개월간 penicillin과 ampicillin이 투여됐으며 6개월간의 추적기간동안 재발을 나타내지 않고 완전히 회복되었다.

소아에서 흉부 압박상 후 발생한 경부기관의 완전 파열 (Complete Rupture of Cervical Trachea after Compressed Chest Injury in a Child)

  • 변정훈;조성호;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4호
    • /
    • pp.309-312
    • /
    • 2007
  • 흉부 압박상에 의한 경부 기관의 파열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여러 가지 기전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기관 손상을 받은 많은 환자는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하기 때문에 빠른 진단에 의한 치료는 예후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교통사고에 의한 흉부 압박상으로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8세의 남아에서 발생한 경부 기관의 완전파열 1예를 조기 진단하여 수술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승모판막 폐쇄부전을 유발한 기관지성 낭종 (Bronchogenic Cyst Causing Mitral Regurgitation)

  • 송종필;정승혁;강경훈;김병열;강경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66-69
    • /
    • 1999
  • 기관지성 낭종은 태아기에 원시전장으로부터 분화하는 비교적 드문 선천성 질환이며, 대부분 기관분기부, 양측 주기관지, 폐실질 그리고 종격동에서 발생한다. 40세 남자 환자로 호흡곤란과 흉부압박감을 주소로 입원하여,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상 경계가 명확하고 크기가 7.2$\times$7.9 cm이며, 좌심방을 압박하는 균질의 종양이 발견되었고 심초음파 검사상 중등도의 승모판막 폐쇄부전을 보였다. 수술은 낭종을 완전히제거하였으며, 조직학적 검사상 기관지성 낭종으로 확진되었다. 추적관찰 결과 환자는 증상없이 잘 지내고 있었으며, 심초음파 검사상 승모판막 폐쇄부전은 경도로 호전되었다. 본 국립의료원에서는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을 유발한 기관지성 낭종 1례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비체외순환 및 체외순환하에서의 관상동맥우회로술의 임상 고찰 (The In-hospital Analysis of Outcome of Off-pump CABG and On-pump CABG)

  • 안재범;김인섭;정성철;배윤숙;유환국;김병열;김우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9호
    • /
    • pp.762-767
    • /
    • 2004
  • 최근 비침습적인 수술방법이 발전하면서 체외순환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로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체외순환의 여러가지 부작용들이 발표되면서 비체외순환하의 수술이 점차로 보편화되어 본원에서 시행한 비체외순환 및 체외순환하에서의 관상동맥우회로술의 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관상동맥우회로술을 시행 받았던 8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체외순환하 관상동맥우회로술 36예, 비체외순환하 관상동맥우회로술 51예를 시행하였으며 양군에서 수술 전 위험인자와 관상동맥 질환정도, 평균수술시간, 술 후 삽관기간, 평균 중환자실 재원기간, 평균 재원기간, 술 후 강심제의 사용, 술 후 출혈량, 술 후 심근효소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의 남녀비, 연령, 술 전 위험요소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심근경색 기왕력, 흉통의 정도(Canadian Class), 관상동맥 질환의 정도 및 심박출 계수도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평균 수술시간은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372 $\pm$ 142.2분, 비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270 $\pm$ 79.3분으로 비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이식편수는 체외순환 수술군이 2.2$\pm$0.5개, 비체외순환 수술군이 1.7$\pm$0.7개로 체외순환 수술군이 유의하게 많았다(p<0.001). 술 후 삽관기간은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24.3 $\pm$ 17.8 시간, 비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17.1 $\pm$ 13.1 시간으로 비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짧았다(p < 0.05). 술 후 CK-MB는 비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8.9$\pm$ 18.7 U/L로 체외순환하 수술군의 25.7 $\pm$8.4 U/L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중환자실 평균 재원기간은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21.3 $\pm$ 21.3시간, 비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15.6 $\pm$ 7.6시간으로 비체외 순환하 수술군에서 낮았다(p<0.05). 술 후 대동맥내 풍선 펌프의 삽입은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2예가 있었고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8예로 유의하게 많았다(p<0.05). 술 후 강심제의 사용은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21예, 비체외순환하 수술군이 9예로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 0.001). 술 후 부정맥은 비체외순환하 수술군이 3예, 체외순환하 수술군이 9예로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발생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술 후 사망률은 비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2명(3.9%)이였고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3명(8.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 외에 술 후 24시간 출혈량, 출혈로 인한 재수술, 평균 재원일수, 술 후 감염, 신부전, 신경학적 합병증 등이 수술 후 결과와 유병률에는 두 군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비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평균 수술시간, 술 후 기관 삽관기간, 평균 중환자실 재원기간이 짧고 술 후 심근 손상의 정도는 적으나 체외순환하 수술군에 비해 이식편수가 적었다. 비체외순환하 관상동맥우회로술이 체외순환하 우회로술에 비해 결과에 있어 몇 가지 장점을 보여 주고 있으나 향후 더 많은 임상경험의 축적 및 장기 추적 관찰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Suspension Laryngoscope 하에서 경험한 후두종괴 63례에 대한 임상통계적 고찰 (The Clinico-Statistical Analysis for 63 Cases of Laryneal Mass with Suspension Laryngoscope)

  • 유홍균;고준영;김정희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9년도 제13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8.1-8
    • /
    • 1979
  • 이비인후과영역의 microsurgery 는 중이수술을 위한 Otomicrosurgery에 이어 최근에는 후두 특히 성대의 수술에도 크게 이용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저자들은 1974년 8월부터 1579년 4월까지 4연5개월간 본에서 시행하였던 Suspension Lanpgoscope을 이용한 micro-surgery하에서 적출한 후두종괴 63례에 대해 임상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 Suspension Laryngoscope은 총 63례로 남자 34측(54%), 여자 29례(46%)이었고 남여비는 1.2 : 1이였다. 2) 연령별로는 30대가 20례(31.7%)로 가장 많았으며 40대(15.9%), 20대(14.3%), 50대(12.7%)의 순이었다. 3) 수술부위는 성문부가 61례(96.8%) 성문상부가 2례(3.2%)이었다. 4) 성문부위별로는 양측이 24례(38.1%), 우측 22례(34.9), 좌측 15례(23.8%)의 순이었다. 5) 질병별로는 조직생검결과에 준하였으며 후두결절이 30례(47.6%)로 가장 많았으며, 편평상피암 10례(15.9%), 후두용종 8례(12.7%), 후두유두종 5례(7.95%)이고 기타의 비특리성염증이 5례(7.95%)순이였다.

  • PDF